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5-31 | 팬톤 호텔

Editor’s Comment

팬톤의 컬러칩은 팬톤의 주력 상품이기도 하지만, 자체로 팬톤을 상징하는 디자인 자산이기도 하죠. 컬러칩의 모양새는 팬톤과의 ‘협업’을 원하는 여러 브랜드의 제품에 널리 활용되고, 또 팬톤의 자체 라이프스타일 소품군의 기반이기도 합니다. 2010년 팬톤은 브뤼셀에 호텔을 열며, 소위 ‘팬톤 유니버스’를 소품에서 공간으로 확대했습니다. 다만 더 이상 팬톤 호텔을 방문할 수는 없으니, 팬톤이 떠나고 이미 다른 호텔이 운영 중입니다.

컬러 전문 기업 팬톤이 벨기에 브뤼셀에 부티크 호텔을 열었다. ‘팬톤 호텔(Pantone Hotel)’은 브뤼셀 도심, 루이즈 가에 자리잡고 있다. 총 7층, 59개 객실 규모의 호텔은 벨기에의 건축가 올리비에 아나에르(Olivier Hannaert)와 인테리어 디자이너 미셸 펜느망(Michel Penneman)이 디자인을 맡았다. 

S 룸 
photo by Serge Anton

‘팬톤 호텔’의 핵심은 역시 컬러다. 호텔은 각 층마다 서로 다른 컬러 팔레트로, 이 곳이 ‘팬톤의’ 호텔임을 상기시킨다. 객실 역시 팬톤의 생기 넘치는 ‘액센트’ 컬러를 위한 캔버스다. 하얀 벽과 침구를 배경으로, 사진작가 빅터 레비(Victor Levy)의 사진과 테마 색상들이 객실마다 고유의 분위기를 만들어낸다. 

‘팬톤 호텔’의 오픈은 팬톤의 디자인제품인 ‘팬톤 유니버스(Pantone Universe)’ 라인의 연장선 상에 있다. 팬톤 칩에서 아이디어를 얻은 머그컵에서 자전거, 열쇠고리까지, 팬톤과 연관된 다양한 제품들을 이곳 ‘팬톤 호텔’에도 비치되어 있으며, 판매도 이뤄진다.

한편 팬톤은 다양한 컬러 관련 서비스도 운영할 계획이다. 예약제로 팬톤의 컬러 컨설턴트와의 상담을 운영하며, 또 컬러 심리학이나 트렌드와 관련된 교육 세미나들도 직접 주최할 예정이라고. 

www.pantonehotel.com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수분 매개자를 위한 알고리즘 정원: 수분(受粉) 패스메이커

‘수분(受粉) 패스메이커(Pollinator Pathmaker)’는 꽃가루를 옮기는 벌, 나비 등의 수분 매개자(Pollinator)를 위해 인간이 식물을 심고...

2011-11-03 | 쿠퍼휴잇, 디지털 서체 ‘클리어뷰’ 소장

쿠퍼휴잇 내셔널 디자인 뮤지엄이 소장한 최초의 디지털 서체는 고속도로 표지를 위해 태어난 ‘클리어뷰’입니다. 노년에 접어든 베이비붐 세대 운전자를 위해 태어난 도로표지판용 서체인데요. ‘클리어뷰’라는 이름답게 밤이면 빛 반사로 글자가 번져보이는 등 기존의 서체가 지녔던 문제를 개선하였습니다. 쿠퍼휴잇은 이 서체가 “사회적 참여로서의 디자인 사례”라는 데 주목하여 소장을 결정하였다고요. 

2010-02-09 | 안전한 맥주잔 디자인

범죄라는 심상치 않은 문제를 다루는 디자인이 있습니다. 범죄에 맞서는 디자인(design against crime)이라는 표현으로 대표되는 실천들입니다. 어떤 디자인은 범죄의 예방에, 또 어떤 디자인은 범죄의 여파의 축소에 무게를 두기도 합니다. 2010년 오늘의 소식은 후자에 가까운 사례인데요. 음주와 폭력의 불행한 조합 속에서 위험천만한 흉기가 되곤 하는 맥주잔을 더 안전하게 만들기 위한 시도입니다.

2009-08-05 | 프로젝터까지 품었습니다

아주 오래 전 일은 아니었습니다. 필름이 없어도 되는 카메라가 사람들의 손에 손에 들려 있던 시절이요. 휴대폰에 카메라가 있기는 했어도, 카메라에 비할 수준은 되지 않았고, 그렇게 카메라는 단독으로 존재하는 기기였습니다. 하지만 모두 알다시피, 작고 가볍고 부담 없어 인기를 누렸던 유형의 디지털카메라들은 이후 스마트폰에 흡수되었습니다. 오늘의 옛 소식은 스마트폰 초창기, 다른 기기를 흡수하며 생존을 모색하던 디지털 카메라의 이야기입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