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 브릭(Bee Brick): 꿀벌의 도심 속 보금자리

비 브릭(Bee Brick). © Green&Blue

영국 콘월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디자인 스튜디오 그린앤블루(Green&Blue)가 외톨이 꿀벌의 벌집 역할을 하는 건축용 벽돌을 출시했다. ‘비 브릭(Bee Brick)’은 다양한 크기의 구멍이 있는 벽돌로 꿀벌에게 아늑한 보금자리가 되면서도 건물 외벽이나 정원을 짓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브라이튼시에서는 최근 도시 계획법에 따라 5미터 이상의 신축 건물에 벌 벽돌 설치를 의무화하는 조례를 승인했다. 기후변화와 서식지의 손실로 인해 개체수가 줄어들고 있는 외톨이 꿀벌을 보존하기 위함이다. 전 세계에 분포하는 꿀벌 1만 600여 종 가운데 90% 이상은 무리를 지어 다니지 않는 외톨이 꿀벌이다. 바로 이들이 식량의 3분의 1을 수분하며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비 브릭. © Green&Blue

폐콘크리트를 재활용해 만든 비 브릭은 기존 벽돌과 크기가 비슷하고 벌집처럼 좁은 구멍이 있다. 꿀벌은 구멍 속에 알을 낳거나 입구를 초목이나 흙으로 봉인해 유충을 키우기도 한다. 벌 친화적인 디자인 요소가 더해진 벽돌은 붉은 석조벌이나 가위벌 같은 외톨이 꿀벌이 건물이나 정원에서 둥지를 꾸릴 수 있도록 돕는다.

비 브릭. © Green&Blue

외톨이 꿀벌은 해로운 곤충이 아니기 때문에 아이나 반려 동물을 키우더라도 안심하고 벽돌을 설치할 수 있다. 비 브릭은 어떠한 도시 공간에서나 사용할 수 있고 벌집을 대체할 수 없는 공간이나 기둥에서도 활용이 가능하다.

greenandblue.co.uk

© designflux.co.kr

강예린

지구에 이로운 디자인이 있을까요? 우리가 쓰는 모든 것은 어떻게 만들어지고, 결국 어디로 버려질까요? 호기심이 많은 초보 연구자입니다. 모든 광고 문구에 빠르고 편리함을 강조하는 세상에서 조금은 느리고 불편한 것, 누군가 소외되지 않는 것에 마음을 씁니다.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7-05-18 | 마르티 긱세의 푸드 디자인

마르티 긱세는 자신을 푸드 디자이너라 소개합니다. 음식은 디자인의 대상으로, 여기에서 음식 디자인은 조리법이나 미식의 개념과는 관계가 없습니다. 음식 역시 다른 사물과 마찬가지로 디자인된 무엇이며, 다만 먹을 수 있다는 특징이 있을 뿐이지요. 2007년 오늘 디자인플럭스에서는 마르티 긱세의 푸드 디자인을 전했습니다. 파이 차트의 현현으로서의 파이, 씨앗을 뿌리는 사탕 등의 작업을 소개했었죠.

디자인과 치유: 감염병에 대응하는 창의적인 방법

전시 ‘디자인과 치유: 감염병에 대응하는 창의적인 방법(Design And Healing: Creative Responses to Epidemics)’이 쿠퍼...

2007-01-17 | MoMA, KDDI의 휴대폰 4종 소장하기로

일본 KDDI사의 휴대폰들이 뉴욕 현대미술관에 소장되었습니다. ‘AU 디자인 프로젝트’라는 이름으로 선보여온 여러 휴대폰 중에서, 나오토 후카사와, 마크 뉴슨, 토쿠진 요시오카가 디자인한 총 4종의 휴대폰이 그 주인공입니다. 휴대폰의 폼팩터가 한 면 온전히 평면 스크린으로 덮인 작은 상자가 되기 이전의 휴대폰 디자인을 다시 만나봅니다. 

2009-08-10 | 어둠 속 빛나는 아이디어

브루케타 & 지니치는 1995년 설립된 크로아티아의 디자인 회사로, 브랜딩, 광고 등 커뮤니케이션 분야를 주력으로 활동해왔습니다. 디자인플럭스에서는 이들의 연차 보고서 작업을 두 번 소개했는데요. 하나는 오븐에 구워야 내용이 나타나는 식품 회사의 보고서였고, 두 번째는 여기 어둠 속 빛을 발하는 야광 보고서입니다. 참고로 브루케타 지니치는 2017년 국제적인 광고대행사 그레이 산하에 들어갔고, 2020년 그레이가 디지털 마케팅 회사 AQKA와 합병하면서, 이제 AKGQ 그룹에 속해 있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