텍스트 인식 이미지 생성 AI ‘DALL-E 2’

인공지능 연구소 오픈AI(OpenAI)에서 텍스트를 인식하여 사실적인 이미지와 그림을 ‘창작’할 수 있는 AI 시스템, ‘달-이 투(DALL-E 2)’를 소개했다. 이 시스템은 명령어가 아닌 자연스러운 문장 속에서 이미지를 만들어내며, 생성된 이미지에는 콘셉트, 특성, 스타일이 부여된다. 지난 2021년에 첫 번째로 공개된 달-이(DALL-E)를 발전시킨 것으로, 새로운 버전은 사진에 가까운 더 사실적 이미지(Photo-realistic)를 생성한다.

‘달-이 투’는 이미지 편집과 이차적 이미지 생성 기능을 제공한다. 이미지 속 그림자, 반사, 텍스처 등의 요소를 지우거나 원하는 위치에 삽입하여 간편하게 편집할 수 있으며, 원본 이미지에 스타일, 패턴, 구조 등 다양한 변주를 주어 새로운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오른쪽) ‘달-이 투‘로 변환한 ‘그랑드자트 섬의 일요일 오후’ © OpenAI

현재는 리서치 단계에 있으며, 소수의 베타 유저만 접근할 수 있다. 베타 유저와 외부 전문가들은 불특정 다수가 이차적 이미지를 자유롭게 생성할 때 발생되는 상황을 대비하기 위해 시스템을 연구하고 있다. ‘달-이 투’에는 콘텐츠 정책을 마련하고 이를 반영하는 기술을 적용하여, 폭력성, 혐오, 성인물과 같은 유해 콘텐츠 생성을 제한하고, 실존 인물의 얼굴을 사용할 수 없게 한다.

오픈AI는 ‘달-이 투’를 통해 사람들이 창의성을 발휘하고, 향상된 AI 시스템이 어떻게 인류를 이롭게 할 수 있을지에 관한 이해를 돕고자 한다.

openai.com

© designflux.ac.kr

이서영

디자인 우주를 여행하던 중 타고 있던 우주선의 내비게이션에 문제가 생겨 목적지를 잃고 우주를 부유하는 중입니다. 이 넓은 디자인 우주에서 어디로 가야할지 몰라 근처에 반짝이는 별이 보일 때마다 착륙해 탐험하고 탐험이 끝나면 떠나기를 반복하고 있습니다. 근데 생각보다 나쁘지 않더군요. 오히려 재미를 느끼기 시작했습니다. 이제 또 다음 별로 출발해보려 합니다.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1-05-12 | OCAD U 시각 아이덴티티

2011년 새단장한 온타리오미술디자인대학의 시각 아이덴티티가 공개되었습니다. 흑백의 창들로 이뤄진 가변형의 로고 디자인이 핵심입니다. 고정형에서 가변형으로 또 더 나아가 반응형에 이르기까지, 2010년을 전후로 운신의 폭을 넓힌 아이덴티티 디자인들이 속속 등장하며 하나의 추세를 이루었습니다. 2009년의 멜버른 시 아이덴티티, 2011년의 BMW 구겐하임 랩 아이덴티티, 2013년의 휘트니 미술관 그래픽 아이덴티티 같은 사례처럼요. 변화하는 디지털 미디어 환경과 시기적으로 궤를 같이 한 아이덴티티 디자인의 ‘동적’ 변화입니다.

〈디자인 스터디즈〉(Design Studies) 인류학적 디자인, 디자인 인류학의 연구들

인류학은 인간 보편을 연구하는 학문이지만 다양하고 특수한 민족지(知)를 구성함으로써 문명적 인간의 모순을 드러내고 성찰하는...

2010-04-23 | 탑승권 리디자인 릴레이

코로나19를 지나며 가장 먼저 여행이 ‘멈춤’에 돌입했고, 어느 머나먼 곳으로 떠나는 항공권을 들던 때가 그리울 정도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오늘의 뉴스로 ‘항공권’ 이야기를 골라보았습니다. 어째서 항공권을 손에 들고서도 우왕좌왕하게 될까. 표를 언제 왜 들여다보게 되는가를 중심으로, 탑승권의 정보에 순서와 강조점을 부여한 어느 개인의 리디자인 제안과 그에 이어지는 릴레이입니다.

2011-03-18 | 페루, 국가 브랜드 공개

2011년 3월 12일, 페루의 국가 브랜드가 뉴욕 월스트리트에서 첫선을 보였습니다. 브랜드는 peru라는 국가명에 페루에서 발원한 모든 문화에서 발견되는 나선의 모티프를 결합한 로고 그리고 그와 궤를 같이 하는 디자인의 공식 서체로 구성되었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