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자인은 목적이 있는 표현이고, 만일 충분히 좋은 디자인이기만 하다면 훗날 예술이라 판정될 수도 있다.” 20세기의 거장 찰스 임스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그리고 21세기 하이메 아욘은 이렇게 이야기하죠. “더 이상 제품디자인과 예술 사이에 명확한 경계란 없다.” 디자인과 예술 사이를 유영하는 정체불명의 오브제들. 이를 조명하는 전시 ‘U.F.O. : 예술과 디자인의 흐릿한 경계’가 2009년 NRW-포럼 뒤셀도르프에서 열렸습니다.
다큐멘터리 <마크 뉴슨: 어번 스페이스맨>의 한 대목. ‘록히드 라운지’를 앞에 두고, 마크 뉴슨은 다음과 같이 이야기한다. “의자라기보다는 사실 조각일 텐데, 의자란 이 작품이 탄생하기 위해 필요한 구실이라고나 할까요.” 의자의 형상을 빌어온 이 조각 앞에서 “과연 앉으면 편안합니까?”와 같은 질문은 무의미하다.
점차 더욱 모호해지는 디자인과 예술을 주제로 한 흥미로운 전시회가 개최된다. 5월 23일 NRW-포럼 뒤셀도르프에서 ‘U.F.O. : 예술과 디자인의 흐릿한 경계’가 개막했다. 마크 뉴슨, 론 아라드, 로스 러브그로브, 캄파나 형제, 부룰렉 형제, 자하 하디드 등 디자인-아트를 대표하는 대표적인 ‘거장’ 디자이너들과 더불어 스튜디오 욥, 크람/바이스하르 등 신예 디자이너들은 물론 도널드 저드, 프란츠 웨스트, 존 암리더와 같은 예술가들까지, 모두의 작품을 한자리에 망라했다.
“디자인은 목적이 있는 표현이고, 만일 충분히 좋은 디자인이기만 하다면 훗날 예술이라 판정될 수도 있다.” 20세기의 거장 찰스 임스의 말이다. 그리고 지금 하이메 아욘은 이렇게 이야기한다. “더 이상 제품디자인과 예술 사이에 명확한 경계란 없다.”
몇 십 년의 시차를 둔 이 두 개의 발언 사이, 한편으로 예술가들은 변화하는 조각의 기능을 탐색하고, 다른 한편으로 디자이너들은 스스로 ‘디자인’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차라리 조각에 가까운 디자인을 만들어내고 있다. 그러한 가운데 한때 명명백백했던 디자인과 예술 사이의 경계는 어느새 불분명해졌고, ‘디자인-아트’는 바로 이 불확실한 오브제를 지칭하는 명칭이 되었다.
디자인과 예술 사이. 그 ‘정체불명’ 오브제들의 세계. ‘U.F.O.: 예술과 디자인의 흐릿한 경계’ 전시회는 7월 5일까지 계속된다.
아이시포스터는 전 세계의 오리지널 빈티지 포스터를 판매하는 곳입니다. 하지만 주력은 60~70년대 폴란드의 영화 포스터입니다. 폴란드의 시각 문화에 있어 포스터가 차지하는 자리는 독특합니다. 영화 포스터도 정말로 색다르죠. 영화의 주요 장면나 주역들의 얼굴이 주를 이루는 전형적인 포스터는 오히려 찾아보기가 힘듭니다. 아이시포스터에서 폴란드 포스터 특유의 매력을 다시금 확인해보시죠.
2011년 런던 디자인 뮤지엄에서 디자이너 빔 크라우벌의 회고전이 영국에서는 처음으로 열렸습니다. ‘빔 크라우벌 – 그래픽 오디세이’는 “미스터 그리드닉”이라 불리웠던 그의 60년 작업 세계를 망라하는 전시였습니다. 10년 전 오늘의 소식과 함께, 2019년 타계한 그를 기리며 암스테르담 시립미술관에서 연 추모 웹사이트도 다시 방문해봅니다.
이스라엘 출신의 일러스트레이터이자 그래픽 디자이너인 노마 바는 무엇보다도 ‘네거티브 스페이스’를 활용하기로 유명합니다. 2009년에 출간한 작품집의 제목도 <네거티브 스페이스>였을 정도로요. 대상과 배경이 서로 자리 바꿈하며 펼치는 이중주. 여기 IBM을 위한 광고 일러스트레이션에서도 노마 바의 장기가 유감 없이 발휘됩니다.
세계 각국의 건축 관련 잡지들을 모은 온라인 아카이브 ‘아키진스’의 오프라인 전시가 2011년 AA 건축학교에서 열렸습니다. 동명의 전시회 ‘아키진스’에서는 20여 개 국가에서 나온 건축 관련 잡지, 팬진, 저널 등 총 60여 종을 소개했습니다. 가내수공업 스타일의 무료 잡지에서 이름난 건축 전문지까지, 각각의 출판물과 이를 만드는 사람들의 인터뷰가 나란히 함께 하였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