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01-04 | 허구의 디자인에 주목하라

Editor’s Comment

제품이 되기 위한 전 단계로서가 아니라, 어떤 이야기를 전면화한 가상 또는 허구의 디자인. 2008년, 코어77의 수석 에디터 앨런 초치노프는 생산가능성과 무관한 상상과 아이디어를 담은 디자인 혹은 사물의 개념에 집중하여 그 자체를 소비의 대상으로 담은 디자인을 모두 아울러 ‘프로토타이핑’이라 부르며, 그러한 허구의 디자인에 담긴 가능성을 이야기하였습니다. 

Core77의 수석 에디터, 앨런 초치노프(Allan Chochinov)가 최근 어도비 ‘싱크탱크’에 흥미로운 아티클을 게재했다. ‘창의적인 제스처 혹은 지루한 프로토타이핑? 허구적 제품의 중요성(Creative gesture or vapid prototyping? The importance of fictional products)’라는 제목의 이 글에서, 그는 프로토타이핑의 개념을 보다 확장시킨다. 

글의 핵심은 ‘허구의 제품fictional products’이라는 용어에서 출발한다. 종종 네이버와 같은 포털 사이트에 누군가 퍼온 가상의 휴대폰 디자인이 메인 페이지에 붐업되어 올라오기도 한다. 이는 디자인 아이디어가 얼마나 폭넓게 유통되고 있는가를 반증한다. Worth1000.com과 같은 사이트가 주최하는 온라인 그래픽 공모전에 선보이는 수천 개의 아이디어들, 혹은 이사무 사나다의 iPhone 시리즈처럼 소위 ‘iAnything’이라 할 만한 가상적 애플 제품에 대한 상상. 이 모두는 편리한 디자인 툴을 이용해 빠르고 쉽게 생산된 산물로, 인터넷을 통해 바이러스처럼 전파된다.

프론트 디자인, ‘스케치(Sketch)’

앨런 초치노프는 이러한 현상 속에서 ‘아이디어를 소비의 대상으로 삼는 디자인’의 사례들을 발견한다. 단지 현실화되지 않은 상상의 산물만을 두고 허구의 디자인이라 부르는 것만은 아니다. 2006년 프론트가 공개한 ‘스케치’ 가구의 동영상은 그 즉시 세계 곳곳의 블로그로 퍼져나갔다. 이를 두고 초치노프는 “개념의 소비를 보여주는 완벽한 사례”라 언급한다. 영상을 본 그 누구도 가구를 구매하겠노라 다짐하지 않았고, 심지어 프론트 마저도 가구 판매에 목적을 둔 것은 아니었다. 이처럼 ‘제대로 된 디자인과 공정을 거쳐, 실제 목표한 기능을 완벽히 수행하면서도 동시에 판매는 염두에 두지 않은’ 제품 디자인도 마찬가지로 허구적이라 할 수 있다. 전통적인 의미의 생산과 소비 개념과 거리를 두고 있기 때문이다. 

켈리 돕슨(Kelly Dobson), ‘블렌디(Blendie)’, 2004
– 마이크와 모종의 소프트웨어가 부착된 주방용 블렌더. 사용자가 실제로 ‘그르릉’ 소리를 내면 그제서야 작동하는 기계다. 본명히 실존하는 제품디자인이나, ‘과연 어느 정도 현실적인가? 혹은 어느 정도나 제품다운가?’라는 질문에 답하기 어려운 케이스다. 
(동영상 보기)

