깨끗한 옷을 입을 권리: 모두를 위한 세탁기 프로젝트

2019년에 설립된 사회적 기업, ‘세탁기 프로젝트(The Washing Machine Project)’에서는 누구나 깨끗한 옷을 입을 권리가 있다는 점을 강조하며, 특히 전기와 물이 부족한 난민과 저소득층을 위한 수동형 세탁기를 만들어오고 있다.

기업의 CEO인 나브잣 소니는 다이슨의 엔지니어직을 그만둔 후, 국경 없는 과학기술자회(Engineers Without Borders)가 있는 인도 남부로 향했다. 그곳에서 쿡스토브를 개발하던 소니는, 넘쳐나는 빨랫거리와 손세탁 때문에 피부 발진과 허리 통증으로 고통받는 이웃들의 상황을 포착했다. 2018년에 영국으로 돌아온 후 그는 곧바로 팀을 꾸려 전기를 사용하지 않는 수동형 세탁기의 프로토타입 개발에 착수했다. 그리고 같은 해 이라크의 난민캠프에서 수동형 세탁기의 프로토타입 모델을 시범 운영했다.

이라크 난민 캠프에서 수동형 세탁기 프로토타입 테스트, 2018 © The Washing Machine Project

이라크에서 성공적으로 시범 운영을 마친 후 ‘세탁기 프로젝트’는 UNCHR, 세이브 더 칠드런, 옥스팜, 국제원조구호기구, 플랜인터내셔널과 같은 국제기구와 파트너십을 체결했고, 해외 여러 국가로부터 3,000여 개 이상의 주문을 받았다. 이처럼 수동형 세탁기에 대한 수요가 높아짐에 따라 영국 브리스톨 대학교 학생들이 참가한 디자인 개선 프로젝트가 진행되었다. 이 디자인 팀에서는 우간다, 자메이카, 네팔, 인도, 필리핀을 포함한 17개 국가에서, 3,000여 가구와의 인터뷰, 이들의 세탁 습관을 관찰하는 민족지학적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 결과, 저개발 국가의 가구 당 구성원은 평균 6명으로 파악되었고, 6명의 빨래를 하기 위해서는 최소 5kg 용량 이상의 세탁기가 필요하다는 점을 알아냈다. 그 결과 충분한 용량, 짧은 시간에, 적은 힘으로, 더 깨끗하게 세탁하는 것을 지향한 최신 버전의 세탁기를 디자인해냈다.

프로토타입 모음 사진, 2021 © The Washing Machine Project

‘세탁기 프로젝트’는 난민과 저개발국의 저소득층을 위한 세탁기에서 시작했지만, 최근 팬데믹으로 생활고를 겪는 영국인들 사이에서도 이 세탁기의 수요가 증가하기 시작하여 전체 주문의 20%를 차지했다.

thewashingmachineproject.org
designweek.co.uk

© designflux.ac.kr

이서영

디자인 우주를 여행하던 중 타고 있던 우주선의 내비게이션에 문제가 생겨 목적지를 잃고 우주를 부유하는 중입니다. 이 넓은 디자인 우주에서 어디로 가야할지 몰라 근처에 반짝이는 별이 보일 때마다 착륙해 탐험하고 탐험이 끝나면 떠나기를 반복하고 있습니다. 근데 생각보다 나쁘지 않더군요. 오히려 재미를 느끼기 시작했습니다. 이제 또 다음 별로 출발해보려 합니다.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0-04-13 | 엔초 마리 ‘자급자족 디자인’ 부활

작년 한 해 코로나19가 안긴 수많은 부고 가운데 안타깝게도 엔초 마리와 그의 부인 레아 베르지네의 타계 소식이 있었습니다. 그것도 밀라노 트리엔날레에서 열린 회고전의 개막 직후의 일이었습니다. 오늘의 뉴스는 엔초 마리의 ‘자급자족 디자인’입니다. “디자인은 지식을 전할 때 오로지 디자인이다.” 엔초 마리의 ‘자급자족 디자인’은 완성품으로서의 가구가 아니라 지식으로서의 가구를 전했습니다. 2010년 아르텍은 그 ‘자급자족 디자인’의 첫 번째 가구인 ‘의자 1’을 다시 소개하며 엔초 마리에게 경의를 표했습니다. 기사에 언급된 짤막한 다큐멘터리에서 그의 모습과 그가 믿는 디자인 이야기도 다시 만나봅니다.

〈디자인 스터디즈〉(Design Studies) 인류학적 디자인, 디자인 인류학의 연구들

인류학은 인간 보편을 연구하는 학문이지만 다양하고 특수한 민족지(知)를 구성함으로써 문명적 인간의 모순을 드러내고 성찰하는...

미완의 건축(세미 아키텍처)

도쿄의 스키마타(Schemata architects) 건축 사무소가 디자인한 무사시노 미술대학 실내디자인과 건물 16 ‘세미 아키텍처(Semi-architecture)’가 완성된...

2010-07-08 | 2010 서펀타인 갤러리 파빌리온

2010년은 런던의 서펀타인 갤러리에 의미 있는 해였습니다. 개관 40주년에 매년 여름 선보인 파빌리온 프로젝트 10주년을 맞이한 해였지요. 여러 모로 기념할 만 했던 그 해, 서펀타인 갤러리가 선택한 파빌리온 건축의 주인공은 장 누벨이었습니다. 켄싱턴 가든의 녹음과 대비되는 강렬한 적색의 캔틸레버 구조물이 기하학적 형상을 이루며 존재감을 강변합니다. (...)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