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3-17 |〈가디언〉, 서비스 디자인 증보판 발행

Editor’s Comment

2010년 3월 15일, 영국의 유력 일간지 〈가디언〉이 ‘서비스 디자인’을 주제로 증보판을 내놓았습니다. 제품 중심의 산업에서 소위 지식 산업으로 이행하는 과정에서 서비스 디자인이 부상했고, 〈가디언〉의 이 기획은 기존 유형의 것에 적용해 왔던 굿 디자인 논의를 왜 또 어떻게 무형의 것에 적용할 것인지를 다루었습니다. 

영국의 일간지 〈가디언〉이 서비스 디자인 네트워크(Service Design Network)와 함께 ‘서비스 디자인’을 이야기한다. 3월 15일, 〈가디언〉이 서비스 디자인과 혁신을 주제로 증보판을 발행했다. 제조업 중심의 산업에서 소위 지식 산업으로 이행하는 과정에서, 서비스 디자인에 대한 관심도 높아졌다. 그 동안 주인공은 단연 상품이었다. 좋은 제품 디자인, 즉 ‘굿 디자인’에 대한 논의가 대중소비사회의 등장과 궤를 같이 했던 것도 그 때문이다. 하지만 산업구조의 이행 속에서, 관심의 초점도 달라졌다. 아티클 ‘상품은 가고 커뮤니티가 온다’는 소비의 초점이 제품에서 제품을 둘러싼 전반적인 경험으로 이동하였다고 지적한다. “가령 아이폰 구매는 그저 시작에 불과하다. 중요한 것은 아이폰으로 무엇을 할 수 있는가이다.” 상품이 시스템, 서비스의 일부로서 인식되면서 서비스 디자인의 필요성이 부각된다. 하지만 서비스란 제품보다 까다로운 무엇이다. 서비스란 본질적으로 무형의 것이어서, 서비스의 관리란 제품의 품질 관리처럼 정량화하기도 어렵다. 말하자면 아직 ‘교과서’라 할 만한 서비스 관리나 혁신의 툴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서비스 디자인 담론의 부상은 이러한 맥락에서 흥미롭다. 〈가디언〉의 서비스 디자인 증보판은 이와 같은 상황을 겨냥하고 있다. 서비스 디자인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서비스 디자인이 실제로 기업에 얼마나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다 주었는가. 굿 디자인이 기업의 경쟁력이라는 디자인 경영의 통찰과 방법론을, 제품 너머로까지 확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가고 있다. 

www.theguardian.com/artanddesign/series/service-design
www.service-design-network.org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1-10-24 | 아키진스

세계 각국의 건축 관련 잡지들을 모은 온라인 아카이브 ‘아키진스’의 오프라인 전시가 2011년 AA 건축학교에서 열렸습니다. 동명의 전시회 ‘아키진스’에서는 20여 개 국가에서 나온 건축 관련 잡지, 팬진, 저널 등 총 60여 종을 소개했습니다. 가내수공업 스타일의 무료 잡지에서 이름난 건축 전문지까지, 각각의 출판물과 이를 만드는 사람들의 인터뷰가 나란히 함께 하였죠.

2007-05-23 | 잘못된 가게

들어오라면서도 문은 닫았다는 가게, 영예로운 미술가와 디자이너들의 작품이 가득하지만 전체를 통째로 사지 않는 한 아무 것도 살 수 없는 가게. 2007년 뉴욕 디자인 위크 기간에 문을 연 첼시의 ‘잘못된 가게’입니다. 디자이너 토비아스 웡과 큐퍼-휴잇 디자인 뮤지엄의 그레고리 크럼이 만든 이 이상한 가게는 두 달 동안 한시적으로 자리를 지켰습니다. 

2009-12-03 | 어느 제지회사의 달력

어느덧 내년의 달력들이 찾아오는 때입니다. 시기에 걸맞게 2009년 오늘은 제지회사의 달력 소식을 전했습니다. 오랜 전통을 자랑하는 이탈리아의 제지회사 페드리고니의 영국 지사에서는 매년 협업을 통해 달력을 선보여왔는데요. 스튜디오 8이 디자인한 2010년도 달력은 글자를 접어 올려 세우는 형태의 일력이었습니다. 참고로 페드리고니의 달력 프로젝트는 2018년부터 ‘페드리고니 365’라는 이름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2010-09-29 | RCA 디자인프로덕트 컬렉션

RCA의 제품 디자인 전공 학생들이 디자인프로덕트라는 학과 아름으로 제품 컬렉션을 선보였습니다. ‘퍼스트 핸드’는 14인의 졸업생이 내놓은 13가지 제품 컬렉션으로, 단순히 전시만이 아닌 판매를 목적으로 삼았습니다. 같은 해 디자인 아카데미 에인트호번의 졸업생 작업이 소더비로 향했던 것과는 상당히 대조적인 움직임이었죠.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