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7-26 | 빠이롯트 핸드라이팅

Editor’s Comment

활자가 등장하기 전까지, 글자는 곧 손글씨와 동의어였습니다. 문자에 형태를 부여하는 것은 필기구를 쥔 손이었고, 글자와 손의 주인은 일대일의 대응 관계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육필이라는 말이 존재하듯이요. 하지만 글씨를 쓰는 손 대신 자판을 치는 손이 우세해졌고, 심지어 글자마저 지면을 떠나고 서체마저 물리적 몸체를 벗어나 디지털화된 지 오래입니다. 그러한 와중에 ‘손글씨 디지털 폰트’ 류가 글씨 쓰는 손과 자판을 치는 손의 공존을 도모하기도 합니다. 12년 전 오늘의 소식 ‘빠이롯트 핸드라이팅’도 그랬습니다.

한글 표기 방식에서부터 역사가 물씬 느껴지는 전통의 필기구 회사 빠이롯트(Pilot). 손글씨 보다는 디지털 폰트가 필기구 보다는 키보드가 더 익숙한 요즘, 그들이 ‘빠이롯트 핸드라이팅(Pilot Handwriting)’으로 필기구와 디지털 폰트의 공존을 시도한다. 

방법은 이렇다. 제공되는 글자 템플릿을 한 칸 한 칸 손으로 채운 후, 이를 디지털 카메라나 스캐너로 촬영해 사이트에 올리면, 디지털 손글씨가 완성된다. 글자 별로 굵기나 모양 등의 수정을 거치고 나면 최종 완성. 이렇게 완성된 폰트를 이용하여, 빠이롯트 핸드라이팅 사이트 상에서 지인들에게 손글씨 메일을 몇 번이고 보낼 수 있다. 

디지털 손글씨 폰트 제작은 그리 새로운 일이 아니지만, ‘손글씨 이메일’이란 아무래도 필기구 브랜드의 발상다운 구석이 있다. 지금 빠이롯트 핸드라이팅에서 당신의 손글씨 메일에 도전해 보시길. 

www.pilothandwriting.com
via core77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8-09-10 | 보철미학

2008년 디자인 아카데미 에인트호번을 졸업하며 프란체스카 란차베키아는 의료용 보철기구를 재해석한 일련의 기구들을 졸업 작품으로 선보입니다. 이름하여 ‘보철미학’은 그의 설명대로 “오로지 기능적 측면만 강조된, 기계적이고 일반적인 외양의 보조기기들”을 표현의 매체로서 바라봅니다. 졸업 후 란차베키아는 학교에서 만난 훈 와이와 란차베키아+와이를 설립하여 지금까지 함께 활동하고 있습니다. (...)

2007-04-12 | 독일, 복제품 전시관 오픈

표절, 도용, 복제라는 오랜 문제에 대해 아예 그런 제품을 시상하고 전시하는 방식으로 불명예를 안기는 단체가 있습니다. 2007년 오늘자 뉴스는 독일의 ‘표절 방지를 위한 행동’이 연 표절 제품 전시관 소식입니다.

2009-06-02 | 친환경 ‘전시디자인’

2009년 쿠퍼휴잇에서 열린 ‘생태계를 위한 디자인’은 자연과 인간의 공존을 도모하는 디자인을 선보이는 자리였습니다. 그리고 뮤지엄 측은 그러한 전시에 걸맞은 ‘전시디자인’을 모색했죠. 쿠퍼휴잇의 엘렌 럽튼이 말하는 친환경 전시를 위한 친환경 전시디자인 이야기는 여전히 눈여겨 볼 만합니다. 

2011-01-21 | ‘풍선 강아지’ 소동

제프 쿤스가 풍선 강아지 모양의 북엔드를 만든 제조사와 판매처에 소송을 걸었습니다. 그의 대표작 ‘풍선 강아지’의 저작권을 침해했다는 주장이었지요. 법조계의 예상도 세간의 시선도 그의 편은 아니었고, 결국 얼마 지나지 않아 제프 쿤스 측은 소송을 포기하고 판매처와 제조사에 대해 어떤 소송도 제기하지 않겠노라 합의하며 소동은 마무리되었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