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12-01 | 무지 어워드 03 수상작

Editor’s Comment

무지가 주최하는 디자인 공모전, 그 세 번째 수상작들입니다. 오래도록 쓰여온 사물의 가치를 재발견하고 이를 현대의 생활 속으로 옮기는 것, 그리하여 그 오랜 물건의 기원에 경의를 표하는 것이 무지 어워드 03의 주제였는데요. 그러한 취지를 거의 “언디자인”에 가깝게 밀어붙인, 소박한 밀짚 빨대가 최고상을 수상했습니다. 

무지가 주최하는 디자인 공모전, 무지 어워드 03의 수상작들이 발표되었다. 올해의 주제는 “무지의 발견(Found MUJI)”. 일상을 관찰하고 사유해온 무지의 디자인 접근방식이 곧 이번 공모전의 주제가 되었다. 무지는 “이는 선조의 지혜를, 또 오랜 시간 동안 사용되어 온 어떤 것의 이점을 발견하는 일이기도 하고, 또 이러한 아이디어를 우리의 현대적 라이프스타일과 부합하는 제품 디자인으로 번역하는 일”이라고 설명한다. 그리하여 지역의 삶, 문화, 전통을 재발견하고, 발견에 더해 그 기원에 경의를 표하는 것이야말로 이번 공모전의 목표였다고.

5월 26일부터 7월 31일까지, 약 두 달여간 개최된 이번 공모전에는, 총 35개국 1,986개 작품이 응모하였다. 심사는 무인양품의 대표 마사키 카나이를 비롯, 무지의 어드바이저인 디자이너들 – 켄야 하라, 나오토 후카사와, 타카시 스기모토 등이 맡았고, 특별 심사위원으로 재스퍼 모리슨도 참여했다. 이번 어워드에서는 금상 1점, 은상 1점, 동상 5점 등 총 7개 작품이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최초의 빨대는 밀짚이었다. 디자이너의 설명대로, 고대 메소포타미아 시기의 벽화에도 사람들이 밀짚으로 음료를 마시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 유키 이이다는 빨대의 근원으로 되돌아가, 한 물건의 기원 그 자체를 제품으로 다시 한 번 제시한다. “밀짚은 자연이 만들어내 형상이자, 자연으로 돌아가는 소재이기도 하다.” 이것은 ‘발견’이라는 이번 공모전의 주제를 가장 명시적으로 드러내는 방식이기도 하다. 분명 재스퍼 모리슨의 심사평대로 ‘스트로 스트로’는 “다른 모든 최고의 아이디어들처럼, 아둔하리만치 명백한 작품이다.” 하지만 이 단순명백한, 심지어 언디자인이라 불러도 좋을 이 작품에 심사위원들은 최고상을 수여했다. 켄야 하라는 그 놀라운 결정에 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이 작품은 개인적으로 매우 놀라웠다. 과거 빨대는 그저 빨대였다. 하지만 밀짚은 합성 소재로 대체되었고, 아코디언과 같은 주름부가 더해져 구부릴 수 있게 되었으며, 끝부분은 작은 스푼처럼 디자인되기도 한다. 기능이 과도해지면서, 빨대의 핵심적 의미는 분화되었다. 말하자면 빨대의 ‘근원’을 잊어버리게 된 것이다. 어떤 물건의 진정한 시초가 ‘발견’이었음을 다시 한 번 보여주는 작품의 충격. 그것이 바로 우리 심사위원들이 이 작품에 대해 내린 평가다.” 나오토 후카사와는 “너무도 명징한 작품으로, 무지라면 생산할 수 있을 만한 제품이라고도 생각한다. 하지만 우리 시대, 환경 오염의 문제를 생각해볼 때, 과연 우리가 자연으로부터 생산된 이런 도구를 사용한다는 것은 안전의 관점에서 불가능해 보이기도 한다. 만일 ‘밀짚’ 빨대를 사용할 수 있다면, 그것이야말로 환경문제의 개선을 보여주는 지표일 것”이라고 덧붙인다. 

