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10-19 | 타시타 딘의 ‘필름’

Editor’s Comment

타시타 딘은 줄곧 필름을 매체로 활동해온 미술가입니다. “화가에게 물감이 필요하듯 내게는 필름이 필요하다”고 말할 정도로요. 2011년 그가 테이트 모던에서 선보인 ‘필름’은 위기에 처한 필름의 물질성과 특유함을 전면에 드러냅니다. 아날로그 매체로서의 필름을 찬미하는 기념비인 동시에 쇠락해가는 매체의 초상. <가디언> 리뷰는 이를 두고 “오마주이자 레퀴엠”이라 표현하기도 했지요.

타시타 딘(Tacita Dean), ‘필름(Film)’, 2011
Courtesy of the artist, Frith Street Gallery, London and Marian Goodman Gallery, New York/Paris.
Photo: Lucy Dawkins

테이트 모던 내 터빈 홀에 수직의 스크린이 들어섰다.  유니레버(Unilever) 시리즈, 그 열 두 번째 작품인 ‘필름(Film)’이다. 타시타 딘(Tacita Dean)은 이번 작업에서 필름이라는 매체의 초상을 그려보인다. 

터빈 홀에 설치된 스크린은13m 높이로, 독특하게도 세로로  길게 서 있다. 이는 실제로 시네마스코프 렌즈를 90도로 돌려 촬영한 영상에 상응하는 것이다. 스크린의 외양은 셀룰로이드 필름 띠와 유사해서, 양 옆으로 스프로켓 홀이 나 있고, 또 투명하여 스크린 너머로 터빈 홀의 벽이 비춰 보일 정도이다. 그리고 그 위로 11분 길이의 무성 영화가 계속해서 반복된다. 번개와 나무, 바다의 풍경 등이, 시각적 시처럼 리듬과 음보 속에 펼쳐진다. 

타시타 딘은 비디지털 매체로서 필름의 물질성을 작품 속에 의도적으로 드러낸다. 마스킹, 이중노출, 유리 매트 페인팅처럼, 영화 역사의 초창기 놀라움을 안겨주었던 기법들이 다시금 등장하며, 보통 영화 제작 과정에서 쓸모없다고 여겨지는 이미지들마저 끌어안는다. 필름 롤의 끄트머리에 남은 페이드 아웃의 이미지, 카메라를 멈추었다 다시 작동시키며 생긴 노출과다 프레임들, 색상 필터를 교체하며 변해가는 희미한 변화의 프레임들 모두가, ‘필름’의 일부이다.

아날로그, 광화학, 비지디털 매체로서 필름을 찬미하는 기념비. 그러나 ‘필름’은 쇠락해가는 매체의 서글픈 초상이기도 하다. 디지털 기술이 하나의 규범으로 자리잡는 동안, 이제 필름은 생존을 걱정해야 할 운명에 처했다. 이는 그저 엄살이 아니다. 영국 최후의 16mm 프린트 현상소였던 소호  필름 랩(Soho Film Lab)이 작년 문을 닫았다. 아리(ARRI), 파나비전(Panavision), 아톤(Aaton) 등 주요 영화카메라 제조사들은 이제 더 이상 카메라를 생산하지 않는다(관련기사 보기). 

타시타 딘은 이러한 미래를 깊이 우려한다. ‘필름’은 지금 이 매체가 처한 위기를 근심하며, 필름의 위기가 우리의 시각 문화에 미칠 영향, 우리 시대에 중단되고 말지 모를 필름의 역사를 상기시킨다. ‘필름’은 매체 스스로가 밝히는 당위의 증거이다. 

www.tate.org.uk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BBC ‘새’ 로고 디자인 논란

2021년 상반기, BBC가 새 로고를 공개한 후, 세금 낭비라는 항의와 비판이 이어지고 있다. 영국...

하루만에 완성된 집

일본 건설 스타트업 세렌딕스(Serendix Partners)에서 3D 프린팅 주택 ’스피어(Sphere)’를 단 하루만에 완성했다. 세레딕스는 ‘스피어’의...

2006-11-01 | 퐁피두 ‘메츠’ 분관 착공

유명 뮤지엄들이 분관을 세우며 세계 곳곳으로 확장해 나가던 시기, 프랑스의 퐁피두 센터도 상하이에 이어 메츠에 분관을 건축하기로 합니다. 2003년 설계 공모에서 당선된 시게루 반과 장 드 가스틴이 설계한 퐁피두 메츠 센터는 푸른 초지 위 가벼운 모자의 형상을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2006년 11월 미술관의 착공 소식이 전해졌는데요. 약 3년 반의 공사 기간을 거쳐, 2010년 5월에 문을 열었습니다. 

2010-07-20 | 판톤 의자 커스터마이징

2010년 ‘판톤 의자’의 탄생 50주년을 맞아, 비트라 UK에서 ‘판톤 의자 공모전’을 진행했습니다. 디자이너와 건축가에게 이 디자인 고전의 재해석을 요청한 것인데요. 그렇게 탄생한 총 31점의 의자는 완전히 해체되어 본래의 형태를 잃기도 하고, 의자의 사명을 버리고 테이블이 되기도 합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