깨끗한 옷을 입을 권리: 모두를 위한 세탁기 프로젝트

2019년에 설립된 사회적 기업, ‘세탁기 프로젝트(The Washing Machine Project)’에서는 누구나 깨끗한 옷을 입을 권리가 있다는 점을 강조하며, 특히 전기와 물이 부족한 난민과 저소득층을 위한 수동형 세탁기를 만들어오고 있다.

기업의 CEO인 나브잣 소니는 다이슨의 엔지니어직을 그만둔 후, 국경 없는 과학기술자회(Engineers Without Borders)가 있는 인도 남부로 향했다. 그곳에서 쿡스토브를 개발하던 소니는, 넘쳐나는 빨랫거리와 손세탁 때문에 피부 발진과 허리 통증으로 고통받는 이웃들의 상황을 포착했다. 2018년에 영국으로 돌아온 후 그는 곧바로 팀을 꾸려 전기를 사용하지 않는 수동형 세탁기의 프로토타입 개발에 착수했다. 그리고 같은 해 이라크의 난민캠프에서 수동형 세탁기의 프로토타입 모델을 시범 운영했다.

이라크 난민 캠프에서 수동형 세탁기 프로토타입 테스트, 2018 © The Washing Machine Project

이라크에서 성공적으로 시범 운영을 마친 후 ‘세탁기 프로젝트’는 UNCHR, 세이브 더 칠드런, 옥스팜, 국제원조구호기구, 플랜인터내셔널과 같은 국제기구와 파트너십을 체결했고, 해외 여러 국가로부터 3,000여 개 이상의 주문을 받았다. 이처럼 수동형 세탁기에 대한 수요가 높아짐에 따라 영국 브리스톨 대학교 학생들이 참가한 디자인 개선 프로젝트가 진행되었다. 이 디자인 팀에서는 우간다, 자메이카, 네팔, 인도, 필리핀을 포함한 17개 국가에서, 3,000여 가구와의 인터뷰, 이들의 세탁 습관을 관찰하는 민족지학적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 결과, 저개발 국가의 가구 당 구성원은 평균 6명으로 파악되었고, 6명의 빨래를 하기 위해서는 최소 5kg 용량 이상의 세탁기가 필요하다는 점을 알아냈다. 그 결과 충분한 용량, 짧은 시간에, 적은 힘으로, 더 깨끗하게 세탁하는 것을 지향한 최신 버전의 세탁기를 디자인해냈다.

프로토타입 모음 사진, 2021 © The Washing Machine Project

‘세탁기 프로젝트’는 난민과 저개발국의 저소득층을 위한 세탁기에서 시작했지만, 최근 팬데믹으로 생활고를 겪는 영국인들 사이에서도 이 세탁기의 수요가 증가하기 시작하여 전체 주문의 20%를 차지했다.

thewashingmachineproject.org
designweek.co.uk

© designflux.ac.kr

이서영

디자인 우주를 여행하던 중 타고 있던 우주선의 내비게이션에 문제가 생겨 목적지를 잃고 우주를 부유하는 중입니다. 이 넓은 디자인 우주에서 어디로 가야할지 몰라 근처에 반짝이는 별이 보일 때마다 착륙해 탐험하고 탐험이 끝나면 떠나기를 반복하고 있습니다. 근데 생각보다 나쁘지 않더군요. 오히려 재미를 느끼기 시작했습니다. 이제 또 다음 별로 출발해보려 합니다.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7-06-21 | RCA 졸업전

1851년 런던의 하이드 파크에 거대한 유리 건물이 세워졌습니다. 이름하여 ‘수정궁’ 안에 만국의 산업, 문화, 예술 생산품을 선보였던 그 행사의 이름은 ‘대박람회’였습니다. 만국박람회의 시대를 열었던 이 행사는 영국의 여러 박물관을 비롯해 대학의 설립으로 이어졌습니다. 그리고 영국왕립예술학교도 그 중 하나였지요. 2007년 영국왕립예술학교는 ‘대박람회’ 150주년을 기념하며, 졸업전시회를 그에 헌정했습니다. 

2010-05-13 | ‘모어’는 지루해

“미니멀리스트 그래픽 아트”라는 부제가 암시하듯, 2010년 열린 ‘모어 이즈 어 보어’ 전시는 단순과 절제의 형태 언어를 구사하는 젊은 그래픽 디자이너들의 작업을 한자리에 모았습니다. 모어가 아니라 레스이기에 보여줄 수 있는 활기와 즐거움을 담은 작품들을요.

2009-05-12 | 테이블 벤치 의자

테이블, 벤치, 의자의 것들을 지닌 의자. 인더스트리얼 퍼실리티의 샘 헥트가 2009년 이스테블리시드 앤 선즈를 통해 선보인 가구는 이른바 “사이”에 놓인 의자입니다. 샘 헥트는 1인용 좌석의 연쇄인 지하철 좌석에서 이처럼 사이의 상태에 있는 가구라는 아이디어를 얻었다고 하는군요.

정부의 지난 행보를 상기하는 달력 ‘Everyday Blues’

영국의 크리에이티브 그룹 케셀크레이머(KesselsKramer)가 달력 프로젝트의 결과물 ‘에브리데이 블루스(Everyday Blues)’를 선보였다. 오리얼 웰스(Oriel Wells)가 기획하고 12명의 시각 분야...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