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고로 재해석한 앨범 재킷

미국의 레고 아티스트 애드넌 로티아(Adnan Lotia)는 명반의 재킷을 레고 아트로 재해석한다. 록, 팝, R&B, 힙합, 일렉트로니카, 얼터너티브 등 장르를 망라하며, 특히 ‘명반’으로 꼽히는 앨범 재킷을 선보인다. 그의 작업은 비틀스의 ‘헬프!’(1965)에서 비욘세의 ‘레모네이드’(2016)까지 폭넓은 장르와 다양한 세대의 앨범을 아우른다. 레고로 표현된 재킷 이미지와 더불어 앨범의 오리지널 타이틀과 레고의 ‘브릭(Brick)’을 결합한 말장난도 눈길을 끈다.

(좌) 프린스의 ‘I Wanna Be Your Lover’ (1979) 레고 아트, (우) 레고 아트 확대 모습, 2021. © Adnan Lotia

전문 레고 아티스트가 되기 전, 로티아는 로봇 수업 담당 교사 생활을 하며, 수업 후에 배트맨, 에어울프 등 TV, 영화 캐릭터의 전동 레고 모델을 하나 둘 씩 만들기 시작했다. 그리고 올해 초, 핑크 플로이드의 전설적인 앨범 ‘다크사이드 오브 더 문’을 듣던 중 레고로 앨범 재킷을 재구성하는 아이디어를 착안하였고, 4월에 완성작을 인스타그램에 게시한 후 다른 작업을 연이어 선보이고 있다. 처음에는 비교적 단순한 형태로 된 유명 앨범 위주로 작업을 하다가, 브릭링크(BrickLink, 세계 최대 레고 커뮤니티)의 프로그램을 사용하기 시작하면서 복잡하고 다채로운 레고 아트를 보여주고 있다.

(좌) 펫숍 보이즈의 ‘Introspective’ (1988) 레고 아트, (우) 건즈 앤 로지스의 ‘Appetite for Destruction’ (1987) 레고 아트, 2021. © Adnan Lotia

“어린 시절에는 80년대 팝 스타를 우상으로 여기며 자랐다. 고등학교에서 그런지 밴드 활동을 하다가 대학생 때는 일렉트로니카 R&B에 빠져들었다. 성인이 되어서는 프로그레시브 록에 심취했고, 최근에는 70년대 디스코, 펑크와 사랑에 빠졌다.” 로봇 수업 선생님이 어떻게 레고 아트와 음악을 접목시키게 되었는지 배경을 짐작할 수 있는 설명이다.

loudwire.com
@uvupv

© designflux.co.kr


이서영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9-02-04 | 올린의 새 얼굴, 새 웹사이트

세계적인 조경건축 디자인 회사 올린이 2009년 새로운 아이덴티티를 도입하며 그에 걸맞게 웹사이트도 새단장합니다. 리뉴얼을 맡은 펜타그램의 애벗 밀러는 간결함에 집중합니다. 그리고 이는 올린의 O를 강조한 디자인으로 드러나죠. O자에 담긴 두 개의 원에 집중한 단순한 디자인이지만, 다양한 색상과 유연한 로고 구성으로 지루함을 피했다는 설명입니다.

2010-01-11 | ABCing

글자와 그 네거티브 공간을 뒤섞어, 해당 글자를 머릿글자 삼은 어떤 단어의 의미를 표현합니다. 콜린 엘리스의 〈ABCing, 알파벳 다르게 보기〉는 A부터 Z까지, 글자와 주변 공간을 재구성하여 태어난 24개의 일러스트레이션으로 이뤄져 있습니다. 

2011-11-03 | 쿠퍼휴잇, 디지털 서체 ‘클리어뷰’ 소장

쿠퍼휴잇 내셔널 디자인 뮤지엄이 소장한 최초의 디지털 서체는 고속도로 표지를 위해 태어난 ‘클리어뷰’입니다. 노년에 접어든 베이비붐 세대 운전자를 위해 태어난 도로표지판용 서체인데요. ‘클리어뷰’라는 이름답게 밤이면 빛 반사로 글자가 번져보이는 등 기존의 서체가 지녔던 문제를 개선하였습니다. 쿠퍼휴잇은 이 서체가 “사회적 참여로서의 디자인 사례”라는 데 주목하여 소장을 결정하였다고요. 

Design of Voice #3 두연씨, 우리 잘 먹고 잘 살아요.

매년 돌아오는 여름이지만 올해 유난히 ‘이렇게까지 더웠던 적이 있었나?’라는 생각이 자주 든다. 2021년 7월,...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