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3-10 | ‘잃어버린 도시로부터’

Editor’s Comment

반듯함과는 거리가 먼, 자가성장이 만들어낸 비정형의 파벨라 풍경을 가구에 옮겼습니다. 가구의 뼈대를 채운 것은 제각각 소재의 서랍과 상자들입니다. 2009년 당시 갓 학교를 졸업한 신진 디자이너였던 크리스티안 비방코는 이제 여러 디자인 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는 선생님입니다. 더불어 멕시코의 라탄 가구 브랜드인 발사의 크리에이티브 디렉션도 맡고 있지요.

멕시코 출신의 영디자이너 크리스티안 비방코(Christian Vivanco)[1]. 며칠 사이, 그의 최근작인 ‘잃어버린 도시로부터(From a Lost City)’가 여러 디자인 매체에 소개되며 화제를 모으고 있다. 하지만 단순한 구조의 선반장에 들어찬 서로 다른 소재와 크기의 서랍과 박스들은, 어딘가 모르게 엉성한 인상을 준다. 흔히 좋은 디자인의 미덕이라 생각하는 일관성을 찾아보기 힘들다. 하지만 이 무질서에는 나름의 이유가 있다. 

한 마디로 ‘잃어버린 도시로부터’는 빈민촌, 파벨라(favela)의 풍경을 가구로 옮긴 작품이다. 대부분 무허가의 불법 건물들. 이들 주택은 필요에 따라 층이나 계단을 더하며 자라나고, 그렇게 자가-성장하는 주택들이 모여 만들어내는 광경은 무작위적인 혼란이다. 구불구불한 골목길과 비정형적인 집들이 만들어내는 도시 변두리의 풍경. 크리스티안 비반코는 그 혼란스러운 인상 속에서 ‘잃어버린 도시로부터’의 영감을 얻었다. 

비방코는 나무 막대들로 가구의 기초 구조를 세우고, 여기에 OSB합판, 대나무, 폴리카보네이트 등 여러 가지 소재의 제각각의 상자, 서랍들을 채워 넣었다. 분명 어지럽지만, 함께 어우러지면 ‘따로 또 같이’ 어우러진다. 마치 파벨라의 제각각 집들이, 디자이너의 표현대로“그리드 없는 혼돈의 자유”를 빚어내는 것처럼 말이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다시 한 번 가구를 들여다보면, 첫 인상과는 반대로 오히려 너무 정돈되었다는 생각을 하게 될 지도 모른다. 디자이너 크리스티안 비방코는 <월페이퍼*> 매거진의 ‘2009 졸업생 디렉토리’에도 이름을 올린 유망한 신인으로, 현재는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활동하고 있다. 

www.christianvivanco.com

ⓒ designflux.co.kr


[1] 표기 수정: 크리스티안 비반코 -> 크리스티안 비방코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비트라 디자인 뮤지엄 ‘플라스틱: 세상을 다시 만들다’

비트라 디자인 뮤지엄에서 플라스틱의 역사와 미래를 탐구하는 전시 ‘플라스틱: 세상을 다시 만들다 (Plastics: Remaking...

2010-10-22 | 긴축, 긴축, 긴축

쾅고(quango)는 정부가 상급 인사를 임명하고 재정지원도 하지만 자율적으로 운영되는 반관반민 기관들을 가리키는 단어입니다. 다만 여기에는 다소 경멸적인 어감이 깔려 있지요. 가령 국내 일간지의 칼럼에서 이 단어는 이렇게 등장합니다. “우리나라 같은 공공기관을 쾅고라고 조롱기 섞어 부르는 영국에선 같은 날 192개의 쾅고를 없앴다고 발표했다. 쾅고는 유사자치 비정부기구라는 뜻이다.” (...)

미완의 건축(세미 아키텍처)

도쿄의 스키마타(Schemata architects) 건축 사무소가 디자인한 무사시노 미술대학 실내디자인과 건물 16 ‘세미 아키텍처(Semi-architecture)’가 완성된...

〈디자인 이슈〉(Design Issues), Summer 2021, Volume 37, Issue 3

2021년 여름 <디자인 이슈>는 크게 정치적인 것(the political)에 관한 연구 세 편과 현실 정치(및 경제 politics and economy) 관련 글 세 편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