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 ‘빌어먹을 우리 뒷마당 (It’s Our F***ing Backyard)’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스테델릭 뮤지엄(Stedelijk Museum Amsterdam)에서 전시 ‘빌어먹을 우리 뒷마당(It’s Our F***ing Backyard)’이 2022년 5월 26일부터 9월 4일까지 진행된다. 사람들은 기후 문제에 대해 ‘우리 집 마당에는 안된다(Not In My Back Yard)’라고 자신의 문제로 생각하지 않는 경향이 있지만, 이것은 명백하게 우리의 문제이다. 이번 전시를 통해 기후 문제의 시급성을 표명하고 재료의 사용과 디자인의 사회적 중요성에 대한 다양한 시각을 제공한다.

이 전시를 위해 전세계의 디자이너와 디자인 전문회사가 선택한 80개의 프로젝트에는 재료의 혁신적인 사용을 탐구하는 내용이 담겨 있다. 폐자재를 재활용한 디자인, 자연에서 직접 소재를 얻는 작업, 과거의 공예 기술을 새롭게 적용시키는 작품 등을 전시하며, 이미 시장에 나와 있는 제품과 더불어 실험적 작업과, 프로토타입도 함께 선보인다.

디자인 스튜디오 벤투(Bentu)는 세라믹 폐기물로 가구를 제작하며, 타마라 오르졸라(Tamara Orjola)는 솔잎으로 직물을 만들고, 스튜디오 베이스 스티트겐(Basse Stittgen)은 소의 피로 식기를 생산한다.

타마라 오르졸라, 포레스트 울(Forest Wool), 2016. ⓒ Design Academy Eindhoven. Photo: Ronald Smits
베이스 스티트겐, 블러드 릴레이티드(Blood Related), 2017. ⓒ Basse Stittgen

클로디 용스트라(Claudy Jongstra)는 빅터 앤 롤프(Viktor & Rolf)의 천연 염색법을 도입, 윤석현은 전통적인 옻칠 기법을 사용하여 재활용 가능한 도자기를 만들었다. 또한 발리의 디자인 스튜디오 스페이스 어베일러블(Space Available)은 DJ 페기 구(DJ Peggy Gou)와 함께 인도네시아에서 수거된 20kg의 플라스틱 폐기물로 의자를 선보였다.

스페이스 어베일러블 X 페기구, 페기 체어(Peggy Chair), 2021. ⓒ Stedelijk Museum Amsterdam

이들의 혁신적인 접근 방식을 통해 물질이 지구에 미치는 영향과 재료 사용법 생산, 소비, 오염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재고해보게 된다. 전시를 기획한 스테델릭 뮤지엄 관장은 이번 전시를 통해 기후 관련 활동을 장려하고, 사회에서 디자인이 할 수 있는 역할을 강조하면서 잠재적 변화 가능성을 재현하고자 했다고 말한다.

전시 ’빌어먹을 우리 뒷마당’ 전경. Photo: Gert Jan van Rooij
전시 ’빌어먹을 우리 뒷마당’ 전경. Photo: Tomek Dersu Aaron

stedelijk.nl

ⓒ designflux.co.kr

박지민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0-09-13 | 이베이 박스

팬데믹을 지나며 미국에서도 온라인 쇼핑 이용자가 크게 늘었습니다. 안전과 편의가 낳은 부작용 가운데 하나라면 포장 폐기물의 증가입니다. 배송이 유일한 판매 방식인 기업들은 그래서 전통적인 일회용 종이 박스 대신에 재사용 박스를 도입하기도 했죠. 2010년 이베이는 종이 박스이면서도 최소 5번의 재이용을 꾀하는 포장을 모색했습니다. 이름하여 ‘이베이 박스’는 그것이 이베이이기에 가능한 발상이었습니다. 구매자가 판매자가 되기도 하고 판매자가 구매자가 되기도 하는 곳이었으니까요. 하지만 12년이 지난 지금은 이베이 박스 홈페이지 링크도, 이베이 그린 팀의 홈페이지 링크도 갈 곳을 잃었습니다.

2011-10-24 | 아키진스

세계 각국의 건축 관련 잡지들을 모은 온라인 아카이브 ‘아키진스’의 오프라인 전시가 2011년 AA 건축학교에서 열렸습니다. 동명의 전시회 ‘아키진스’에서는 20여 개 국가에서 나온 건축 관련 잡지, 팬진, 저널 등 총 60여 종을 소개했습니다. 가내수공업 스타일의 무료 잡지에서 이름난 건축 전문지까지, 각각의 출판물과 이를 만드는 사람들의 인터뷰가 나란히 함께 하였죠.

2009-08-05 | 프로젝터까지 품었습니다

아주 오래 전 일은 아니었습니다. 필름이 없어도 되는 카메라가 사람들의 손에 손에 들려 있던 시절이요. 휴대폰에 카메라가 있기는 했어도, 카메라에 비할 수준은 되지 않았고, 그렇게 카메라는 단독으로 존재하는 기기였습니다. 하지만 모두 알다시피, 작고 가볍고 부담 없어 인기를 누렸던 유형의 디지털카메라들은 이후 스마트폰에 흡수되었습니다. 오늘의 옛 소식은 스마트폰 초창기, 다른 기기를 흡수하며 생존을 모색하던 디지털 카메라의 이야기입니다.

버려진 어망에서 의자로

스웨덴의 스튜디오 ‘인터레스팅 타임즈 갱즈(Interesting Times gangs)’는 재활용 어망과 목재섬유(Wood fiber)를 결합한 소재를 3D프린팅하여...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