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골로 만든 3D프린팅 인공 암초

© Resting Reef

사랑하는 이들의 유골이 바닷속에서 굴을 재생하는 인공 암초가 된다면 어떨까?

런던 왕립예술대학(RCA), 임페리얼칼리지출신의 루이스 L. 스카젬(Louise L. Skajem)과 아우라 E. 무릴로 페레즈(Aura E. Murillo Pérez)가 설립한 신생 스타트업 ‘휴면 암초 (Resting Reef)’는 멸종위기에 처한 해양 생태계를 재생·복원하기 위한 대안으로 ‘휴면 암초(Resting reef)’ 프로젝트를 제안한다.

이들은 해안가에 위치한 굴 암초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지난 100년 동안 전 세계 85%의 굴 암초가 무분별한 남획과 오염으로 손실되었음을 지적한다. 동시에 사체의 매장과 관련한 토지 부족과 전통적인 화장문화가 대기 중으로 방출하는 이산화탄소의 문제를 언급하고 있다.

© Resting Reef

‘휴면 암초’는 화장 후에 남은 재를 소재로 하여 3D 프린팅한 인공 암초 콘셉트의 장례 서비스다. 다만 현재는 인간의 유골 대신 죽은 동물의 유골로 작업한다. 동물의 뼈와 분쇄된 굴 껍데기, 결합제(Binder)를 더해 암초 형태의 3D프린팅 합성물을 만든다. 실제 제작시에는 해양 환경에 적합한 저탄소 시멘트와 같은 결합제를 사용할 예정이다.

© Resting Reef

단지 형태의 디자인은 지구에서 최초로 발견된 암초인 석회암 암초의 모양에서 영감을 받은 것이다. 기존의 석회암 암초는 남조식물(blue-green algae)과 같은 미생물로 형성되어 있는데, 3D프린팅 된 암초 더미들은 이러한 자연적인 성장 계획을 모방하여 굴이 성장할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을 제공한다. 하나의 캡슐에 굴을 최대 100개까지 담을 수 있고, 이는 3년 후 약 2268톤(500만 파운드)이상의 이산화탄소를 포집할 수 있을 것으로 디자이너들은 예측한다.

인공 암초가 있는 해안의 추모 공간 콘셉트 이미지. © Resting Reef

현재 ‘휴면 암초’의 개발은 초기 단계에 머물러있지만, 디자이너들은 사람들이 장례식 이후 인공 암초가 있는 해안의 추모 공간을 방문하는 전체적인 경험을 함께 구상하고 있다.

yankodesign.com
fastcompany.com

© designflux.co.kr

홍정아

오늘의 디자인이 어제의 디자인으로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 속에서 여전히 우리에게 유효한 디자인의 가치는 무엇일까요. 무한한 가능성을 가진 디자인은 가까워지려 할수록 더욱 많은 질문들을 던지고 있습니다. 이에 오늘도 디자인 역사, 전시 디자인에 관한 흥미와 다양한 관점을 바탕으로 나름의 답을 찾아가고자 두리번거리는 중입니다.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7-03-07 | 안전한 성교를 위하여

2007년 케이프타운에서 열린 디자인 인다바 엑스포에서 ‘남아프리카에서 가장 아름다운 오브제’로 꼽힌 것은 가구도 조명도 장신구도 아닌 콘돔이었습니다. 정확히 말하면 콘돔 착용 도구와 결합된 콘돔이이었죠. 콘돔 기구가 가장 아름다운 오브제로 선정된 배경에는 아프리카 대륙, 특히 사하라 사막 이남 지역에서 중대한 보건 문제가 되어버린 AIDS 감염 확산의 현실이 있었습니다.(...)

2007-07-05 | 지속불가능한 장신구

모두가 지속가능성을 강조하는 와중에 흐레이트여 판 헬몬트는 정확히 그 반대를 디자인했습니다. 그의 ‘지속불가능’은 설탕으로 만든 장신구 시리즈입니다. 그토록 연약하고 지속불가능한 소재로 된 이 장신구들은 역설적으로 설탕보다 훨씬 튼튼한 소재들이 처하는 현실을 가리킵니다. 소재의 내구성과는 무관하게 결정되는 제품의 교체 주기라는 문제를 말이죠. 

2011-03-18 | 페루, 국가 브랜드 공개

2011년 3월 12일, 페루의 국가 브랜드가 뉴욕 월스트리트에서 첫선을 보였습니다. 브랜드는 peru라는 국가명에 페루에서 발원한 모든 문화에서 발견되는 나선의 모티프를 결합한 로고 그리고 그와 궤를 같이 하는 디자인의 공식 서체로 구성되었습니다. 

2011-04-18 | 디자인 마이애미/ 바젤 선정 ‘미래의 디자이너’

2011년 디자인 마이애미/ 바젤의 첫 소식은 ‘미래의 디자이너’ 발표였습니다. 그해의 수상자는 총 세 팀입니다. 영국의 아시프 칸, 오스트리아의 디자인 듀오 미셔’트락슬러 그리고 싱가포르의 스튜디오 주주가 그 주인공이었죠. 그리고 두 달 뒤 이들의 수상 기념 신작이 디자인 마이애미/ 바젤에서 전시되었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