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리의 질서’: 소리의 데이터 세계로 이끄는 문

‘소리의 질서(Order Of Sound)’, 2020. © Christos Voutichtis

예술가 겸 건축가 크리스토스 부티히티스(Christos Voutichtis)가 제너러티브 아트 ‘소리의 질서(Order of Sound)’를 선보였다. 이 작품은 다섯 개의 키네틱 안테나 수신기를 원형으로 설치하여 대기중 전자기파의 횡방향 진동을 포착하고 공공장소, 건축물, 자연의 소리를 탐지하는 것이 특징이다.

*제너러티브 아트(Generative Art): 컴퓨터 알고리즘을 바탕으로 우연적 결과물을 생성하는 디지털 아트.

‘소리의 질서’ 데이터 수집 및 작업 과정. © Christos Voutichtis

부티히티스는 다양한 매체를 통해 소리의 실체가 변화하는 과정을 보여주는데, 이번 작업에서는 전자기 스펙트럼에서 데이터를 수집하여 소리를 시각화하는 작업을 선보였다.

수집된 데이터의 통계학적 수치는 인공지능을 통해 그래픽 요소로 도식화된다. 이렇게 변환된 수치는 비주얼 라이브 프로그래밍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3D 가상 세계나 거대한 데이터 세계에서 시각화된다. 그리고 관람자들은 스크린이나 VR 뷰어 기기로 결과물을 경험할 수 있다.

‘소리의 질서’ 데이터 수집 과정. © Christos Voutichtis

소리의 주파수는 온도의 변화, 천둥, 허리케인과 같은 자연 현상의 소리와 인공위성, 전기 통신망, 기계, 비행기 소리에서 추출한 아날로그 및 디지털 신호로 탐지될 수 있다.

가상현실 속 ‘소리의 질서’, 2021. © Christos Voutichtis / Image: Machine

작품 ‘소리의 질서’는 단순히 다양한 장소에서 나타나는 사운드의 특징을 탐색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도 있지만, 부티히티스는 이 작업을 통해 공공장소의 사유화와 관련된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했다. 그는 실제 물리적인 공간에서든 가상 공간에서든 공공장소가 점점 더 사유화, 제도화되고 있으며, 사회적 불평등은 점점 더 양극화 되고 있다고 생각했다. 부티히티스는 어떠한 법칙도 존재하지 않고 그 누구도 소외되지 않는 가상 공간 세계를 만들어 기존의 위계질서에 도전하는 의지를 표현했다.

studio-urma.com

© designflux.co.kr

강예린

지구에 이로운 디자인이 있을까요? 우리가 쓰는 모든 것은 어떻게 만들어지고, 결국 어디로 버려질까요? 호기심이 많은 초보 연구자입니다. 모든 광고 문구에 빠르고 편리함을 강조하는 세상에서 조금은 느리고 불편한 것, 누군가 소외되지 않는 것에 마음을 씁니다.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7-11-08 | 존 마에다 x 리복

존 마에다와 리복의 만남. ‘타임태니엄’ 스니커즈는 그가 특별히 고안한 알고리듬과 코드를 입고 있습니다. 신발 속 가득한 공식과 수식이 만들어낸 이미지가 신발의 겉을 장식하고 있지요. 기술을 인간화하며, 컴퓨터를 자체로 하나의 매체로 삼은 디자이너이자 컴퓨터 과학자이자 예술가이자 교육자. 이 소식을 전한 지 한 달 조금 넘어, 그의 신상에 주요한 변화가 있었지요. 오래 몸담았던 MIT 미디어랩을 떠나 2007년 12월 RISD 학장에 선임되었다는 소식이었습니다.

2011-05-12 | OCAD U 시각 아이덴티티

2011년 새단장한 온타리오미술디자인대학의 시각 아이덴티티가 공개되었습니다. 흑백의 창들로 이뤄진 가변형의 로고 디자인이 핵심입니다. 고정형에서 가변형으로 또 더 나아가 반응형에 이르기까지, 2010년을 전후로 운신의 폭을 넓힌 아이덴티티 디자인들이 속속 등장하며 하나의 추세를 이루었습니다. 2009년의 멜버른 시 아이덴티티, 2011년의 BMW 구겐하임 랩 아이덴티티, 2013년의 휘트니 미술관 그래픽 아이덴티티 같은 사례처럼요. 변화하는 디지털 미디어 환경과 시기적으로 궤를 같이 한 아이덴티티 디자인의 ‘동적’ 변화입니다.

2007-01-24 | 일회용 정원, ‘B-백’

작년 농촌진흥청이 진행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코로나19 이후 10명 중 5명이 “반려식물”에 관심이 더 커졌다고 답했습니다. 집에 머물러야 하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집 안에 자연을 들이는 홈 가드닝에 대한 관심도 자연스럽게 늘어났지요. 2007년에 전해드렸던 독특한 모양의 그로우 백 소식이 새삼 다시 눈에 띈 이유일지도요.

2010-08-03 | V&A 키네틱 간판

디자인플럭스의 옛 로고를 기억하시는 분이 있을까요. 디자인플럭스라는 이름 아래 “디자인 테크놀로지 아트”라는 태그라인이 자리해 있었는데요. 오늘 뉴스의 주인공 트로이카(Troika)야말로 이 문구에 잘 어울릴 법한 그룹입니다. 2010년 런던 사우스켄싱턴 지하철역 안, V&A 뮤지엄으로 연결되는 통로 입구에 빅토리아 시대의 기계장치를 연상시키는 간판 하나가 설치되었습니다. 앨런 플레처의 V&A 모노그램이 세 부분으로 나뉘어 회전하며 번갈아가며 앞뒤로 V&A 로고를 만들어냅니다. 교통의 장소에서 만나는 트로이카. 2008년 히드로 공항 5터미널에 설치되었던 트로이카의 ‘구름’도 그랬지요.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