은상은 켄 스기모토와 에리 스기모토가 디자인한 ‘야외용 쓰레기팩’에 돌아갔다. 스웨덴에서 처음 선보인 삼각뿔 형태의 용기 디자인은, 우유 등 여러 제품에 응용되며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다. 미국의 켄 & 에리 스기모토는 바로 이 삼각뿔 형태의 이점을 고스란히 살려, 캠핑이나 피크닉 등 야외 활동 시 휴대하면 좋을 쓰레기봉투를 디자인했다. 스스로 지탱하며 서 있을 수 있는데다, 용량도 꽤 큰 편이어서 유용성이 돋보이는 작품이다.

동상 김준현, ‘정밀 스테이플러(A Precise Stapler)’, 한국 

동상은 총 다섯 점의 작품에 수여되었다. 그 가운데는 한국의 디자이너의 작품도 포함되어 있다. 김준현의 ‘정밀 스테이플러’는 서류의 모서리를 고정할 수 있는 자그마한 홈을 지니고 있어, 일정한 위치에 고르게 철심을 박을 수 있다. 그 밖의 전체 동상 수상작 리스트는 다음과 같다. 

이번 무지 어워드 03의 수상작들은 이달 12일부터 도쿄 ‘아틀리에 무지’에서 전시될 예정. 수상작 전시는 2009년 1월 11일까지 계속된다.

www.muji.net/award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7-04-05 | IKEA의 주택 상품 ‘보클록(BoKlok)’

이케아도 무지도 집안에 둘 물건을 파는 데 머무르지 않고 집마저도 상품 목록에 더했습니다. 이케아가 건설회사 스칸스카와 함께 내놓은 '보클록(BoKlok)'은 ‘누구’에서 출발하는 집입니다. 이 집의 시작은 ‘아이 한 명을 키우는 한부모 여성’입니다. 평균 수준의 소득에 자동차는 없는 여성이요. 여기에서 조금 더 확대해 아이 한 명의 작은 가족, 이제 직장 생활을 시작해 첫 주택을 구입할 청년층, 작고 저렴하고 안전한 집을 원하는 노인 등이 보클록이 상정한 거주자의 모습이었습니다. 2019년에는 ‘실비아보’ 프로젝트를 통해 치매 환자를 위한 집을 선보이기도 했지요.

2007-08-10 | 시게루 반의 종이 다리

반 시게루에게 종이는 훌륭한 건축 자재입니다. 연약하다고 여겨지는 재료이지만 그것으로 만든 건축물까지 연약하기만 한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그는 ‘종이 건축’으로 반증해 보였지요. 2007년 오늘의 소식은 그가 프랑스에 지었던 종이로 된 다리입니다. 지관을 이용해 한 번에 스무 명이 지나가도 끄떡없는 종이 다리를 완성했지요. 

2011-07-27 | V&A 일러스트레이션 어워즈

V&A의 일러스트레이션 어워즈가 올해로 50주년을 맞이했습니다. 1972년 시작된 이래, 영국의 주요 일러스트레이션 공모전으로 자리잡은 행사입니다. 처음에는 도서만을 대상으로 했던 공모전 시상 부문은 현재 북 커버, 북 일러스트레이션, 저널리즘 일러스트레이션 세 가지로 확대되었고, 학생 부문도 별도로 시상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V&A 일러스트레이션 어워즈 2011년도 수상작을 되돌아봅니다. 

2011-11-03 | 쿠퍼휴잇, 디지털 서체 ‘클리어뷰’ 소장

쿠퍼휴잇 내셔널 디자인 뮤지엄이 소장한 최초의 디지털 서체는 고속도로 표지를 위해 태어난 ‘클리어뷰’입니다. 노년에 접어든 베이비붐 세대 운전자를 위해 태어난 도로표지판용 서체인데요. ‘클리어뷰’라는 이름답게 밤이면 빛 반사로 글자가 번져보이는 등 기존의 서체가 지녔던 문제를 개선하였습니다. 쿠퍼휴잇은 이 서체가 “사회적 참여로서의 디자인 사례”라는 데 주목하여 소장을 결정하였다고요.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