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5-27 | ‘214’ 의자 150 주년 

Editor’s Comment

나무를 구부리는 곡목 기법으로 태어난 최초의 대량생산 의자. 미하엘 토네트가 만들어낸 ‘214’입니다. 19세기에 태어난 이 의자는 20세기를 지나 21세기까지 여전히 사랑받는 고전 중의 고전이 되었죠. 2009년은 ‘214’가 탄생 150주년을 맞은 해였습니다. 이를 기념해 토네트는 다리에 매듭을 더한 ‘214k’도 선보였지요.

1859년 미하엘 토네트(Michael Thonet)는 ‘14’라는 이름의 곡목(bentwood) 의자를 만들었다. 토네트 자신은 상상할 수 있었을까. 최초의‘대량생산’ 가구로서, 19세기 20세기를 지나 21세기에도 여전히 사랑 받는 의자가 되리라고 말이다. 이제는 ‘214’라 불리는 이 의자가 올해로 탄생 150주년을 맞이한다. 

‘214’는 토네트를 대표하는 아이콘으로, “커피하우스 의자”라는 애칭으로 불리며 지금까지 약 5천만 개가 생산 판매되었다. 이 의자는 6개의 부품과 한줌의 나사만으로 완성되는데, 초창기에는 플랫팩 방식으로 제작되어, 세계 곳곳으로 손쉽게 수출할 수 있었다. 게다가 대량생산 공정 덕분에 제품의 가격 역시 합리적이었고, 그만큼 폭넓은 소비자 층에 소구했으며, 품질 역시 훌륭해 세대를 거듭하며 물려 사용되었다. 실제로 현재 사용되는 ‘214’들 가운데 상당수가 19세기에 생산된 제품이기도 하다. 하지만 ‘214’의 진정한 매력은, 구부러진 나무가 만들어내는 단순 명쾌한 미학이다. “나무를 구부리는 선구적인 기법으로 탄생한 형상들이 빚어내는 미묘한 하모니. 그것이 이 의자를 시간을 초월한 고전으로 만들었다.” 부룰렉 형제의 말이다. 

<크리에이티브 리뷰> 블로그에 따르면, ‘214’ 탄생 150주년을 맞는 올해 약간의 변형을 추가한 또 하나의 특별한 ‘214’인 ‘214k’도 시판될 예정이라고. 역시 1859년 미하엘 토네트가 디자인한 ‘214k’는 의자 다리에 ‘매듭’을 더한 버전이다. 그야말로 곡목 의자다운 비틀기가 아닐지. 

www.thonet.com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90년 만에 완성된 ‘단 한 장’의 의자

1934년 헤리트 리트벨트는 단 하나의 나무 조각으로 의자를 만들겠다는 상상력에서 출발하여 선구적인 실험 작업...

2011-11-04 | 야생 순록 관찰소

노르웨이 도브레 국립 공원에 야트막한 단층 건물 하나가 세워졌습니다. 고원을 내려다보며 지역의 야생 순록을 살펴보는 관찰소입니다. 건물은 단순한 직선의 상자 실루엣을 지녔지만, 벽만은 그렇지 않습니다. 물결치듯 일렁이는 나무 벽은 옛 선박 건조 기술과 최신의 기술을 동시에 활용하여 구현한 것이라고요. 스뇌헤타의 작지만 인상적인 건축을 만나봅니다.

2010-10-05 | 자하 하디드 아키텍츠, MAXXI로 RIBA 스털링상 수상

자하 하디드 아키텍츠가 설계한 로마의 국립21세기미술관(MAXXI)이 2010년 영국왕립건축가협가가 수여하는 스털링상을 수상했습니다. 이때만 해도 스털링상은 RIBA 소속 회원이 설계했다면, 건축물의 소재 지역은 영국은 물론 유럽 연합까지 포괄하였는데요. 2015년부터는 정확히 영국 지역 내 건축물에 한정되었죠. 참고로 자하 하디드 아키텍츠는 이듬해 런던의 에블린 그레이스 아카데미 설계로 2년 연속 스털링상 수상자 명단에 올랐습니다. 

최초의 재활용 플라스틱 의자 30주년 기념 전시

뉴욕 맨해튼에 위치한 엠마 스컬리 갤러리(Emma Scully Gallery)에서 사상 최초로 가구 디자인 재활용 플라스틱을...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