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11-10 | 세균 강박 사회를 위한 디자인

Editor’s Comment

그 시절에는 “강박”이었을지 모르겠으나, 이제는 타당한 염려가 되었습니다. 공중위생과 거리두기 같은 문제를 정면으로 다룬 2006년의 디자인들을 돌아봅니다. 어떤 것은 진도구에 가깝지 않은가 싶지만, 어떤 것은 팬데믹을 살아가는 지금 더욱 절실해 보입니다.

도시 속 삶이란 늘상 세균 감염의 위험에 무방비 상태로 노출되기 마련이다. 지난 11월 5일, <뉴욕타임즈>는 화장실에서 나올 때 손을 씻는 인구가 83퍼센트에 불과(?)하다는 조사 결과를 발표하면서, 다시 한번 위생에 관한 경각심을 불러일으킴과 동시에 공중 위생을 자동으로 해결할 수 있는 아이디어 제품을 소개하는 기사를 실었다. 그것은 바로 비달 사순의 조카 사이먼 사순이 디자인 한 ‘HYSO’. 익명의 다수가 만지는 공중화장실의 문손잡이를 15분마다 자동 소독하는 ‘손잡이 싸-악’ 제품이다. 

최근에는 일반인들도 감기나 독감 바이러스뿐만 아니라 대장균이며 살모넬라균 등등 세균의 이름을 줄줄 열거할 정도로 전문가 못지않은 위생 지식을 가지고 있다. 반면 그만큼 강박적 결벽증에 시달리는 사람의 수도 점점 더 늘어나는 추세다. 집에서야 각자 알아서 청결을 관리하겠지만, 공공장소에서는 어찌하랴. 그래서 나온 또 하나의 디자인은 휴대용 버스/지하철 손잡이다. 하루에도 수 천, 수 만 명이 잡고 다니는 버스나 지하철 손잡이마저도 위생 때문에 잡기를 꺼리는 분들을 위한 아이디어 상품, ‘나만의 손잡이’. 이런 제품이 실제 얼마나 위생을 보장할지는 더 많은 조사가 이루어져야겠지만, 우선은 사용자에게 심리적 안정을 가져다 줄 것 같다. 

하나 더. 도시의 삶이란 감염 강박만 제거한다고 해결되지 않는다. 길을 걸을 때조차 몸을 부대끼는 인구 1천 만의 대도시에서는 ‘익스큐즈미 플래그(Excuse Me Flag)’가 필요하지 않을까. 제발 1큐빅 미터의 공간만은 확보해 달라는 마지막 절규처럼 보인다.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1-04-11 | 죽기 전에 하고 싶은 것

조만간 사라질 운명의 빈 건물에 커다란 칠판이 설치되었습니다. 그리고 그곳에는 동네 주민들의 희망과 소원이 적혔죠. ‘죽기 전에’라는 이름의 프로젝트를 통해 캔디 창은 죽음을 앞둔 시한부 건물에 죽기 전에 이루고픈 바람을 모아냈습니다. 

90년 만에 완성된 ‘단 한 장’의 의자

1934년 헤리트 리트벨트는 단 하나의 나무 조각으로 의자를 만들겠다는 상상력에서 출발하여 선구적인 실험 작업...

2011-01-27 | 유선형 디자인의 세계 

전기차들이 단호한 직선으로 자동차의 미래를 시각화하는 요즘입니다. 테슬라의 사이버트럭까지 가지 않더라도, 이미 도로에서 직선이 돋보이는 자동차들을 쉽게 만나볼 수 있죠. 1930~40년대 미국에서 미래는 ‘유선형’이었습니다. 그리고 그 미래의 형태는 다리미에서 자동차에 이르기까지 생활 전반에 광범위하게 등장했죠. 2011년 미국 필브룩미술관에서 열린 ‘유선형 디자인: 내일의 세계’는 바로 그 시기의 디자인을 돌아본 자리였습니다.

2011-05-04 | 우표 x 증강현실

현실 세계에 가상의 객체가 겹쳐지는 증강현실 기술은 스마트폰의 보급과 함께 한층 가까이 다가왔습니다. 그래서 이렇게 우표 위에 건물이 솟아오르는 일도 가능해졌죠. 2011년 암스테르담의 광고회사 검모는 TNT 포스트의 의뢰로 증강현실 우표 세트를 선보였습니다. 아직 지어지지 않은 다섯 개의 건축물이 자그마한 우표 위에서 구현됩니다. 모두 아직 세워지지 않은 건물들이라는 점에서 증강현실 기술에 더욱 어울려 보였죠.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