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경찰의 감시 기계

세계 최대 인권 단체 국제앰네스티(Amnesty International)의 프로젝트 ‘뉴욕 경찰의 감시 기계(Inside the NYPD’s Surveillance Machine)’는 디지털 테크놀로지 시대 인권 침해의 문제를 제기한다. 이 프로젝트의 목적은, 뉴욕시에 안면 인식 기술이 얼마나 광범위에 분포되어 있으며, 뉴욕시 경찰국(NYPD)이 이 기술을 사용해 인권을 침해한다는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이다. 어플리케이션 혹은 웹사이트를 통해 뉴욕시 도보 경로를 검색하면, 이 구간에서 우리가 얼마만큼 감시에 노출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뉴욕 경찰의 감시 기계, 2022. ⓒ Amnesty International
‘뉴욕 경찰의 감시 기계’ 경로 설정. ⓒ Amnesty International
‘뉴욕 경찰의 감시기계’ 감시 노출 결과. ⓒ Amnesty International

국제앰네스티는 2021년 중반부터 ‘뉴욕 감시 해독(Decode Surveillance NYC)’이라는 활동을 시작했다. 수 천 명의 자원봉사자가 도시 전역의 CCTV 카메라를 찾고 분류하고, 데이터 과학자, 지리학자, 3D 모델러와 협력하여 크라우드 소싱 데이터를 분석하는 작업으로, 이는 궁극적으로 경찰의 안면 인식 기술 사용을 금지하기 위한 것이다.

국제앰네스티가 최근 실시한 이 기술에 관한 연구는, 글로벌 캠페인 ‘스캔을 금지하라(Ban The Scan)’의 일환으로, 대규모 감시를 위한 안면 인식 기술이 인종차별적 경찰 활동의 원동력이라는 점에 주목한다. 따라서 뉴욕 시의회에서는 안면 인식 기술의 사용을 전반적으로 금지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뉴욕 경찰의 감시 기계’ 프로젝트에는 네덜란드 스튜디오 슈퍼포지션이 참여, 시각화 작업을 진행했다.

superposion.cc
banthescan.amnesty.org

ⓒ designflux.co.kr

박지민

손으로 느껴지는 감각이 좋아 만들기 시작했고, 만드는 것이 좋아 디자인을 시작했습니다. 그렇게 시작했던 디자인은 만드는 것 외에도 다양한 재미를 느끼게 합니다. 만드는 것을 넘어서 현재는 타자치는 제 손의 감각도 즐기고 있습니다.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9-02-11 | AP 통신 vs 셰퍼드 페어리

2008년 미국 대선의 대표적인 이미지라 할 셰퍼드 페어리의 버락 오바마 초상이 이듬해 송사에 휘말렸습니다. 문제는 초상이 AP 통신 소속 사진 기자 매니 가르시아의 사진을 바탕으로 한다는 점이었습니다. 소송은 2011년 합의로 마무리 되었는데요. NPR의 보도를 빌리면 합의의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세계 최초, ‘시애틀 NFT 뮤지엄’

세계 최초로 NFT 작품만 전시하는 뮤지엄, 시애틀 NFT 뮤지엄(Seattle NFT Museum, SNFTM, 시애틀 벨타운)이...

2010-06-16 | 2010 DMY 어워즈 수상자

DMY 베를린 국제디자인페스티벌의 시상 프로그램인 ‘DMY 어워즈’의 2010년 수상작을 돌아봅니다. 투명 테이프를 거미줄 삼아 지은 ‘건축물’을 선보인 포 유즈/누멘과 증강현실의 가능성을 보여준 전시를 선보인 로잔공과대학과 로잔예술디자인대학의 공동 연구소 EPFL+ECAL랩, 그리고 자신을 비추는 테이블 조명 시리즈를 선보인 다프나 이삭스와 라우렌스 만더르스가 그 주인공이었습니다.

2006-08-30 | 호텔을 위해 태어났습니다

객실마다 구비되어 있는 가전제품들이 있습니다. TV부터 알람 시계, 드라이어까지, 어느 호텔을 가도 있으리라 기대하는 기기들이지요. 그러나 대개는 제각각의 회사에서 나온 제각각의 제품들입니다. 리얼플리트(현 아마다나)의 ‘바루슈’는 정확히 호텔을 겨냥한 소형 가전 브랜드였습니다. 지난 6월 발표된 에어비앤비와 무인양품의 ‘호스트를 위한 필수품’ 소식 생각도 떠오르는, 15년 전 오늘의 뉴스입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