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 거주지 ‘루나르크’ 디자인

그린란드에서 미션 수행 중인 ‘루나르크’, 2020. © SAGA space architects

덴마크 건축 회사 ‘사가 스페이스 건축(SAGA Space Architects, 이하 사가)’는 우주 여행자가 우주에서 삶을 영위할 수 있는 방안을 디자인적으로 접근하여 거주지를 설계한다.

2018년에 설립된 사가에서는 중력 감소 실험, 화성 시뮬레이션, 달 전력 솔루션 등의 프로젝트를 선보여왔는데, 현재, 2024년으로 계획된 유인 달 착륙에 사용될 것을 목표로 전개형 구조의 달 거주지 ‘루나르크(LUNARK)’를 개발하고 있다. 2020년, 우주 건축가 세바스티안 아리스토텔리스와 카를 요한 쇠렌센은 그린란드 북부에 설치된 ‘루나르크’에 60일 동안 머물며 일상 생활을 하는 미션을 수행했다. 북극에서 1000km 떨어진 그린란드 북부 지역의 환경은 극한의 조건에 노출되어 있어서 다른 어느 지역보다 우주 실험에 적합하다.

루나르크’에서 가장 눈에 띄는 특징은 단단한 탄소 섬유 패널로 제작된 접이식 외벽이다. 운반에 용이하도록 컴팩트하게 접혀 있는 이 구조는 달에 착륙한 후에 펼치면 부피가 7.5배까지 팽창한다. 덕분에 우주인은 이 거주지 내부에서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운반 중인 ‘루나르크’, 2020. © SAGA space architects

달에서는 거주지의 바깥으로 진공 상태, 방사선 노출, 300도 이상 벌어지는 일교차 등 가혹한 환경이 펼쳐진다. 사가에서는 생물학적 주기에 맞춰 빛을 변화시키는 일주기 라이트 패널(Circadian light panel)을 개발하여 극한의 외부 환경으로부터 우주인을 삶을 보호하고 개선할 수 있는 돌파구를 마련했다. 패널에 장착된 인공조명의 빛과 색은 지구의 일몰과 일출에 맞춰 변화하면서 우주인에게 마치 지구의 시간 속에 있는 듯한 느낌을 주어, 적정 시간에 일어나고 잠자리에 들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루나르크’ 내부 사진, (좌) 쇠렌센, (우) 아리스토텔리스, 2020. © SAGA space architects

사가는 2020년 그린란드 북부에서의 미션을 마친 후 2021년 여름에 ‘루나르크’를 덴마크로 옮겨와 수리했다. 그리고 지난 2월부터는 덴마크 건축 센터(Danish Architectur center)에서 개최된 전시 ‘스페이스 사가(A Space SAGA)’에서 2022년 9월 4일까지 전시 중이다.

‘스페이스 사가’ 전시장 전경, 2022. © SAGA space architects

dac.dk
saga.dk

© designflux.ac.kr

이서영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6-12-15 | 로고들의 무덤

‘로고 R.I.P.’는 지금은 사라진 그러나 고전이라 할 로고들을 기념합니다. 책으로, 웹사이트로, 또 묘지의 비석으로도 말이지요. 암스테르담에서 브랜딩 컨설턴시인 더 스톤 트윈스를 함께 운영하는 쌍둥이 형제, 데클란 스톤과 가렉 스톤은 AT&T에서 제록스에 이르기까지, 사멸한 로고들의 이야기를 전합니다. 마차 부고 기사 속 생애의 요약처럼요.

2011-09-02 | 방사능 통제

2011년 거대한 쓰나미가 야기한 방사능 위기는 아직도 진행형입니다. 내년 봄이면 후쿠시마의 오염수는 태평양으로 방류될 것입니다. 2011년 그해 가을, 함부르크 독빌 페스티벌에는 100명의 방사능 병정들이 등장했습니다. 루스인테르툽스는 고개를 숙인 채 어딘가로 향하는 방사능 처리 요원들의 모습을 통해 방사능의 안전 신화가 무너진 현실의 무게를 다시금 생각하게 하였습니다.

물 재사용

이케아의 디자인 연구소인 스페이스 10(Space 10)과 델프트 공과대학교(TU Delft)가 물을 재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프로젝트를...

2008-12-09 | 동전 한 닢 USB 드라이브

영락 없이 동전의 모습을 한 USB 플래시 드라이브. 라시의 ‘커런키’입니다. 기술 중심의 제품군에 기반한 브랜드이지만, 라시는 성능과 안정성 외에도 디자인에 각별히 신경을 써왔습니다. 5.5 디자이너스에게 USB 플래시 드라이브의 디자인을 의뢰한 까닭이지요. 5.5 디자이너스는 USB 드라이브에 아주 일상적인 사물의 이미지를 부여했습니다. 동전이라던가 또 열쇠처럼요. 재치 있는 그러면서도 본래 물건의 휴대 습관에 자연스레 편승하는 영리한 디자인이었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