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리와 농부의 공생 관계: 노르딕 하우스

참솟깃오리, 2022. © The Nordic House

아이슬란드 레이캬비크의 노르딕 하우스(The Nordic House)에서 전시 ‘실험: 오리와 농부(Experiment–Eider&Farmer)’가 7월 31일까지 개최된다. 이번 전시에서는 덴마크, 아이슬란드, 노르웨이의 디자이너, 예술가 그룹 26팀이 아이슬란드의 참솟깃오리(Eider duck)와 농부의 공생 관계에 대한 예술 리서치 프로젝트와 작품을 선보인다.

아이슬란드에서 오리와 농부는 상호 이익을 주고받는 관계로 알려져 있다. 농부는 5월-6월에 오리가 둥지를 트는 동안 지켜주고, 오리는 둥지를 떠나면서 농부에게 깃털을 남겨준다. 이렇게 모은 귀한 오리깃털(Eiderdown)은 최고의 단열 소재로 최고급 이불, 베개 등에 사용된다. 놀랍게도 6월 말경에 떠난 오리들은 매년 같은 농부에게 돌아온다.

하지만 오리와 농부의 공생 관계는 기후변화와 농촌을 떠나 도시로 이주하는 인구의 증가 등 생활방식의 변화로 인해 위협받고 있다. 따라서 ‘실험: 오리와 농부’에서는 지속가능하지만 점점 사라져가는 북유럽의 전통 문화를 조명함으로써 인간이 환경을 대하고 수확하는 태도에 대한 신선한 관점을 보여준다.

‘실험: 오리와 농부’는 2019년에 시작된 리서치 프로젝트로, 덴마크, 아이슬란드를 포함한 북유럽 지역에서 디자인, 건축, 미술, 음악, 공예, 패션, 퍼포먼스 등 다양한 배경을 가진 디자이너와 예술가들이 모여 진행되었다. 오리가 연중 육지에 머무는 기간이 25일 정도밖에 되지 않아, 리서치 기간은 3년으로 연장되었다. 이 기간 동안 참여자들은 계속해서 농가를 방문하며 오리 농부, 솜털 수확 방법, 오리의 서식지를 조사했다.

‘실험: 오리와 농부’ 전시장 전경, 2022. Photo © Sunday & White Studio

1968년에 북유럽 각료회의(Nordic Council of Ministers)의 결정으로 설립된 노르딕 하우스는, 북유럽의 예술, 문화, 언어 및 담론을 위한 장소로, 아이슬란드와 다른 북유럽 국가 간의 문화 교류에 기여해왔다. 알바 알토가 설계한 이 건물에서는 뒤편의 산줄기와 유기적으로 이어지는 푸른색의 세라믹 지붕, 도서관 중앙에 놓인 우물, 건물 전체에 사용된 타일, 목재, 석고에서 알토의 후기 작품에서 볼 수 있는 특징이 뚜렷하게 나타난다. 노르딕 하우스에서 사용되는 조명과 가구도 모두 알바 알토의 작품이다.

노르딕 하우스 외부 전경 © The Nordic House

이 전시는 아이슬란드의 연례 디자인 축제인 디자인마치(DesignMarch)의 일환으로 개최되었다.

nordichouse.is

© designflux.ac.kr

디자인 우주를 여행하던 중 타고 있던 우주선의 내비게이션에 문제가 생겨 목적지를 잃고 우주를 부유하는 중입니다. 이 넓은 디자인 우주에서 어디로 가야할지 몰라 근처에 반짝이는 별이 보일 때마다 착륙해 탐험하고 탐험이 끝나면 떠나기를 반복하고 있습니다. 근데 생각보다 나쁘지 않더군요. 오히려 재미를 느끼기 시작했습니다. 이제 또 다음 별로 출발해보려 합니다.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8-06-11 | AMD 오픈 아키텍처 챌린지 수상작

인도적 위기에 대한 건축의 응답. 아키텍처 포 휴머니티의 활동은 그렇게 요약할 수 있을 것입니다. 1999년 설립 이래 아키텍처 포 휴머니티의 2000년대는 여러 모로 분주했습니다. 전쟁, 재해, 질병 등 건축적 개입이 절실한 지역 공동체와 사회적 디자인을 고민하는 디자이너, 건축가를 연계하는 플랫폼으로서, 세계 곳곳에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오픈소스 건축 네트워크를 여는가 하면 국제 디자인 공모전을 개최하였지요. 인덱스 어워드, TED 프라이즈 등 수상도 이어졌습니다. 하지만 어디로도 연결되지 않는 오늘 뉴스의 하이퍼링크들이 암시하듯, 아키텍처 포 휴머니티는 2015년 파산을 신청하며 15년 활동의 막을 내렸습니다.

2006-09-06 | ‘평화와 화해의 전당’ 개관

2006년 9월 1일, 카자흐스탄 아스타나에 ‘평화와 화해의 전당’이 문을 열었습니다. 이 건물은 거대한 피라미드의 형태를 한 이 건물은 종교와 종파 간의 갈등을 해소하고 상호 이해를 도모하는 국제 센터로서 계획되었습니다. 그리고 설계는 영국의 포스터+파트너스가 맡았죠. 

20년 후 구현된 디자인, 센토3(CENTO3)

건축가 아킬레 카스틸리오니(Achille Castiglioni)와 잔프란코 카발리아(Gianfranco Cavaglià)가 2001년에 디자인했던 필기구가 20년이 지난 후 센토3(CENTO3)라는...

정부의 지난 행보를 상기하는 달력 ‘Everyday Blues’

영국의 크리에이티브 그룹 케셀크레이머(KesselsKramer)가 달력 프로젝트의 결과물 ‘에브리데이 블루스(Everyday Blues)’를 선보였다. 오리얼 웰스(Oriel Wells)가 기획하고 12명의 시각 분야...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