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11-05 | 샤넬 모바일 아트 컨테이너

Editor’s Comment

샤넬을 상징하는 그 퀼팅백에서 영감을 얻은 동시대 미술 작품들을 싣고 세계를 여행할 컨테이너. 샤넬은 이 ‘모바일 아트’ 컨테이너의 설계를 자하 하디드에게 의뢰하였습니다. 우주선을 닮은 그의 이동식 전시 파빌리온은 2010년까지 세계 여행을 마치고, 2011년 파리 아랍세계연구소 앞마당에 안착하였습니다. 

샤넬이 새로운 아트 캠페인 ‘모바일 아트’를 런칭한다. ‘모바일 아트’에는 18인의 저명한 작가들이 참여하여, 샤넬의 저 유명한 핸드백, 즉 누빔처리된 가죽과 체인 손잡이로 샤넬의 아이콘이 된 바로 그 가방에서 영감을 얻은 작품들을 선보일 예정이다. 그리고 이들 작품을 싣고 여행할 이동식 컨테이너의 디자인은 건축가 자하 하디드가 맡았다. 

<뉴욕타임즈>에 공개된 컨테이너의 모습은 빛나는 화이트 컬러의 파이버글래스 소재와, UFO를 연상시키는 형상이 빚어내는 미래적인 감각으로 가득차 있다. 어떤 의미에서 이 ‘모바일 아트 컨테이너’의 진정한 전시작은 컨테이너 그 자체인지도 모르겠다. 칼 라거펠트는 “바우하우스의 전체주의에서 벗어난 이 스타 건축가”의 능력에 감동을 받았으며, 그녀가 샤넬과 현대 예술 및 디자인을 연계하는 공간적 스펙타클을 창조해주길 바랐다고. 

칼 라거펠트와 자하 하디드, 그리고 샤넬과 현대 예술의 만남. ‘모바일 아트 컨테이너’는 2008년부터 2010년까지 3년 동안, 홍콩을 시작으로 뉴욕, 파리, 도쿄, 모스크바, LA, 런던 등 세계 주요 도시를 여행하게 된다. 

ⓒ designflux.co.kr

학부와 대학원에서 디자인학을 전공하고, 2000년대 디자인 공공성 담론에 관한 연구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건국대학교 메타디자인연구실 소속 연구원으로, 현재 제주대학교에 출강하고 있다. 『세기 전환기, 한국 디자인의 모색 1988~2007』, 『행복의 기호들: 디자인과 일상의 탄생』에 필진으로 참여했고, 전자책으로 『잃어버린 미스터케이를 찾아서』를 펴냈다.다. 디자인 스튜디오 겸 출판사인 아키타입(archetypes)을 운영하며 저술과 출판 활동 등을 통해 책과 기록물을 만들고 있다.

이번 아티클 어떻게 보셨나요?

Designflux 2.0은 독자의 피드백을 기다립니다. 아티클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여러분의 관심과 참여가 콘텐츠를 전하는 데 큰 힘이 됩니다.

More Articles

2009-07-20 | 토요타 iQ 폰트

전용 서체가 브랜딩의 주요한 수단이 된 지 오래이고, 그러니 무언가의 전용 서체라고 해서 새로운 이야기는 아닙니다. 다만 그 무언가가 자동차이고 서체가 자동차의 주행 궤적에서 탄생했다면 이야기가 조금 다르겠지요. 토요타의 시티카 ‘iQ’의 캠페인을 맡은 블리스는 이 작은 차의 민첩함을 강조하기 위해 주행 궤적으로 이뤄진 서체를 만들기로 하고, 인터랙티브 아티스트와 그래픽디자인 스튜디오와 힘을 합했죠. 블리스는 이 캠페인으로 2010년 칸느 국제광고제에서 그랑프리를 수상했습니다.

레고로 재해석한 앨범 재킷

미국의 레고 아티스트 애드넌 로티아(Adnan Lotia)는 명반의 재킷을 레고 아트로 재해석한다. 록, 팝, R&B,...

2009-11-23 | 시장을 품은 아파트

주상복합건물이 새로울 것은 없지만, 또 이런 건물은 흔치 않을 것입니다. MVRDV가 설계한 ‘마켓 홀’의 놀라운 부분은 건물이 재래 시장을 품고 있다는 점입니다. 건물이 곧 시장의 아케이드가 되어 흥미롭게 동거합니다. ‘마켓 홀’은 예정대로 2014년 완공되었고, 그 모습은 이곳에서 살펴보실 수 있습니다. 

2010-04-28 | 아이들에게 안경을

퓨즈프로젝트의 작업을 분류하는 카테고리 중에는 ‘사회적 영향’이 있습니다. 2010년의 이 프로젝트도 그에 속하죠. ‘잘 보이면 더 잘 배울 수 있어요’는 아이들의 시력이 학업에 걸림돌이 되지 않도록 시작된 무료 안경 배포 프로그램입니다. 퓨즈프로젝트는 안경에 대한 아이들의 거부감을 줄일 만한 유쾌한 모양의 안경을 디자인했습니다.

Designflux 2.0

Designflux 2.0는 디자인매터스랩(Design Matters Laboratory)에서 운영하는 웹진입니다.
Designflux 2.0에서는 디자인을 수단 삼지 않는 디자인의 이야기를 하고자 합니다.
이에 참여하기를 원하시는 분들은 연락해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