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은 덤, 바코드 우표 디자인

영국 로열 메일의 새 우표 디자인, 2022. © Royal Mail

영국의 우편 서비스 회사 로열 메일(Royal Mail)에서 2차원 바코드를 도입한 새 일반 우표 디자인을 출시했다. 새 우표는 한 개의 우표와 한 개의 바코드가 하나의 세트로, 로열 메일 애플리케이션과 연동된 디지털 우표와 짝을 이루면서 온-오프라인 우편 서비스를 상호 연동시킨다. 우편 수신자는 우표의 바코드를 스마트폰으로 스캔하면 영상을 시청할 수 있는데, 첫번째로 시범 제공되는 비디오는 ‘못 말리는 어린양 숀’이며, 앞으로 더 많은 영상이 추가될 예정이다.

수신자가 바코드를 스캔하면 볼 수 있는 ‘못 말리는 어린양 숀’, 2022. © Royal Mail

로열 메일은, 이같이 우표에 바코드를 부여함으로써, 현실 세계와 디지털 세계를 연결하여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고 보안도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새 일반 우표에는 기존의 로열 메일 우표에 오랫동안 사용되어온 엘리자베스 2세의 옆모습이 그대로 사용되었다. 이 상징적인 여왕의 부조(浮彫, Relief) 이미지는, 영국의 조각가 겸 우표 디자이너인 아널드 마친(Arnold Machin, 1911-1999)이 1966년에 우표 제작을 위해 제작한 것으로, 1967년 우표가 발행된 이후 현재까지 사용되어왔다.

엘리자베스 2세의 부조를 제작중인 아널드 마친 © Royal Mail

로열 메일에서는 색에 따라 우편의 등급이 결정되는데, 새 우표의 경우 일반 우표와 코드의 컬러를 동일하게 디자인했다. 절취선을 사이에 두고 우표와 바코드는 나란히 배치되어 있으며, 우표가 유효하기 위해서는 바코드가 손상되지 않아야 한다.

(왼쪽부터) 플럼 퍼플 Plum purple – 1등급, 홀리 그린 Holly green – 2등급, 마린 터퀴스 Marine Turquoise – 대형 1등급, 다크 파인 그린 Dark Pine Green – 대형 2등급, 2022. © Royal Mail

바코드가 없는 기본 일반 우표는 단계적으로 폐지될 예정으로, 2023년 1월 31일까지 사용 가능하다. 현재 기본 일반 우표를 소유하고 있는 고객들은 올해 3월 31일부터새로 시작되는 ‘스왑 아웃(Swap Out)’ 서비스를 통해 새 바코드 우표로 교환할 수 있다.

royalmail.com

© designflux.co.kr

이서영

디자인 우주를 여행하던 중 타고 있던 우주선의 내비게이션에 문제가 생겨 목적지를 잃고 우주를 부유하는 중입니다. 이 넓은 디자인 우주에서 어디로 가야할지 몰라 근처에 반짝이는 별이 보일 때마다 착륙해 탐험하고 탐험이 끝나면 떠나기를 반복하고 있습니다. 근데 생각보다 나쁘지 않더군요. 오히려 재미를 느끼기 시작했습니다. 이제 또 다음 별로 출발해보려 합니다.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0-10-14 | 잉크, 드레스 속에 흐르다

아나욱 비프레흐트는 인터페이스로서의 패션을, 패션으로서의 기술을 디자인합니다. 그가 2010년 선보인 ‘쉬도모프’는 그의 행보가 무엇인지를 보여주는 하나의 사례였지요. 잉크, 밸브, 전자회로가 더해진 두터운 펠트 드레스는, 기계가 작동하는 순간 드레스 안으로 잉크가 스며들며 번져나가 무늬를 만들어냅니다. 이후로도 그는 계속해서 “패션테크”의 영역을 탐색하고 있습니다. 

2011-10-19 | 타시타 딘의 ‘필름’

타시타 딘은 줄곧 필름을 매체로 활동해온 미술가입니다. “화가에게 물감이 필요하듯 내게는 필름이 필요하다”고 말할 정도로요. 2011년 그가 테이트 모던에서 선보인 ‘필름’은 위기에 처한 필름의 물질성과 특유함을 전면에 드러냅니다. 아날로그 매체로서의 필름을 찬미하는 기념비인 동시에 쇠락해가는 매체의 초상. <가디언> 리뷰는 이를 두고 “오마주이자 레퀴엠”이라 표현하기도 했지요.

2010-08-20 | 듀폰 상하이 ‘코리안® 디자인 스튜디오’ 오픈

2010년 상하이에 듀폰의 코리안® 디자인 스튜디오가 문을 열었습니다. 듀폰이 개발한 이 인조대리석은 건축에서 가구에 이르기까지 다방면에서 활용됩니다. 그리고 코리안® 디자인 스튜디오는 바로 이 소재로 무엇을 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기 이해 태어난 공간이고요. 홍콩을 거점으로 활동하는 영국 출신의 디자이너 마이클 영이 실내 디자인을 맡아, 가구에서 벽체까지 코리안®을 십분 활용한 공간을 만들어냈습니다. 

친환경/지속가능한 디자인 연구물은 어디에?

‘친환경’, ‘지속가능성’은 이제 디자인에서 고려해야할 사항 중에 하나가 아니라 디자인의 기본 조건이 되었다. 그러나 이것은 중요한연구의 주제이긴 하지만 대단히 많은 분야들과 연결되어 있어서 별도의 전문 분야로 다루기보다 각 학계에서 학문적 특성에 맞추어 다루는 토픽 중의 하나가 되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