캠벨 수프, 50년만에 변신

좌) 캠벨 수프 오리지널 라벨 우) 리디자인 라벨 © Campbell’s

앤디 워홀의 팝아트 작품으로 유명한 캠벨 수프의 캔 라벨이 약 50년 만에 리디자인 되었다. 캠벨 수프의 상징인 색상(빨간색과 흰색)은 그대로 유지되고 있지만 로고(Campbell’s)와 캔의 아래 부분에 위치한 ‘Soup’의 폰트에서 변화된 점을 발견할 수 있다. 로고에서는 그림자가 사라지고 폰트의 크기 등에서 변화가 생겼다. 아래에 위치한 글자 ‘Soup’는 이전 버전과 다른 컬러와 폰트로 변화되었고, 수프의 재료인 토마토 사진이 우측에 함께 표현되었다.

캠벨 수프는 새로운 디자인을 기념하며 스트릿 스타일의 작업을 하는 아티스트 소피아 창(Sophia Chang)과 함께 첫 NFT(Non-Fungible Token-대체 불가능한 토큰)[1]를 선보였다. 소피아 창은 중앙에 새로 디자인된 캠벨 수프 이미지를 위치시키고 주변에 작가 자신과 브랜드를 표현하는 키워드를 배치했다. 소피아 창의 작품 100점은 7월 27일 NFT 마켓 NRWRK에서 판매되며, 또다른 NFT 마켓 오픈시(OpenSea)에서는 영상 작품을 만나 볼 수 있다.

소피아 창, ‘AmeriCANa-SOPHIA CHANG X CAMPBELL’S’, 2021. © Sophia Chang

이번 캠벨 수프의 라벨 리디자인에서는 그래픽 상 ‘눈에 띄는’ 변화를 주기보다, 오리지널 이미지를 유지하면서 새로운 시대 감각에 맞게 미묘한, 그러나 전반적인 이미지의 변신을 이루었다.


캠벨 수프의 새로운 로고 디자인은 판매율이 가장 높은 상품인 토마토 수프, 치킨 누들, 크림 치킨, 그리고 크림 버섯에 적용되어 소비자에게 선보이고 있다.

[1]NFT는 이미지에 소유권, 판매 이력 등의 관련 정보가 담긴 고유 코드를 부여하여 판매한다. 부여된 코드로 인해 복제와 위변조를 막을 수 있다. 희소성과 유일성이라는 가치가 담겨있어 최근 NFT가 적용된 디지털 예술품 등이 늘어나고 있다.

printmag.com
campbellsoupcompany.com

© designflux.co.kr

박지민

손으로 느껴지는 감각이 좋아 만들기 시작했고, 만드는 것이 좋아 디자인을 시작했습니다. 그렇게 시작했던 디자인은 만드는 것 외에도 다양한 재미를 느끼게 합니다. 만드는 것을 넘어서 현재는 타자치는 제 손의 감각도 즐기고 있습니다.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중산층의 잇템 #3 뜨개질 : 취미로서의 노동

말레이시아 여행을 갔을 때였다. 한국 돈으로 5,000원도 하지 않는 금액의 진주 귀걸이를 발견했다. 아무리...

2006-10-31 | 프론트의 마법 같은 ‘스케치’

허공에 그린 스케치가 가구가 되어 나옵니다. 스웨덴의 디자이너 그룹 프론트의 ‘스케치’는 모션캡처, 급속 프로토타이핑 기술을 경유해 태어난 마법 같은 가구 시리즈입니다. 손의 움직임을 모션캡처로 기록하여 3D 디지털 파일로 만들고 이를 3D 프린터로 물질화시킨 결과물이었죠. 

2008-06-13 | 자동차, 옷을 입다

아직 크리스 뱅글이 BMW의 디자인을 총괄하던 2008년, BMW는 콘셉트카 ‘GINA 라이트 비저너리 모델’을 공개했습니다. 핵심은 텍스타일 스킨이었습니다. ‘소프트톱’ 정도가 아니라 아예 차체 전체가 천을 입은 자동차는 없었죠. 그리고 이런 급진적인 선택이 던지는 질문은 바로 ‘유연한 자동차’라는 개념이었습니다. 

2021-11-15 | 디터 람스의 ‘620 체어 프로그램’ 재탄생

언제부터인가 디터 람스의 디자인을 수집하는 사람들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으니, 오래된 시계, 전축 시스템, 의자, 선반이 어느 집, 어느 카페 사진 속에서 발견되곤 합니다. 디터 람스의 이름과 떼놓을 수 없는 브랜드도 있습니다. 그가 40년을 몸담았던 브라운과 더불어, 비초에도 빼놓을 수 없습니다. 1960년대, 그러니까 비초에가 비초에+차프였던 시절에 디터 람스가 디자인한 선반, 의자, 테이블은 비초에라는 브랜드의 존재 이유와도 같은 무엇이 되었지요.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