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은 덤, 바코드 우표 디자인

영국 로열 메일의 새 우표 디자인, 2022. © Royal Mail

영국의 우편 서비스 회사 로열 메일(Royal Mail)에서 2차원 바코드를 도입한 새 일반 우표 디자인을 출시했다. 새 우표는 한 개의 우표와 한 개의 바코드가 하나의 세트로, 로열 메일 애플리케이션과 연동된 디지털 우표와 짝을 이루면서 온-오프라인 우편 서비스를 상호 연동시킨다. 우편 수신자는 우표의 바코드를 스마트폰으로 스캔하면 영상을 시청할 수 있는데, 첫번째로 시범 제공되는 비디오는 ‘못 말리는 어린양 숀’이며, 앞으로 더 많은 영상이 추가될 예정이다.

수신자가 바코드를 스캔하면 볼 수 있는 ‘못 말리는 어린양 숀’, 2022. © Royal Mail

로열 메일은, 이같이 우표에 바코드를 부여함으로써, 현실 세계와 디지털 세계를 연결하여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고 보안도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새 일반 우표에는 기존의 로열 메일 우표에 오랫동안 사용되어온 엘리자베스 2세의 옆모습이 그대로 사용되었다. 이 상징적인 여왕의 부조(浮彫, Relief) 이미지는, 영국의 조각가 겸 우표 디자이너인 아널드 마친(Arnold Machin, 1911-1999)이 1966년에 우표 제작을 위해 제작한 것으로, 1967년 우표가 발행된 이후 현재까지 사용되어왔다.

엘리자베스 2세의 부조를 제작중인 아널드 마친 © Royal Mail

로열 메일에서는 색에 따라 우편의 등급이 결정되는데, 새 우표의 경우 일반 우표와 코드의 컬러를 동일하게 디자인했다. 절취선을 사이에 두고 우표와 바코드는 나란히 배치되어 있으며, 우표가 유효하기 위해서는 바코드가 손상되지 않아야 한다.

(왼쪽부터) 플럼 퍼플 Plum purple – 1등급, 홀리 그린 Holly green – 2등급, 마린 터퀴스 Marine Turquoise – 대형 1등급, 다크 파인 그린 Dark Pine Green – 대형 2등급, 2022. © Royal Mail

바코드가 없는 기본 일반 우표는 단계적으로 폐지될 예정으로, 2023년 1월 31일까지 사용 가능하다. 현재 기본 일반 우표를 소유하고 있는 고객들은 올해 3월 31일부터새로 시작되는 ‘스왑 아웃(Swap Out)’ 서비스를 통해 새 바코드 우표로 교환할 수 있다.

royalmail.com

© designflux.co.kr

이서영

디자인 우주를 여행하던 중 타고 있던 우주선의 내비게이션에 문제가 생겨 목적지를 잃고 우주를 부유하는 중입니다. 이 넓은 디자인 우주에서 어디로 가야할지 몰라 근처에 반짝이는 별이 보일 때마다 착륙해 탐험하고 탐험이 끝나면 떠나기를 반복하고 있습니다. 근데 생각보다 나쁘지 않더군요. 오히려 재미를 느끼기 시작했습니다. 이제 또 다음 별로 출발해보려 합니다.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텍스트 인식 이미지 생성 AI ‘DALL-E 2’

인공지능 연구소 오픈AI(OpenAI)에서 텍스트를 인식하여 사실적인 이미지와 그림을 ‘창작’할 수 있는 AI 시스템, ‘달-이...

2010-08-11 | 미소니, 케네스 앵거와 만나다

〈스콜피오 라이징〉으로 유명한 실험영화 감독 케네스 앵거와 이탈리아의 패션하우스 미소니가 만났습니다. 러닝타임 2분 30초의 짤막한 캠페인 필름 〈미소니 바이 앵거〉의 크레딧이 올라올 때, 온통 미소니로 끝나는 이름들을 마주하게 됩니다. 2010년 그해, 미소니 일가는 봄/여름 위르겐 텔러에 이어 가을/겨울 케네스 앵거의 카메라 앞에 서며, ‘직접’ 브랜드 홍보의 전면에 섰습니다.

2011-05-12 | OCAD U 시각 아이덴티티

2011년 새단장한 온타리오미술디자인대학의 시각 아이덴티티가 공개되었습니다. 흑백의 창들로 이뤄진 가변형의 로고 디자인이 핵심입니다. 고정형에서 가변형으로 또 더 나아가 반응형에 이르기까지, 2010년을 전후로 운신의 폭을 넓힌 아이덴티티 디자인들이 속속 등장하며 하나의 추세를 이루었습니다. 2009년의 멜버른 시 아이덴티티, 2011년의 BMW 구겐하임 랩 아이덴티티, 2013년의 휘트니 미술관 그래픽 아이덴티티 같은 사례처럼요. 변화하는 디지털 미디어 환경과 시기적으로 궤를 같이 한 아이덴티티 디자인의 ‘동적’ 변화입니다.

2009-10-13 | 스튜디오 욥 x 빅터 & 롤프

네덜란드의 디자이너 듀오 두 팀이 하나의 무대에서 만났습니다. 스튜디오 욥과 빅터 & 롤프가 그 주인공입니다. 2009년 파리패션위크에서 선보인 빅터 & 롤프의 2010 S/S 패션쇼 현장, 무대 양 옆으로 거대한 지구본과 대좌가 나란히 놓였습니다. 대좌를 또 하나의 무대 삼아 오른 로신 머피가 노래하고, 스와로브스키 크리스털로 장식한 지구본이 미러볼처럼 돌며 빛을 발하는 동안, 내년의 가벼운 옷을 입은 모델들이 무대를 걸었지요. “서로의 길이 교차할 때마다 함게 즐겁게 일한다”는 두 듀오의 협업은 이전부터 이어져 또 이후에도 계속되었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