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5-09 | BMW 구겐하임 랩

Editor’s Comment

도시들을 여행하는 작은 도시 실험실. BMW 구겐하임 랩이 2011년 여정의 시작을 알렸습니다. 하나의 주제로 2년 동안 세 개의 도시를 순회하는 주기의 첫 목적지는 뉴욕이었습니다. 본래 BMW 구겐하임 랩은 세 번의 주기, 즉 9개 도시 6년의 장정을 기획했지만, 랩의 여정은 뉴욕-베를린-뭄바이까지만 이어졌습니다.

도시들을 여행하는 도시 실험실. BMW 구겐하임 랩(디자인플럭스 관련기사)이 오는 8월 3일 뉴욕에 모습을 드러낸다. 2년을 주기로 펼쳐지는 6년의 장정. BMW 구겐하임 랩은 매 주기마다 현대 도시에서의 삶에 관한 의제들을 제기할 것이다. 도시에서의 삶에 관한 새로운 생각들을 실험하며 궁극적으로 미래지향적인 해결책을 모색하는 것이 랩 팀의 목표이다. 이를 위해 도시학, 건축, 예술, 디자인, 과학, 기술, 교육, 지속가능성 분야를 아우르는 다국적 팀이 꾸려졌다. 

BMW 구겐하임 랩 1기의 주제는 ‘편안함과의 대면(Confronting Comfort)’. 이미 알려진 대로, 첫 이동식 구조물의 설계자로 아틀리에 바우와우가, 그래픽 아이덴티티의 디자이너로 슬기와 민이 합류했다. 그리고 지난 주, 첫 BMW 구겐하임 랩에 관한 구체적인 계획이 발표되었다. 8월 3일, 뉴욕 이스트 1번가 33번지에 첫 번째 랩 건물이 들어선다. 230 제곱미터 면적의 작은 임시 구조물로, 약 두 달 간 BMW 구겐하임 랩의 관련 프로그램들이 펼쳐진다. 건물의 설계안과 함께, 그래픽 아이덴티티도 공개되었다. 도시의 편안함에 관해 웹사이트 방문자들이 남긴 짤막한 응답들이 BMW 구겐하임 랩의 로고를 이루며 계속해서 변화한다. 

아틀리에 바우와우, 1기 BMW 구겐하임 랩의 건축 모형
photos courtesy of Atelier Bow-Wow

BMW 구겐하임 랩 1기는 10월 16일까지 뉴욕에 머물다가 이후 베를린을 지나 아시아 지역 1개 도시로 여정을 이어가게 된다. 도시와 도시 생활에 대한 폭넓은 대화는 이동식 실험실에서는 물론 웹사이트 그리고 트위터, 페이스북, 유튜브, 포스퀘어, 플리커 등 BMW 구겐하임 랩의 소셜 미디어 채널에서도 이어질 예정이다. 

www.bmwguggenheimlab.org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1-04-14 | 이야기 꽃병

구슬 공예를 업으로 삼은 여성들의 이야기가 꽃병이 되었습니다. 말 그대로 꽃병은 여인들이 구슬로 적어내린 이야기를 입고 있습니다. 오늘의 뉴스는 남아공의 여성 구슬공예인 집단 시야자마 프로젝트와 스웨덴의 디자인 스튜디오 프론트가 함께 진행한 2011년의 ‘이야기 꽃병’ 프로젝트입니다. 

2009-08-26 | 토털 리콜, 데이터에 담긴 일생

한 사람의 인생을 전자적으로 기억할 수 있다면. 마이크로소프트 소속 컴퓨터과학자 고든 벨은 이를 목표로 1998년부터 자신의 삶을 디지털 아카이브화하기 시작했습니다. 말하자면 삶을 “e-기억”의 대상으로 전환하기 시작한 것이죠. 그렇게 구축한 데이터베이스와 다면적 분류 방식을 바탕으로 한 “총체적 기억”. 고든 벨과 짐 게멜의 서적 『토털 리콜』은 질문합니다. “만일 우리가 살아가며 노출되었던 그 모든 정보에, 계속해서 접속할 수 있다면 어떠한 일이 벌어질 것인가?”

계산된 나무 의자

베를린과 바이에른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디자이너 마티아스 크슈벤트너는 버려지는 나무를 재생산하는 ‘프로젝트 뉴 소스(New Sources)’를...

눈으로 볼 수 없는 룸메이트

게임 개발자 니콜 히(Nicole He)와 애니메이션 감독 에란 힐렐리(Eran Hilleli)가 집 안의 전자기기들이 상호작용하는...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