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8-06 | 빌 재너, “예술가의 손”

Editor’s Comment

강남 하림타워를 파고 흐르는 곡면의 벽을 설계한 곳은 벡 그룹이지만, 그것을 구현한 곳은 재너입니다. 2009년 <와이어드>는 금속 엔지니어링과 제작의 스페셜리스트라 할 재너의 대표 빌 재너를 소개했습니다. 각종 건축물에서 미술 작품에 이르기까지, “예술가의 손”이 되어 그들의 비전을 실현하는 재너의 작업을 만나봅니다. 

via wired (photo: Jimmy Fishbein)

<와이어드 Wired>가 소개하는 ‘알파 긱(Alpha Geek)’ 시리즈, 그 최근 주인공은 빌 재너(Bill Zahner)이다. 엔지니어링 & 제작 전문기업 재너(Zahner)의 대표인 그는, 예술 및 건축계에서 ‘금속’ 하면 가장 먼저 떠올릴 인물이다. 만일 당신이 건물에 너울대는 메탈 스킨을 덮을 생각이라면, 재너는 가장 신뢰할 만한 파트너라 할 수 있다. 

재너 사에는 독특한 이름의 부서가 있으니 이름하여 ‘예술가의 손’이다. “그들은 생각을 내놓고, 우리는 이를 성공적으로 구현할 방법을 찾습니다.” 재너는 프랭크 게리, 헤르초크 & 드 뫼롱, 톰 메인과 같은 건축가는 물론 발터 드 마리아, 솔 르윗 등 미술가의 ‘손’으로 활동해 왔다. <와이어드>는 이번 ‘알파 긱’ 코너에서 빌 재너의 이력과 함께, 재너 사의 대표적인 작업들을 소개한다. 

via wired (photo: Zahner)

“건축계의 야금술사” 재너의 작업이 좀 더 궁금하다면, 이곳 ‘예술가의 손’ 홈페이지를 방문해 볼 일이다. 작업의 규모, 소재의 종류 등에 따라 재너의 포트폴리오를 살펴볼 수 있다.


www.azahner.com

via wired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User Friendly : How the Hidden Rules of Design Are Changing the Way We Live, Work, and Play

<유저 프렌들리>라는 400쪽이 넘는 책부터 시작해 보련다. 한때 무슨무슨 프렌들리 식의 말이 유행했던 터라...

2011-04-27 | 플란크 x 콘스탄틴 그리치치

이탈리아의 가구 회사 플란크가 2011년 또 한 번 콘스탄틴 그리치치와 함께 새 의자를 선보였습니다. ‘아부스’는 확실히 단정한 라운지 공간에 어울릴 법한 의자입니다. 플란크와 콘스탄틴 그리치치의 또 다른 협업은 이미 2007년 7월 13일자 뉴스로도 소개한 바 있는데요. 참고로 ‘미토’는 ‘아부스’가 나온 2011년 황금콤파스를 수상했습니다. 그리고 여전히 플란크의 대표 제품으로 남아 있죠. 

2010-06-07 | “BP에 BP다운 로고를”

2010년 4월 20일, 미국 멕시코만에서 BP의 석유 시추시설이 폭발했고, 이후 5개월 간 1억 7천만 갤런의 원유가 바다로 흘러들었습니다. “최악의 원유 유출 사고” 후, 그린피스는 BP에 BP다운 로고를 선사하자며 로고 리디자인 공모전을 전개했습니다. 초록빛 가득한 “로고의 이면”을 드러내기 위함이었지요. 참가자들이 새롭게 디자인한 로고들은 매끄럽지는 못할지라도 ‘석유를 넘어’와 같은 BP의 슬로건이 얼마나 위선적인지를 고발합니다.

2006-08-16 | 헬베티카 50주년 기념 다큐멘터리

2006년 8월, 게리 허스트윗은 이후 ‘디자인 3부작’의 시작이 될 다큐멘터리의 후반 작업에 한창이었습니다. 다가오는 2007년 ‘헬베티카’의 탄생 50주년을 맞아, 그는 어떻게 이 하나의 서체가 전 세계 생활 풍경의 일부가 되었는지를, 세계 곳곳에 거주하는 헬베티카의 모습과 디자이너들의 인터뷰를 통해 담아냅니다. <헬베티카>는 2009년 디자인플럭스와 한국디자인문화재단이 연 작은 영화제의 상영작이기도 했는데요. 신작과 함께 게리 허스트윗 감독이 한국을 찾아, <헬베티카>와 <오브젝티파이드> 두 편의 작품으로 극장에서 관객과 만났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