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8-24 | 필립스, 미래의 식생활을 상상하다

Editor’s Comment

지금은 더 이상 진행되지 않지만, 필립스의 ‘디자인 프로브’는 당대의 사회적 흐름을 주시하여 가능한 미래 생활의 양상을 디자인하는 프로그램이었습니다. 2009년도의 주제는 ‘음식’이었는데요. ‘디자인 프로브’는 개개인 맞춤형 식생활을 가능케 하는 부엌, 음식을 출력해 내는 프린터, 거실로 옮겨온 텃밭과 양식장이라는 세 가지 미래 식생활의 콘셉트를 제시했습니다. 

필립스 디자인, 음식의 미래를 디자인하다. 필립스의 ‘디자인 프로브(Design Probes)’ 프로그램, 그 최신 주제는 바로 음식이다. 디자인 프로브는 정치, 경제, 환경, 기술, 문화 등 주요 영역에서 출현하는 사회적 트렌드를 주시하며, 그 가운데 미래의 전환이 될 수도 있을 “미약한” 신호들을 찾아, 연구하고 가능한 미래의 형태를 상상해 제시하는 프로그램이다. 

이번에 필립스 디자인 프로브가 주목한 테마는 음식. 필립스 디자인은 음식이 우리의 식탁에 도달하기까지 어떠한 과정들을 거치는지, 또 그 음식물을 우리는 어떠한 방식으로 섭취하는지에 주목했다. 이러한 과정에는 다양한 사회적 이슈들이 연관되어 있는데, 가령 치료제가 아닌 예방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음식은 훌륭한 예방약이라는 인식이 높아졌다. 여기에 유기농 작물에 대한 선호, 유전자 조작 작물에 대한 우려, 농작지 사용 패턴, 식량 부족 및 농작물 가격 상승 등의 이슈들도 감지된다. 디자인 프로브는 이들 사회적 트렌드를 다각적으로 고려하여, 다음과 같은 세 가지 형태의 프로젝트를 제안하였다. 

진단 부엌(Diagnostic Kitchen)

‘진단 부엌’은 개개인의 필요에 맞춘 정확한 식단을 제공한다. 필요한 영앙 성분을 효율적으로, 또 정확하게 섭취하기 위해, 디자인 프로브는 미래의 부엌에 음식 스캐너와 분석 센서를 들여 놓았다. 일일 권장 섭취량과 같은 일반적인 정보를 넘어, 개별 음식의 성분을 분석하여, 맞춤형 식이 생활을 가능케 한다. 

음식 출력(Food Printing)

“분자요리가(molecule gastronomist)”라 불리는 요리사들은 요리를 분자 단위에서 사고하며, 조리를 음식의 분해 및 재조립의 과정으로 전환시켰다. 디자인 프로브는 이와 같은 아이디어를 좀 더 발전시켜, ‘음식 프린터’라는 콘셉트를 내놓았다. 마치 3D 프린터처럼, 이 프린터는 주요 식이 성분들을 재료로, 이를 원하는 형태로 “출력”하여 음식을 완성한다.

거실 농장(Home Farming)

식품 안전성에 대한 우려가 점차로 커져가는 요즘, 텃밭은 간단하게나마 안심할 수 있는 먹거리를 키우는 좋은 방법이다. 디자인 프로브는 이 텃밭을 거실 안으로 옮겼다. ‘거실 농장’은 생태계의 축소 버전과도 같아서, 생선, 갑각류, 해조류에서 식물까지 이 모두를 실내 안에서 기를 수 있는 기기를 제안한다. 

필립스 디자인의 이들 콘셉트는, 작년 10월 개최된 더치디자인위크에서 첫 선을 보였고, 이후 세컨드라이프 및 유튜브와 같은 온라인 미디어를 통해서도 공개되었다.

www.design.philips.com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0-06-16 | 2010 DMY 어워즈 수상자

DMY 베를린 국제디자인페스티벌의 시상 프로그램인 ‘DMY 어워즈’의 2010년 수상작을 돌아봅니다. 투명 테이프를 거미줄 삼아 지은 ‘건축물’을 선보인 포 유즈/누멘과 증강현실의 가능성을 보여준 전시를 선보인 로잔공과대학과 로잔예술디자인대학의 공동 연구소 EPFL+ECAL랩, 그리고 자신을 비추는 테이블 조명 시리즈를 선보인 다프나 이삭스와 라우렌스 만더르스가 그 주인공이었습니다.

2008-06-03 | 디자인21 ‘파워 투 더 페달’ 공모전 수상작

2008년 디자인 21: 사회적 디자인 네트워크가 주최한 자전거 관련 공모전 ‘파워 투 더 메달’의 수상작이 발표되었습니다. 자전거라는 오래된 그러나 친환경적이고 대안적인 개인 이동 수단에 편의를 더할 수 있는 디자인을 공모했는데요. 지극히 실용적인 제안에서 순수한 즐거움을 주는 아이디어까지, 수상작들을 다시 만나봅니다. 

2007-03-07 | 안전한 성교를 위하여

2007년 케이프타운에서 열린 디자인 인다바 엑스포에서 ‘남아프리카에서 가장 아름다운 오브제’로 꼽힌 것은 가구도 조명도 장신구도 아닌 콘돔이었습니다. 정확히 말하면 콘돔 착용 도구와 결합된 콘돔이이었죠. 콘돔 기구가 가장 아름다운 오브제로 선정된 배경에는 아프리카 대륙, 특히 사하라 사막 이남 지역에서 중대한 보건 문제가 되어버린 AIDS 감염 확산의 현실이 있었습니다.(...)

2022 예루살렘 디자인 위크: 디자인과 덧없음의 관계

https://vimeo.com/717798317 2022 예루살렘 디자인 위크(JDW, 6.23 - 6.30)가 예루살렘의 한센 하우스(Hansen House)에서 개최되었다. 이번...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