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3-16 | 주버트 공원의 벤치

Editor’s Comment

2007년 당시 요하네스버그에서는 3년 뒤 열릴 월드컵을 준비하며 개발과 정비가 한창이었습니다. 그 시기 도심에서 100년 넘게 쉼터 역할을 해온 오랜 공원 한 곳도 새단장을 하게 되었죠. 이름하여 ‘주버트 공원 프로젝트’를 위해 남아공 국내외의 예술가, 건축가, 디자이너들이 머리를 모았습니다. 15년 전 오늘 소개한 소박하면서도 영리한 벤치 디자인도 바로 이 공원을 위해 태어났죠. 

남아공의 수도 요하네스버그 중심가에 자리잡은 주버트 공원(Joubert Park)은 1906년부터 도시민의 쉼터로 자리잡았던 오랜 공원이다. 최근 남아공에서는 ‘주버트 공원 프로젝트(JPP)’라는 이름으로 이 오랜 공원을 새단장하는 작업이 한창이다. 근처의 드릴 홀(Drill Hall)에서 개최되는 페스티벌 기간에 맞춰 진행된 이번 프로젝트는 주변의 문화적, 사회적 분위기를 한층 북돋운다. 

JPP에는 요하네스버그의 지역 예술가, 건축가, 디자이너들은 물론 네덜란드의 공공 예술 단체 카스코란트(Cascoland)가 합류해 다국적 팀을 이루었다. 요하네스버그에 초청된 이들 네덜란드 아티스트들은 6주 동안 머물며 요하네스버그에서 자신들의 노하우를 공유했다. 그 중에서도 특히 야이르 스트라시나우(Jair Straschnow)와 베르트 크라머(Bert Karmer)의 벤치 디자인에 주목할 만 하다. 

페스티벌이 펼쳐지는 드릴 홀은 펜스로 둘러싸여 있다. 행사장 내부와 외부를 가르는 이 단단한 벽은 소통의 장애물이 된다. 그렇다고 기존 펜스를 모두 철거할 수도 없는 노릇이다. 스트라시나우와 크라머는 기존 펜스를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안과 밖의 소통을 가능케 하는 벤치 시스템을 고안했다. 펜스 ‘안’에 벤치를 설치한 것이다. 

2010년 월드컵 개최도시로 선정된 요하네스버그에서는 관련 개발 및 정비가 한창이다. 올림픽이나 월드컵 같은 대형 스포츠 이벤트가 한 도시의 건축과 경관을 뒤바꾸는 ‘정치경제적’인 행사라는 사실을 다시 한 번 실감케 한다. 하지만 동시에 지역의 자발적인 또한 창조적인 참여가 곁들여질 때, 도시는 진정 생기넘치는 공간이 될 수 있다. 주버트 공원 프로젝트의 경우처럼 말이다.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8-08-19 | 그들의 몰스킨 노트 속

2006년 70권의 몰스킨 노트가 예술가, 작가, 디자이너에게 전해졌고, 그렇게 각각의 몰스킨이 경험한 우회의 여정이 다시 한자리에 모여, 전시의 형태로 다시 런던, 뉴욕, 파리, 베를린, 이스탄불, 도쿄, 베니스, 상하이, 밀라노를 여행했습니다. 2008년 오늘의 소식은 전시회 ‘우회’의 이야기입니다. 

2008-01-03 | 안녕히, 에토레 소트사스

2008년의 첫 소식은 애석하게도 부고였습니다. 2007년의 마지막 날, 디자이너 에토레 소트사스가 90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습니다. 레스가 모어였던 20세기의 디자인 흐름을, 레스는 레스일 뿐이라며 정면으로 거슬러 또 다른 20세기의 디자인을 만들어냈던, 그의 타계 소식이 오늘의 옛 뉴스입니다.

2008-04-29 | 평범한 일상에 근거하라

변화와 혁신을 말하는 목소리야말로 유일하게 변하지 않는 무엇인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러한 변화와 혁신은 평범하고 지루하기까지한 일상의 행동에서 비롯된다고 웬디 마치는 말합니다. 2008년 미국산업디자인협회의 컨퍼런스에서 그가 이야기했던 “평범한 미래”를 다시 만나봅니다.

비트라 디자인 뮤지엄 ‘플라스틱: 세상을 다시 만들다’

비트라 디자인 뮤지엄에서 플라스틱의 역사와 미래를 탐구하는 전시 ‘플라스틱: 세상을 다시 만들다 (Plastics: Remaking...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