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소프트 촉감 키트

전자 기기용 라벨 키트, 2021. © Microsoft

더 매끈하게, 더 간결하게, 전자 제품의 요철을 제거하고 있는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전자 기기용 라벨 키트(The Surface Adaptive Kit)를 출시했다. 이 키트는 전자 기기와 주변 장치의 표면에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는 4가지 종류의 촉감 라벨로 구성되어 있다. 돌기 라벨, 키 캡 라벨, 컴퓨터 포트 라벨, 오프너 라벨은 각각의 사용법이 있지만, 사용자가 원하는 방식으로 재구성해 사용할 수 있다.

돌기 라벨은 4개의 형태와 색으로 시각적, 촉각적으로 구별한다. 전자 기기와 주변 장치의 버튼, 키, 포트 등 어디에나 부착할 수 있다.

돌기 라벨, 2021. © Microsoft

키 캡 라벨은 키보드의 키 구별을 도와준다. 반투명의 표면이 돌출되어 키 입력과 상호 작용을 손끝에 확실하게 전달한다.

키 캡 라벨, 2021. © Microsoft

포트 라벨은 서로 맞는 케이블과 포트를 연결하기 쉽게 해준다. 5개의 세트는 각각 다른 색과 돌기 모양을 가지고 있으며, 짧은 라벨은 전자 기기 포트 옆에 붙이고 긴 라벨은 케이블에 감는다.

포트 라벨, 2021. © Microsoft

오프너 라벨은 노트북 상판과 후면에 부착하여 노트북을 열 때 사용하는 것으로, 중간에 U자형의 고리가 있는 라벨에는 끈을 묶어 손으로 노트북을 잡고 당겨 열기 쉽다.

오프너 라벨, 2021. © Microsoft

Microsoft.com

© designflux2.0.co.kr

이서영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1-10-19 | 타시타 딘의 ‘필름’

타시타 딘은 줄곧 필름을 매체로 활동해온 미술가입니다. “화가에게 물감이 필요하듯 내게는 필름이 필요하다”고 말할 정도로요. 2011년 그가 테이트 모던에서 선보인 ‘필름’은 위기에 처한 필름의 물질성과 특유함을 전면에 드러냅니다. 아날로그 매체로서의 필름을 찬미하는 기념비인 동시에 쇠락해가는 매체의 초상. <가디언> 리뷰는 이를 두고 “오마주이자 레퀴엠”이라 표현하기도 했지요.

음식물 쓰레기로 만든 가구

스웨덴 디자이너 카롤리나 헤르드(Carolina Härdh)가 스웨덴 예테보리에 위치한 일식 레스토랑 우라(Vrå)와 함께 녹말, 생선...

2008-10-14 | 킨, 권오상을 만나다

사진-조각이라는 새로운 유형을 만들어낸 미술가 권오상과 영국의 밴드 킨이 만났습니다. 킨의 세 번째 앨범 에는 권오상의 ‘데오드란트 타입’화된 멤버들의 모습이 담겼습니다. 수천 장의 사진으로 빚은 인물 조각의 형상으로요. 

2007-04-07 | 책 속에서 태어나는 빛의 기둥

책의 외양을 취한 조명 혹은 빛을 담은 책. 디자이너 타케시 이시구로의 ‘빛의 서적’입니다. 이 팝업북 혹은 조명은 ‘양심적인 디자인’으로 유명한 아르테크니카를 통해 출시되었습니다. 2008년 아르테크니카의 공동설립자이자 디렉터인 타미네 자반바크트를 만나 이야기를 나눌 기회가 있었습니다. 이 기회를 빌려 그와의 인터뷰도 함께 소개합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