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 거주지 ‘루나르크’ 디자인

그린란드에서 미션 수행 중인 ‘루나르크’, 2020. © SAGA space architects

덴마크 건축 회사 ‘사가 스페이스 건축(SAGA Space Architects, 이하 사가)’는 우주 여행자가 우주에서 삶을 영위할 수 있는 방안을 디자인적으로 접근하여 거주지를 설계한다.

2018년에 설립된 사가에서는 중력 감소 실험, 화성 시뮬레이션, 달 전력 솔루션 등의 프로젝트를 선보여왔는데, 현재, 2024년으로 계획된 유인 달 착륙에 사용될 것을 목표로 전개형 구조의 달 거주지 ‘루나르크(LUNARK)’를 개발하고 있다. 2020년, 우주 건축가 세바스티안 아리스토텔리스와 카를 요한 쇠렌센은 그린란드 북부에 설치된 ‘루나르크’에 60일 동안 머물며 일상 생활을 하는 미션을 수행했다. 북극에서 1000km 떨어진 그린란드 북부 지역의 환경은 극한의 조건에 노출되어 있어서 다른 어느 지역보다 우주 실험에 적합하다.

루나르크’에서 가장 눈에 띄는 특징은 단단한 탄소 섬유 패널로 제작된 접이식 외벽이다. 운반에 용이하도록 컴팩트하게 접혀 있는 이 구조는 달에 착륙한 후에 펼치면 부피가 7.5배까지 팽창한다. 덕분에 우주인은 이 거주지 내부에서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운반 중인 ‘루나르크’, 2020. © SAGA space architects

달에서는 거주지의 바깥으로 진공 상태, 방사선 노출, 300도 이상 벌어지는 일교차 등 가혹한 환경이 펼쳐진다. 사가에서는 생물학적 주기에 맞춰 빛을 변화시키는 일주기 라이트 패널(Circadian light panel)을 개발하여 극한의 외부 환경으로부터 우주인을 삶을 보호하고 개선할 수 있는 돌파구를 마련했다. 패널에 장착된 인공조명의 빛과 색은 지구의 일몰과 일출에 맞춰 변화하면서 우주인에게 마치 지구의 시간 속에 있는 듯한 느낌을 주어, 적정 시간에 일어나고 잠자리에 들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루나르크’ 내부 사진, (좌) 쇠렌센, (우) 아리스토텔리스, 2020. © SAGA space architects

사가는 2020년 그린란드 북부에서의 미션을 마친 후 2021년 여름에 ‘루나르크’를 덴마크로 옮겨와 수리했다. 그리고 지난 2월부터는 덴마크 건축 센터(Danish Architectur center)에서 개최된 전시 ‘스페이스 사가(A Space SAGA)’에서 2022년 9월 4일까지 전시 중이다.

‘스페이스 사가’ 전시장 전경, 2022. © SAGA space architects

dac.dk
saga.dk

© designflux.ac.kr

이서영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0-05-18 | 테크노크래프트

퓨즈프로젝트의 디자이너 이브 베하가 큐레이터가 되어 18개월 간 동시대 ‘만들기(making)’의 양상을 들여다 보았습니다. 크라우드소싱, 플랫폼, 청사진, 해킹, 미완성, 모듈이라는 여섯 개의 키워드를 통해서 말이죠. 2010년 YBCA에서 열린 전시회 ‘테크노크래프트’ 소식입니다.

런던 지하 대피소 경험: ‘비밀 대피소 챌린지’

런던 교통 박물관(London Transport Museum, 이하 LTM)과 게임 개발사 뮤세미오(Musemio)가 어린이를 2차 세계대전의 지하...

2010-07-14 | 스마트폰 데이터 소비 동향

지금으로부터 10여 년 전, 그러니까 스마트폰이 전체 휴대폰 시장의 1/4 정도를 차지했던 시절, 스마트폰 사용자들의 데이터 소비 동향은 어떠했을까요. 시장조사기관 닐슨이 미국 내 6만여 명을 대상으로 월별 데이터 소비 내용을 수집하여 분석했습니다. 데이터 소비량은 전년 동기와 비교해 세 배 이상 훌쩍 뛰었습니다. 90MB에서 298MB로 말이지요. 세월이 느껴지는 단위이기는 해도, 헤비 유저가 데이터 트래픽의 상당량을 차지하는 현상은 그때나 지금이나 크게 다르지 않군요.

폐기물 시대: 디자인은 무엇을 할 수 있을까?

버려진 재료에서 영감을 받아 작업하는 디자이너를 소개하는 전시가 지난 20일 까지 런던에 위치한 디자인...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