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1-11 | ABCing

Editor’s Comment

글자와 그 네거티브 공간을 뒤섞어, 해당 글자를 머릿글자 삼은 어떤 단어의 의미를 표현합니다. 콜린 엘리스의 〈ABCing, 알파벳 다르게 보기〉는 A부터 Z까지, 글자와 주변 공간을 재구성하여 태어난 24개의 일러스트레이션으로 이뤄져 있습니다. 

A부터 Z까지, 알파벳을 하나하나 되짚어 글자의 형태를 재구성하다. 콜린 엘리스(Collen Ellis)의 책, <ABCing, 알파벳 다르게 보기>가 출간되었다. 엘리스는 이 책에서 글자를 ‘해체’한다. 글자 자체는 물론이고, 글자를 둘러싼 네거티브 공간을 함께 뒤섞어, 낯선 무엇으로 변형한 것이다. “게슈탈트 이론의 기초 원칙들을 이용해, 독자들이 글자를 ‘백색 공간’ 안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돕는다.”  

그의 설명대로, 초점은 글자에서 글자 주변의 공간으로 이동하며, 재구성된 글자의 이미지는 글자에 주어진 ‘단어’의 의미를 표현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A의 abstract에서 Z의 zeitgeist까지, 총 24개의 단어들이 첫 글자로 만든 일러스트레이션과 함께 짝을 이루었다.  

글자를 ‘달리’ 봄으로써, 새로운 의미들과 마주하기. <ABCing, 알파벳 다르게 보기>는 마크 배티 출판사(Mark Batty Publisher)를 통해 출간되었으며, 이와 함께 동명의 웹사이트도 문을 열었다. 

www.abseeing.com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1-07-28 | 화장실 재발명

“지난 200년 간 그 어떤 혁신도 변기의 발명으로 촉발된 위생 혁명 이상 인명을 구하고 건강을 개선하지는 못했다. 하지만 충분히 나아가지는 못하고, 세상의 1/3까지만 다다랐을 뿐이다.” 세기가 바뀐 지 10년이 지났지만, 우리가 아는 모습의 화장실은 세계 인구 2/3에게는 희귀한 것이고, 아예 화장실이랄 것이 없는 인구도 10억 명에 달합니다. 그 결과는 참혹해서, 5세 이하 어린이의 사망 원인 두 번째가 설사병이며, 매년 1백만 명의 어린이가 적절한 위생 설비가 없어 목숨을 잃습니다. 2011년 빌 & 멜린다 게이츠 재단이 ‘화장실 재발명’ 프로그램을 시작한 이유입니다.

크리스토 앤 잔느-클로드의 마지막 프로젝트 ‘마스타바’

지난 2월 초, ‘마스타바가 드디어 현실화된다’는 몇몇 언론의 보도로 인해 프로젝트가 다시 화제가 되었는데,...

중산층의 잇템 #1 피아노 : 중산층의 소리

처음 내 방이 생긴 건 6살 때였다. 주택에서 아파트로 이사하고, 혼자서 어두운 공간에서 잠을...

보이지 않는 방패

영국의 스타트업 ‘인비저블 쉴드(Invisibility Shield Co.)’가 SF 혹은 판타지 영화에서나 볼 수 있을 법한...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