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1-10 | 네덜란드의 상징을 담은 우표 컬렉션

Editor’s Comment

지난주 미국 산업디자인 역사를 담은 우표를 소개했다면 오늘은 네덜란드의 상징들을 담은 우표입니다. TNT 포스트 그룹의 의뢰로 우표 디자인에 나선 스타트는 튤립이나 스케이트 같은 전통적인 상징 외에도, 부가부의 유아차라던가 테요 레미의 ‘우유병 램프’ 같은 현대의 상징을 모아, “네덜란드의 DNA”를 담은 12장의 우표 컬렉션을 선보였습니다. 

네덜란드의 우편회사 TNT 포스트 그룹이 암스테르담의 크리에이티브 에이전시 스타트(Staat)에 우표 디자인을 의뢰했다. TNT는 디자인 정책으로 유명한 회사로, 그 동안 우편함이나 배달용 자전거의 디자인에도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왔다. 스타트는 이 남다른 클라이언트의 취향을 만족시킬 만한 12종의 우표 컬렉션을 창조했다. 

일단 스타트는 네덜란드를 대표하는 아이콘을 물색하기 시작했다. 나막신이나 풍차 같은 손쉬운 선택 대신에, 네덜란드의 ‘오늘’을 전달할 수 있는 현대적 아이콘을 찾기로 했던 것이다. 그 결과 튤립, 스케이트와 같은 비교적 고전적인 아이템에서부터, 에너지 절약 전구와 같은 발명품, 하이네켄 병과 부가부 유모차(Bugaboo Stroller)와 같은 네덜란드산 히트 제품, 그리고 심지어 드로흐의 디자이너 테요 레미(Tejo Remy)의 ‘우유병 램프(Milk Bottle Lamp)’가 한 자리에 모였다. 이는 ‘네덜란드다움’이라는 개념 안에 디자인을 적극 포섭한다는 점에서 상당히 흥미로운 선택이다. 

“하이네켄 병이나 부가부 유모차는 국제적으로 대단한 성공을 거두며 세계에 네덜란드의 DNA가 무엇인지를 널리 알렸다. 한 번쯤은 보았을 이들 제품의 인지도는 그 독특한 형태와도 상당한 연관을 지니고 있다. 우리는 이들 아이콘의 핵심을 우표 안에 되살려냈다.” 

각각의 오브제는 전형적인 네덜란드 풍경 속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오렌지나 마젠타와 같은 신선한 컬러를 배합해 많은 사람들에게 소구할 만한 단순하면서도 흡인력 있는 디자인이 탄생했다. 스타트는 컬러와 배열 요소를 이용해 각각의 우표를 디자인적으로 서로 연결했고, 그래서 한 장에 서로 붙어있을 때는 ‘컬렉션’으로도 유감없는 단일한 시각 효과를 자아낸다. 

네덜란드 디자인에 대한 자부심으로 가득한 TNT 포스트 그룹의 우표 컬렉션은 2007년 1월 1일부터 발행 및 유통에 들어갔다.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9-09-30 | 인더스트리얼 퍼실리티의 자명종 시계

자명종 시계의 중요한 기능은 역시나 알림이겠죠. 인더스트리얼 퍼실리티와 IDEA의 ‘벨’은 그래서 이름도 벨입니다. 기능은 여느 자명종 시계와 다르지 않습니다. 다만 종소리 만큼은 흥미롭습니다. ‘화재 알림 레드’부터 ‘자전거 경적 크롬’, ‘초인종 블랙’ 등 시계의 색상에 따라 종소리의 크기를 달리하였거든요. 

팬톤, ‘홍콩 트램 그린’

지난 7월 팬톤과 홍콩 트램웨이즈(HK TRAMWAYS)가 협력하여, 홍콩의 역사와 문화를 담고 있는 트램의 초록색...

2009-02-25 | 2009 브릿 인슈어런스 디자인 어워즈

런던 디자인뮤지엄이 주최하는 연례 디자인 시상식의 2009년도 수상 결과를 다시 만나봅니다. 건축, 패션, 가구, 그래픽, 인터랙티브, 제품, 운송 등 총 7개 부문에서 ‘올해의 디자인’이 선정되었는데요. 노르웨이 오슬로의 오페라 하우스에서 콜롬비아 메데인의 케이블카까지, 2008년의 디자인을 되돌아보는 기회입니다. 

2011-06-02 | 스뇌헤타: SFMOMA 증축 설계안

지난 세기의 끝자락을 지나 이번 세기에 들어서도, 세계 곳곳에서 미술관의 신축 혹은 증축 소식이 연이어 전해졌습니다. 미술, 문화, 도시, 경제의 요구가 미술관을 교차하는 가운데, 특히 이 시기 후자의 관점에서 특정 미술관의 이름이 성공 신화로서 자주 불리우기도 했지요. 오늘의 뉴스는 2011년 발표된 SFMOMA의 증축 설계안입니다. 기존 마리오 보타가 설계한 적색 벽돌 건물 너머로 증축될 건물의 설계는 노르웨이의 스뇌헤타가 맡았고, 예정대로 2016년 5월 확장 공사를 마치고 재개관하였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