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09-10 | 보철미학

Editor’s Comment

2008년 디자인 아카데미 에인트호번을 졸업하며 프란체스카 란차베키아는 의료용 보철기구를 재해석한 일련의 기구들을 졸업 작품으로 선보입니다. 이름하여 ‘보철미학’은 그의 설명대로 “오로지 기능적 측면만 강조된, 기계적이고 일반적인 외양의 보조기기들”을 표현의 매체로서 바라봅니다. 졸업 후 란차베키아는 학교에서 만난 훈 와이와 란차베키아+와이를 설립하여 지금까지 함께 활동하고 있습니다. 참고로 기사 마지막 부분의 레이스 목보호대를 한 여자와 목발을 입은 남자, 그 두 사람이 바로 프란체스카 란차베키아와 훈 와이입니다.

프란체스카 란차베키아, ‘지팡이의 재해석(Canes, Reinterpreted)’
photo by Davide Farabegoli

프란체스카 란차베키아(Francesca Lanzavecchia)는 올 봄 에인트호벤 디자인 아카데미에서 박사 과정을 마친, 이탈리아 출신의 디자이너다. 그녀의 박사 학위 프로젝트 ‘보철미학(ProAesthetics)’은 목보호대나 지팡이, 허리보호대와 같은 의료용 보조기기들을 통해, 장애에 관한 사회적 인식의 양상을 탐색한다. 

“우리 사회에서 신체적 장애를 지닌 사람은 자기를 표현할 만한 적절한 기회를 얻지 못한다. 오로지 기능적 측면만 강조된, 기계적이고 일반적인 외양의 보조기기들만이 존재할 뿐이다.” 란차베키아의 설명대로, 휠체어나 지팡이, 보호대와 같은 기구들은 오로지 그 자신의 기능에 충실한 외양만을 지니고 있으며, 더불어 이를 착용하는 순간 장애의 사회적 기호로서 작용하기 시작한다. 

이러한 인식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란차베키아는 이들 기기로부터 우울한 외양을 걷어내고, 표현적인 가치들을 불어넣었다. 패션 소품처럼 보이는 목보호대나, 그림을 입힌 허리보호대처럼 자기표현의 수단이 된 기구들이 있는가 하면, 구멍이 숭숭 난 다공증의 뼈 모양을 재현한 지팡이는 장애의 원인을 오히려 자랑스레 전시하기도 한다.

신체적 불편과 장애에 대한 인식의 역전을 보여주는 프로젝트, ‘보철미학’은 지난 여름 개최된 에인트호벤 디자인 아카데미의 졸업전시회를 통해 선보였으며, 프란체스카 란차베키아의 홈페이지를 방문하면 새롭게 리디자인된 다채로운 의료 기기들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1]

www.francesca.nu
https://www.lanzavecchia-wai.com

via designboom 

ⓒ designflux.co.kr


[1] 기사 이미지 전체 교체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9-06-22 | 토르트 본체, RCA 제품디자인과 학과장에

“그가 최근에 RCA 제품디자인 학과장이 된 것 아시죠?” 2009년 아르테크니카의 타미네 자반바크트가 인터뷰 중에 언급했던 그 소식입니다. 네덜란드 출신의 디자이너 토르트 본체가 2009년 RCA 제품디자인 과정 학과장에 선임되었습니다. 2000년대 들어 세계적인 디자이너로서 전방위적으로 활동해온 그는 RCA의 제안을 수락하며, 스튜디오를 처음 열었던 도시인 런던으로 돌아와, 2013년까지 교육자로서 학생들을 가르쳤습니다.

2008-09-22 | 싱글타운

2008년 베니스건축비엔날레에서 선보인 드로흐와 케셀스그라머의 ‘싱글타운’은 1인 가구의 부상이라는 사회적 변화를 9가지 유형의 1인 가구 모습을 통해 드러낸 전시였습니다. 사회적 변화가 낳은 생활 양식의 변화를 구현하기에 제품디자인은 좋은 방법론이었죠. 그것은 또한 ‘건물을 넘어선 건축’이라는 비엔날레 주제와도 잘 맞아떨어졌습니다. 

2007-08-13 | 알루미늄 아이맥

2007년은 아이맥이 처음으로 알루미늄 몸체를 갖게 된 해입니다. 형태 면에서 G5부터 이어져 온 모니터 형태의 일체형 디자인을 이어가되, 재질 면에서는 아크릴, 폴리카보네이트과 완전히 단절하고 알루미늄으로 넘어왔습니다. 올해 애플 자체 프로세서인 애플 실리콘을 탑재한 새 아이맥이 등장하기 전까지, 은색 알루미늄 바디와 검은색 배젤 그리고 전면 하단 로고가 아이맥 하면 떠오르는 모습이었습니다. 아직은 기존의 인텔 아이맥과 색색의 실리콘 아이맥이 공존하고 있지만, 머지 않아 과거의 것이 될 ‘그’ 아이맥의 시작으로 돌아가봅니다.

2011-08-03 | 앱솔루트 블랭크

앱솔루트 병 모양의 캔버스 위로 20인의 차세대 아티스트가 작업을 펼쳤습니다. 회화에서 영상, 조명 인스톨레이션까지, 각자 “자신의 것”을 선보였죠. 2011년 오늘의 소식은 앱솔루트가 전개했던 ‘앱솔루트 블랭크’ 캠페인입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