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구: 아름다운 스포츠 디자인

디자인 뮤지엄 전시 풍경, 2022. Photo © Felix Speller

런던 디자인 뮤지엄에서 새로운 전시 ‘축구: 아름다운 스포츠 디자인(Football: Designing the Beautiful Game, 4월 8일-8월 29일)’이 개최된다. 디자인과 축구가 서로에게 어떤 영향을 주고받았는지를 다루는 이 전시에서는 축구 경기와 관련된 영화와 인터뷰, 장비, 스타디움 디자인 등 500개 이상의 오브제를 볼 수 있다. 축구 팬과 디자인 팬 모두를 포함한 관람객들은 메시, 펠레, 마라도나 같은 전설적인 선수들과 축구 클럽들의 전통이 담긴 오브제를 통해 축구 이면에 숨겨진 다양한 디자인 스토리를 접하고 축구 역사 속 상징적인 장면 속으로 빠져든다.

전시 공간 디자인은 영국 건축 스튜디오 오엠엠엑스(OMMX)에서 담당했다. 전시는 축구 디자인의 역사, 경기, 아이덴티티, 관중, 볼거리(Spectacle to play) 다섯 섹션으로 구성된다. 전시장 안에 설치된 파란색 방에서는 경기장의 하프 타임 룸을 재현하여 관람객이 계단에 앉아 휴식을 취하면서, 고전 경기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전시장 안 하프 타임 룸에서 휴식 중인 관람객, 2022. Photo © Felix Speller

전시에서 특히 돋보이는 아이덴티티 섹션에서는 영국 스포츠 브랜드, 스폰서가 그려진 유니폼 등의 공식 디자인과 함께 팬이 직접 제작한 비공식 축구 디자인을 함께 전시한다. 가령 리버풀의 한 서포터가 축구팀의 승리를 위해 개인적으로 제작한 초대형 배너, 라이벌 팀과의 경기를 위해 서포터가 직접 제작하고 난투 현장에서 뿌렸던 훌리건 전화 카드 등이 여기에 포함된다.

리버풀 서포터 피터 카니가 제작한 배너너, 2022. Photo © Felix Speller

이들을 “비(非)디자이너이지만 스포츠에 활기, 재치, 풍부한 시각적 언어를 더한 사람들”이라고 한 큐레이터 엘리너 왓슨의 설명은, 축구를 더 특별한 스포츠로 만드는 것이 다름 아닌 팬들의 헌신이라는 점을 말해 준다.

이번 전시는 맨체스터에 위치한 국립 축구 박물관(National Football Museum)과 협력하여 제작되었다.

designmuseum.org
designweek.co.uk

© designflux.ac.kr

이서영

디자인 우주를 여행하던 중 타고 있던 우주선의 내비게이션에 문제가 생겨 목적지를 잃고 우주를 부유하는 중입니다. 이 넓은 디자인 우주에서 어디로 가야할지 몰라 근처에 반짝이는 별이 보일 때마다 착륙해 탐험하고 탐험이 끝나면 떠나기를 반복하고 있습니다. 근데 생각보다 나쁘지 않더군요. 오히려 재미를 느끼기 시작했습니다. 이제 또 다음 별로 출발해보려 합니다.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도레이, 100% 식물성 나일론 개발

일본의 섬유회사 도레이(Toray)가 식물유래 화합물로 만든 나일론 섬유 ‘에코디아 N510 (Ecodia ® N510)’를 출시했다....

2009-07-20 | 토요타 iQ 폰트

전용 서체가 브랜딩의 주요한 수단이 된 지 오래이고, 그러니 무언가의 전용 서체라고 해서 새로운 이야기는 아닙니다. 다만 그 무언가가 자동차이고 서체가 자동차의 주행 궤적에서 탄생했다면 이야기가 조금 다르겠지요. 토요타의 시티카 ‘iQ’의 캠페인을 맡은 블리스는 이 작은 차의 민첩함을 강조하기 위해 주행 궤적으로 이뤄진 서체를 만들기로 하고, 인터랙티브 아티스트와 그래픽디자인 스튜디오와 힘을 합했죠. 블리스는 이 캠페인으로 2010년 칸느 국제광고제에서 그랑프리를 수상했습니다.

2010-02-17 | 알베르트 엑세르지안의 TV 드라마 포스터 

오스트리아의 한 디자이너가 익숙한 TV 드라마들에 새로운 포스터를 선사했습니다. 키워드는 아이콘과 미니멀리즘이라고 할까요. 포스터는 드라마의 제목과 이 작품을 압축하여 드러낼 만한 상징 하나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가령 <맥가이버>의 구부러진 종이 클립처럼요. 

2010-04-07 | 아이와 함께 가는 카페

어린이를 환영하지 않는다고, 그것이 이곳의 방침이라고 말하는 장소들이 있습니다. 어린이가 출입해서는 안될 장소는 물론 있고 또 있어야 하겠지만, 그곳이 식당이고 카페라면 그래도 괜찮을지요. 곳곳에 노키즈존이 자연스레 자리한 지금, 2010년의 ‘베이비 카페’ 소식을 되돌아봅니다. 물론 어린이와 보호자를 정확히 겨냥한 가게라는 점에서, 어린이도 환영한다는 예스키즈존과는 결이 다른, 그러니까 그냥 키즈존 개념에 가까운 카페입니다. 그리고 넨도는 이러한 기조를 아주 큰 것과 아주 작은 것으로 공간 디자인에 구현했지요.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