2006-08-29 | 몰스킨의 “브랜드 고고학”

Editor’s Comment

이 수첩은 본래 프랑스에서 태어났지만, 세계적으로 알려진 이름이 된 것은 이탈리아의 한 회사가 이 브랜드를 인수한 이후입니다. 바로 ‘몰스킨’의 이야기입니다. 2006년 이탈리아에서 다시 프랑스 브랜드로 되돌아간 몰스킨 소식을 계기로, 그해 오늘은 몰스킨의 부활의 밑거름이 된 배경을 살펴보았습니다. 모도 앤드 모도는 100년 동안 예술가들의 친구였던 이 수첩의 역사와 유산을 되살렸고, 애호가들은 기꺼이 몰스킨의 자발적 마케터가 되었습니다. 누군가는 이 놀라운 성공을 두고 “브랜드 고고학”이라 불렀죠. 

몰스킨 브랜드가 이탈리아에서 프랑스로 되돌아가게 되었다. 〈르 피가로(Le Figaro)〉에 의하면, 프랑스의 한 회사가 몰스킨 브랜드를 되찾기 위해 투자한 돈은 무려 미화 9천만 달러, 한화로는 약 900억 원에 이른다. 몰스킨은 원래 프랑스 회사가 소유한 브랜드로, 소규모 제지업을 하던 장인에 의해 생산되었다. 1986년 장인이 죽자 몰스킨은 그 찬란한 전통과 수많은 이야기를 뒤에 남기고 역사 속으로 사라지는 듯 했다. 하지만 1998년 오랫동안 잊혀졌던 몰스킨은 이탈리아 밀라노에 자리잡고 있던 한 작은 회사에 의해 재생산되기 시작했고, 눈부신 성공을 거두었다. 버려진 브랜드로 어마어마한 성공을 누린 이 회사의 이름은 ‘모도 앤드 모도(Modo and Modo)’이다.

파블로 피카소의 몰스킨
image: moleskine.com

몰스킨의 디자인은 100년 전이나 지금이나 크게 다르지 않다. 몰스킨은 검은색 양장에 프렌치 바닐라 컬러의 내지, 그리고 노트가 펼쳐지지 않도록 커버에 부착되어 있는 밴드가 곧 트레이드마크이다. 그리고 이 브랜드를 둘러싼 수많은 역사와 이야기도 마찬가지이다.

모도 앤 모도의 공동 대표인 프란체스코 프란체스키(Francesco Franceschi)와 마리오 바루치(Mario Baruzzi)는 몰스킨을 둘러싼 역사와 이야기들에 주목하고 이를 마케팅에 활용했다. 몰스킨은 빈센트 반 고흐와 파블로 피카소, 앙리 마티스 그리고 오스카 와일드와 어네스트 헤밍웨이, 장 폴 사르트르 등 수많은 예술가들과 탐험가, 저널리스트들에 의해 사랑을 받았다. 헤밍웨이는 몰스킨에 『태양은 또 다시 떠오른다』를 집필했고, 고흐는 그의 유명한 그림들을 스케치했으며, 사르트르는 한 시대를 이끌 사상을 메모했다.

한 애호가의 몰스킨
image: pedalpower, flick.com 

몰스킨의 이야기는 애호가와 소비자에 의해 끊임없이 재생산되었다. 이들은 몰스킨을 사랑했던 역사적인 명사들의 뒤를 이어 자신의 이야기를 몰스킨에 쓰기 시작했다. 그리고 이들의 이야기는 웹을 통해 널리 퍼져나갔다. 몰스킨의 폭발적인 성장세는 바로 이러한 애호가 집단에 의한 자발적인 마케팅에 있었다.

한 웹사이트는 몰스킨의 성공을 두고 ‘브랜드 고고학(brand archeology)’이라고 이름 붙이고 있다. 수명이 다해버린 브랜드의 역사와 전통을 발굴해내고 이를 마케팅에 활용함으로써 브랜드의 정체성을 분명히 하고 제품의 가치와 신뢰도를 높였다는 것이다. 몰스킨은2005년 한 해 동안 4백 5십 만개가 팔려나갔으며, 총 수익은 7천만 유로에 이른다.

http://www.moleskine.com
http://www.moleskinerie.com
[Le Figaro] Les carnets Moleskine redeviennent francais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1-08-01 | 전기 주전자 변주

모두를 위한 동일한 물건을 이상으로 삼는 공산품의 세계에서 특유함은 오차나 불량의 산물입니다. 하지만 그것이 결함이라 해도 거꾸로 매력의 원천이 되기도 하지요. 프랑스의 디자이너 장 밥티스트 파스트레는 전기 주전자라는 물건을 바탕으로 변주를 시도합니다. 가열체, 손잡이, 뚜껑 등 안전과 관련된 요소는 모두 동일하게, 하지만 용기는 형태도 소재도 색상도 달리하지요. 대량생산된 공산품과 유일무이한 무엇 사이. ‘전기 주전자 변주’입니다. 

2010-12-07 | 생일 축하합니다, 고다르!

장-뤽 고다르 감독의 80번째 생일을 맞아, 스튜디오 카르발류 베르나우가 선보인 폰트의 이름은 ‘장-뤽’입니다. 고다르 영화 두 편의 타이틀 시퀀스에 등장하는 레터링을 참조하여 태어난 대문자 그로테스크 서체인데요. ‘장-뤽’ 서체와 함께 카르발류와 베르나우가 말하는 고다르 영화 속 레터링이 지닌 특징, 그 연원과 영향에 관한 생각 그리고 관련 자료들도 흥미롭습니다.

2010-04-22 | 덴버 ‘B-사이클’

2010년 덴버가 도시 차원의 공유 자전거 프로그램을 도입했습니다. B-사이클 사와 손잡고 도시 곳곳에 대여소와 공유 자전거를 설치했지요. 당시에도 공유 자전거는 그리 새로운 일은 아니었습니다. 새롭다면 그것이 자동차의 나라라고 해도 좋을 미국의 소식이었다는 점이랄까요. 2010년 지구의 날에 달리기 시작한 덴버 B-사이클은 덴버 시민의 유용한 발이 되었습니다. 하지만 비판도 있었습니다. 보관소가 주로 백인들이 사는 살림 넉넉한 동네에 설치되어, 막상 이용해야 할 사람과 지역을 외면했다는 것입니다. 덴버 B-사이클은 2020년 1월 운영이 종료되었습니다. B-사이클만이 아닌 여러 업체의 경쟁 입찰 방식으로 하이브리드 자전거, 스쿠터 등으로 프로그램을 전환하겠다는 시의 결정에 따른 결과입니다.

2006-08-16 | 헬베티카 50주년 기념 다큐멘터리

2006년 8월, 게리 허스트윗은 이후 ‘디자인 3부작’의 시작이 될 다큐멘터리의 후반 작업에 한창이었습니다. 다가오는 2007년 ‘헬베티카’의 탄생 50주년을 맞아, 그는 어떻게 이 하나의 서체가 전 세계 생활 풍경의 일부가 되었는지를, 세계 곳곳에 거주하는 헬베티카의 모습과 디자이너들의 인터뷰를 통해 담아냅니다. <헬베티카>는 2009년 디자인플럭스와 한국디자인문화재단이 연 작은 영화제의 상영작이기도 했는데요. 신작과 함께 게리 허스트윗 감독이 한국을 찾아, <헬베티카>와 <오브젝티파이드> 두 편의 작품으로 극장에서 관객과 만났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