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3-04 | 부어 만들었습니다

Editor’s Comment

콘크리트 액을 부어 탁자의 상판을 만든다면, 아마도 거푸집의 존재가 예상되겠지만, 스튜디오 글리테로의 ‘푸어드 바’의 경우에는 이야기가 다릅니다. 콘크리트 용액을 세 번에 걸쳐 층층이 부어 태어난 테이블의 상판은 그 모양도 질감도 자신이 어떻게 만들어진 것인지를 고스란히 보여줍니다.

스튜디오 글리테로(Studio Glithero)가 또 한 번 콘크리트 양동이를 들었다. 신작 ‘푸어드 바(Poured Bar)’는 2009년 ‘롱 드롭’ 과 유사하게 폴리콘크리트 용액으로 탄생한 테이블이다. 6m 길이의 길쭉한 바 카운터. 테이블의 상판은 급속경화 콘크리트 액을 부어 굳혀 만든 것이다. 

스튜디오 글리테로는 매끈한 표면의 작업대 위에 서로 다른 색상의 콘크리트 액을 붓기를 반복하여, 세 가지 서로 다른 색상의 콘크리트 층겹을 만들었다. 콘크리트 용액이 완전히 굳기 전 지지 구조대를 얹어 부착하고, 상판이 적당히 굳었을 즈음 이를 조심스레 뒤집어 테이블의 나머지 구조 부분에 올리면, 마침내 ‘푸어드 바’가 완성된다. 테이블의 상판에 남은 흐르고 뭉치고 흔적들은 붓는 과정의 움직임을 슬며시 드러낸다. 제작의 과정을 고스란히 포착한 디자인. 그 안에 깃든 우연적 요소들이 곧 테이블의 매력이 된다. 

스튜디오 글리테로의 ‘푸어드 바’는 런던 코린시아 호텔(Corinthia Hotel)의 의뢰로 제작된 것으로, 영국아카데미시상식(BAFTA), 런던 패션 위크 등의 행사를 위한 임시 바로 사용될 예정이라고. 

www.studioglithero.com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디자인 이슈〉(Design Issues) Autumn 2021: 디자인은 미학인가 수사학인가?

<디자인 이슈(Design Issues)> Autumn 2021, Volume 37, Issue 4 표지 ‘디자인의 설득?: 미학과 수사학 사이의 디자인론(Persuasion by...

2010-08-24 | 이르마 봄 회고전

책들이 전하는 북 디자이너의 바이오그래피. 2010년 이르마 봄의 첫 번째 회고전이 암스테르담 대학에서 열렸습니다. <네덜란드 우표 87+88>을 비롯해 이르마 봄의 대표적인 작업들을 대거 선보인 전시와 함께, “작지만 방대한” 모노그래프도 발간되었는데요. 3.8 x 5cm의 초소형 크기에 결코 작지 않은 이르마 봄의 작업 세계를 담았습니다. 

2011-03-18 | 페루, 국가 브랜드 공개

2011년 3월 12일, 페루의 국가 브랜드가 뉴욕 월스트리트에서 첫선을 보였습니다. 브랜드는 peru라는 국가명에 페루에서 발원한 모든 문화에서 발견되는 나선의 모티프를 결합한 로고 그리고 그와 궤를 같이 하는 디자인의 공식 서체로 구성되었습니다. 

베스트레, 지속가능한 가구 공장 ‘더 플러스’ 오픈

18개월의 공사 기간 끝에, 노르웨이 가구 제조 업체 베스트레(Vestre)에서 ‘세계에서 가장 친환경적인 가구 공장,...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