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3-14 | 소재 탐구: 젤포

Editor’s Comment

어떤 디자인은 소재에서 출발하기도 합니다. 프랑스의 젊은 디자이너 엘리제 가브리엘은 ‘포옹’이라는 이름의 컬렉션을 통해 ‘젤포’라는 이름의 신소재를 제품 디자인에 끌어 안습니다. “예측을 뛰어넘는 의외의 요소가 매력”이라는 이 낯선 소재가 테이블, 의자, 조명처럼 익숙한 사물에 어떻게 결합되는지를, 2011년도 오늘의 뉴스에서 다시 만나봅니다. 

프랑스의 영 디자이너 엘리제 가브리엘(Elise Gabriel)의 가구 시리즈, ‘포옹(L’Étreinte)’이 갤러리 고세레(Galerie Gosserez)에서 전시 중이다. 테이블, 의자, 조명 등으로 구성된 이번 컬렉션에서, 그녀는 젤포(Zelfo)라는 소재의 가능성을 탐색한다. 

젤포는 일종의 바이오플라스틱으로, 아마, 황마, 대마, 사탕수수, 사이잘 삼, 밀짚 등 천연 셀룰로스와 물을 섞어 만들어진다. 액체 상태인 경우 95% 정도가 수분이나, 마르는 과정에서 70% 정도 수축하며 엉겨 단단해진다. 평면에서 입체까지 여러 형태로 조형이 가능하며, 더불어 접착제 역할까지도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이 젤포의 장점이다. 

엘리제 가브리엘은 젤포라는 소재의 특질을 여러 측면에서 탐색하였다. 가령 테이블과 의자에서 젤포는 적용 부위에 꼭 맞게 달라 붙어, 구성 요소들을 튼튼하게 결속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조명갓에서는 섬세하면서도 가벼운 특질을 드러내는가 하면, 또 다른 테이블의 경우 케이싱에 활용되었다.  

디자이너는 젤포에 관해 마치 살아 있는 소재로서 결과에 예측을 넘어선 의외의 요소가 있다고 말한다. 일정한 방향으로 인도할 수는 있으나 자유롭게 내버려 두어야 할 요소가 있다는 것이 곧 이 소재의 매력이라고. 엘리제 가브리엘은 에콜 뒤페레(Ecole Duperré)와 에콜 불르(Ecole Boulle)에서 수학하였으며, 이번 프로젝트는 에르완 부룰렉과 방자맹 그랭도르주의 지도로 완성한 것이다. 그녀의 ‘포옹’ 시리즈는 오는 4월 2일까지 전시된다.  

www.galeriegosserez.com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1-08-02 | 『폰트북』, 아이패드 속으로

폰트숍 인터내셔널의 “커다란 노란 책”이 아이패드 속으로 들어왔습니다. 마치 폰트 자체가 디지털화되었듯, 『폰트북』도 디지털 앱이 되었죠. 덕분에 110여 서체제작소의 62만여 폰트 정보를 3kg에 달하는 육중한 책을 뒤적이는 대신, 가볍게 또 간편하게 검색하고 비교해 볼 수 있었습니다. 앱 출시 이후 애석하게도 『폰트북』은 출간이 중단되었는데요. 어째서인지 지금은 『폰트북』 앱도 찾아볼 수가 없군요. 

2008-12-01 | 무지 어워드 03 수상작

무지가 주최하는 디자인 공모전, 그 세 번째 수상작들입니다. 오래도록 쓰여온 사물의 가치를 재발견하고 이를 현대의 생활 속으로 옮기는 것, 그리하여 그 오랜 물건의 기원에 경의를 표하는 것이 무지 어워드 03의 주제였는데요. 그러한 취지를 거의 “언디자인”에 가깝게 밀어붙인, 소박한 밀짚 빨대가 최고상을 수상했습니다. 

중산층의 잇템 #4 수족관 : 내 작은 유토피아

처음 수족관이 집에 들어왔을 때를 기억한다. 거실 TV 옆에 직사각형의 유리 수조를 놓고, 모래와...

2007-01-24 | 일회용 정원, ‘B-백’

작년 농촌진흥청이 진행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코로나19 이후 10명 중 5명이 “반려식물”에 관심이 더 커졌다고 답했습니다. 집에 머물러야 하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집 안에 자연을 들이는 홈 가드닝에 대한 관심도 자연스럽게 늘어났지요. 2007년에 전해드렸던 독특한 모양의 그로우 백 소식이 새삼 다시 눈에 띈 이유일지도요.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