이런 허구의 디자인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는 이들이 ‘이야기’를 전면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입소문을 탄 이 상상의 산물들은 기능에 충실해서가 아니라, 이야기거리를 내포하였기에 널리 전파된다. 반면 “실제로 우리가 사용하는 수많은 제품들의 경우, 스토리텔링의 요소란 찾아보기 어렵다. 여전히 기능 아니면 형식 둘 중 하나가 우세한 식이다.” 초치노프는 크랜브룩 예술학교에 재직중인 3D 디자이너 스콧 클링커(Scott Klinker)의 말을 빌어 다음과 같이 덧붙인다. “더욱 많은 제품디자이너들이 사용자들의 행동을 파악하고, 경험의 접점을 찾기 위해 스토리텔링의 힘을 이용하고 있다.” 이것이 바로 ‘작가로서의 디자이너 designer as author’ 개념이 부상하는 이유다. 이처럼 새로운 이야기를 담은 제품 디자인이 시장을 이끌게 된다면, 디자인은 대중문화 속에서 대안적 가치를 소개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비록 생산가능성과는 거리가 멀지만 보는 이들을 사로잡는 기발한 상상과 아이디어의 디자인, 혹은 사물의 개념에 집중해 이를 소비의 대상으로 삼는 디자인. 이 모두가 또 다른 의미의 ‘프로토타이핑’이라는 것이 앨런 초치노프의 요지다. 실제 모형의 제작이라는 좁은 의미의 프로토타이핑 개념에 한정하지 않고 용어의 근원적 함의를 돌이켜본다면, 이와 같은 논지도 수긍이 간다. 

그리고 이런 허구의 디자인을 ‘만일 그렇다면?’이라는 시나리오를 통해 현실로 끌어온다면, 이 ‘디자인 픽션’이야말로 실제 디자인계에 활기를 불어넣을 만한 잠재성을 지지고 있다는 것이 이 글의 결론이다. 심지어 가까운 미래 RP 기계나 3D 프린터가 대중적으로 확산되어, 모형의 생산이 곧 제품의 생산이 되는 때가 온다 하더라도, 초치노프는 여전히 허구의 디자인이 픽셀의 형태로 소비되고 네트워크와 커뮤니티를 통해 공유되며 그렇게 ‘아이디어의 영역’에 머무르는 편이 최선일 것이라고까지 이야기한다. 

앨런 초치노프의 아티클 전문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다. 

[Allan Chochinov] Creative gesture or vapid prototyping? The importance of fictional products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8-05-02 | 가구로 다시 만나는 그녀, 발렌티나

무성영화 시대의 배우 루이즈 브룩스를 빼어닮은, 핫셀블라드를 든 사진가인 그녀는 관능, 희열, 백일몽, 사도마조히즘의 위험한 여정을 걸어왔습니다. 이탈리아의 만화가 귀도 크레팍스의 대표작 〈발렌티나〉의 이야기입니다. 1965년에 태어난 발렌티나 시리즈는 1980년에 막을 내렸고, 작가 귀도 크레팍스도 2003년 세상을 떠났지만, 이 유명한 여인은 책을 떠나 2008년에는 가구의 모습으로 2017년에는 벽지의 모습으로 다시 찾아왔습니다. 

2010-07-29 | 프랭크 게리 셀렉트

캘리포니아의 프랭크 로이드 갤러리는 도자 작품만을 전문적으로 선보여온 화랑입니다. 2010년 이곳에서는 프랭크 게리의 전시회가 열렸는데요. 정확히 말하면 프랭크 게리가 선별한 도자 작품들의 전시입니다. 도자기와 프랭크 게리. 의외의 조합 같지만, 약간의 과장을 보탠다면 도자 공예는 그가 건축가의 길을 걷게 된 전환점이었다고 할까요. 조금 더 자세한 이야기는 2010년 오늘자 소식인 ‘프랭크 게리 셀렉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2011-01-18 | 전시회 ‘큐빅스’

그리드의 입체판이라 해야 할까요? 정육면체를 기본 단위로 삼아 큐브 패턴의 원리를 찾고, 이를 디자인의 방법론으로 삼았던 두 사람이 있었습니다. 얀 슬롯하우버르와 빌리암 흐라츠마는 우표에서 가구까지 큐브 패턴의 응용 가능성을 활짝 펼쳤습니다. 이들의 작업은 2000년대 들어 뒤늦게 재발견되었는데요. 2011년의 ‘큐빅스’도 그러한 맥락에서 열린 전시입니다.

2011-04-14 | 이야기 꽃병

구슬 공예를 업으로 삼은 여성들의 이야기가 꽃병이 되었습니다. 말 그대로 꽃병은 여인들이 구슬로 적어내린 이야기를 입고 있습니다. 오늘의 뉴스는 남아공의 여성 구슬공예인 집단 시야자마 프로젝트와 스웨덴의 디자인 스튜디오 프론트가 함께 진행한 2011년의 ‘이야기 꽃병’ 프로젝트입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