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0년 긴 잠에서 깨어난 수도원

성-프랑수아 수도원 전경, 2021. © Thibaut Dini

프랑스 건축가 아멜리아 타벨라(Amelia Tavella)가 프랑스의 산타 루시아 디 탈라노에 위치한 ‘성-프랑수아 수도원(the Convent Saint-François)’의 재건축을 완료했다.

이 수도원은 1480년에 지어진 이후, 부분적으로 훼손된 채 오랜 시간 방치되었다. 타벨라는 파괴된 건물의 잔해를 유지하면서, 그 구멍을 구리 무샤라비에(Moucharabieh: 아라비아 건축의 격자무늬)로 채웠다. 과거에 파괴된 건물에 현대적 감각으로 구리를 사용함으로써, 오래된 것과 새것이 서로를 지우지 않는다. 그리고 수도원을 둘러싼 산의 풍경과 수도원 건물의 균형미를 고려하여 재건축된 건물의 어떤 요소도 시야를 방해하지 않도록 하였다.

건물 잔해와 이어진 구리 외벽, 2021. © Thibaut Dini

마치 스테인드글라스 유리창을 통해 빛이 고딕 성당의 실내로 들어오는 것처럼, 이 건물의 외벽을 이루는 구리 무샤라비에는 빛을 사로잡는다.

또한 구리로 만들어진 외벽은 부드러운 느낌을 주는데, 화강암이 가진 부드러움과 달리, 구리에는 하늘에서 내려오는 빛을 잡아 두고 반사하려는 성향이 있다. 이러한 소재의 성질은 하늘을 향해 기도하는 수도승의 모습, 또는 하늘에 가까워지고자 높은 곳까지 찾아온 신실한 종교인들의 모습을 연상시킨다.

“더 높은 곳에서 내려오는 보이지 않는 힘을 믿는다. 성-프랑수아 수도원이 높은 절벽에 지어지고, 기도의 장소로 수도승에게 선택된 것도 그 믿음의 결과이다”고 건축가는, 높고 외진 곳에 수도원이 자리하게 된 이유를 신앙심과 연관 지어 설명한다.

수도원 안으로 들어오는 빛, 2021 © Thibaut Dini

archdaily.com

현재 사이트 점검 중 ameliatavella.com

© designflux.co.kr

이서영

디자인 우주를 여행하던 중 타고 있던 우주선의 내비게이션에 문제가 생겨 목적지를 잃고 우주를 부유하는 중입니다. 이 넓은 디자인 우주에서 어디로 가야할지 몰라 근처에 반짝이는 별이 보일 때마다 착륙해 탐험하고 탐험이 끝나면 떠나기를 반복하고 있습니다. 근데 생각보다 나쁘지 않더군요. 오히려 재미를 느끼기 시작했습니다. 이제 또 다음 별로 출발해보려 합니다.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7-05-03 | 기프트 라이트

스튜어트 헤이가스하면 이런저런 작은 물건들이 군집한 샹들리에가 떠오릅니다. 대표작인 ‘조류’처럼요. 2007년 오늘 소개한 ‘기프트 라이트’는 그와는 다르지만 또 아예 다르지만은 않습니다. 학교 앞 문방구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작은 캡슐 자판기의 캡슐들을 여럿 품은 커다란 캡슐로서의 조명. 어린이를 위한 선물 같은 야간 조명입니다. 

Designs for the Pluriverse: Radical Interdependence, Autonomy, and the Making of Worlds

무엇 무엇을 위한 디자인이라는 제목을 붙인 책이 한 둘인가. <사회를 위한 디자인>, <인간을 위한...

2008-05-02 | 가구로 다시 만나는 그녀, 발렌티나

무성영화 시대의 배우 루이즈 브룩스를 빼어닮은, 핫셀블라드를 든 사진가인 그녀는 관능, 희열, 백일몽, 사도마조히즘의 위험한 여정을 걸어왔습니다. 이탈리아의 만화가 귀도 크레팍스의 대표작 〈발렌티나〉의 이야기입니다. 1965년에 태어난 발렌티나 시리즈는 1980년에 막을 내렸고, 작가 귀도 크레팍스도 2003년 세상을 떠났지만, 이 유명한 여인은 책을 떠나 2008년에는 가구의 모습으로 2017년에는 벽지의 모습으로 다시 찾아왔습니다. 

2021-11-15 | 디터 람스의 ‘620 체어 프로그램’ 재탄생

언제부터인가 디터 람스의 디자인을 수집하는 사람들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으니, 오래된 시계, 전축 시스템, 의자, 선반이 어느 집, 어느 카페 사진 속에서 발견되곤 합니다. 디터 람스의 이름과 떼놓을 수 없는 브랜드도 있습니다. 그가 40년을 몸담았던 브라운과 더불어, 비초에도 빼놓을 수 없습니다. 1960년대, 그러니까 비초에가 비초에+차프였던 시절에 디터 람스가 디자인한 선반, 의자, 테이블은 비초에라는 브랜드의 존재 이유와도 같은 무엇이 되었지요.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