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6-21 | 벌들이여 다시 한 번

Editor’s Comment

2007년 4월 30일 뉴스의 주인공, 토마시 가브즈딜 리베르티니가 다시 한 번 오랜 파트너와 손을 잡았습니다. 4만 마리의 벌들과요. 디자인 마이애미/ 바젤에서 그는 앞서보다 정교한 조각상을 선보였는데요. 벌들이 분주히 작품을 최종 완성하는 과정을 전시 현장에서 그대로 보여주며, 관람객의 눈길을 사로잡았습니다. 리베르티니와 벌의 인연은 올해에도 이어져, 지금 2021 베니스 건축 비엔날레에서  ‘벌집 건축’이 전시 중입니다. 

올해 디자인 마이애미/ 바젤의 ‘이색’ 참석자라면, 역시 4만 마리의 꿀벌들을 꼽을 수 있겠다. 벌들을 초청한 주인공은 디자이너 토마시 가브즈딜 리베르티니(Tomas Gabzdil Libertiny). 2007년 꽃병 ‘벌들의 도움으로(With a Little Help of the Bees)’에서 벌들의 힘을 빌렸던 그가, 신작‘참을 수 없는 가벼움(Unbearable Lightness)’에서 다시 한 번 꿀벌들에게 도움을 청했다. 이번 작품에서도, 꿀벌들은 말없이 ‘조형’의 소임을 다했다. 

밀폐된 유리 상자 속에는 두 팔을 벌린 채 하늘을 바라보는 한 남자의 상이 들어 있다. 스튜디오 리베르티니는 레이저 소결 방식으로 제작된 기본 뼈대를 만들었고, 이를 벌들에게 인계하였다. 벌들은 여기에 열심히 집을 짓고 꿀을 날라 뼈대 위에 살을 입혔다. 

스튜디오 리베르티니의 토마시 가브즈딜 리베르티니

완성된 조상에서 꿀을 제거하는 것이 마지막 단계. 스튜디오 리베르티니는 여기에서 프로세스를 잠시 중단하고, 본래 하얀 색인 벌집에 빨간색과 주황색을 입혔고, 이 상태로 디자인 마이애미/ 바젤 전시장으로 작품을 옮겼다. 그리고 지난 14일, 전시 현장에서 작품의 완성 단계가 관람객들 앞에서 진행되었다. 벌들은 꿀을 먹어 치워 마침내 작품의 ‘청소’ 작업을 완결한 것. 

‘벌들의 도움으로’를 통해 일약 세계적인 주목을 받은 스튜디오 리베르티니. 이후 ‘빅 블루 캐비닛(The BiC Blue Cabinet)’ 등의 인상적인 작업을 선보였지만, 신작에서 그는 2007년의 성공을 재연하려는 것처럼 보인다. 규모는 더욱 커졌고, 형태도 더욱 정교해졌으되, 자연의 “통제(control)”라는 주제가 ‘참을 수 없는 가벼움’에서도 반복된다. 

토마시 가브즈딜 리베르티니와 4만 마리 꿀벌의 두 번째 프로젝트. ‘참을 수 없는 가벼움’은 카펜터스 워크숍 갤러리 부스에서 전시되었다. 

www.studiolibertiny.com
www.cwgdesign.com
www.designmiami.com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0-07-21 | 머스 커닝엄 이벤트

시각 및 퍼포먼스 예술을 지원해온 트와이스 예술 재단의 저널 <트와이스>가 처음으로 디지털 태블릿을 매체로 삼았습니다. ‘트와이스: 머스 커닝엄 이벤트’는 아이패드 앱의 형식으로 전설적인 무용가이자 안무가인 머스 커닝엄의 작업을 제시합니다. 춤이라는 예술을 어떻게 재현하고 전달할 것인가라는 트와이스의 오랜 고민을 당시 급부상한 태블릿 환경을 기회 삼아 시험했던 사례입니다. 

2011-07-19 | 입체 포스터

말 한 마리가 벽에서 뛰쳐나오는 듯 합니다. 드라이 더 리버가 새 싱글을 발매하며, 런던 길거리 곳곳에 입체 포스터를 붙였는데요. 포스터 한 장의 말 상반신을 완성하는 데 35시간이 걸린, 그야말로 노고의 결과물입니다. 그래서 더욱 ‘두드러지는’ 포스터이기도 하고요.

2011-02-07 | BFC/보그 디자이너 패션 펀드 수상자

2021년 크리스토퍼 케인의 여성복 S/S 컬렉션은 그림들을 입고 있었습니다. 크리스토퍼 케인은 코로나19가 강제한 록다운 시기에 그림들을 그렸고, 그림은 프린트가 되어 그의 컬렉션을 이루었죠. 오늘 소개할 옛 뉴스는 그가 유망 디자이너였던 시절의 소식입니다. 2008년부터 브리티시 패션 카운슬은 BFC/보그 디자이너 패션 펀드라는 이름으로 유망한 패션 디자이너의 성장을 지원해왔는데요. 2011년도 수상자가 바로 크리스토퍼 케인이었습니다. 

2021-10-18 | 건축가 키쇼 쿠로카와 타계

건축가 키쇼 쿠로카와가 2007년 10월 12일 세상을 떠났습니다. 급진적인 건축 운동이었던 메타볼리즘 사조의 선구자로서, 대표작인 나카긴 캡슐 타워는 도시의 변화에 유기적으로 대응하는 건축이라는 개념을 유감 없이 보여주었지요. 그가 떠난 지 14년이 된 지금, 이제 나카긴 캡슐 타워도 퇴장합니다. 타워의 철거 계획은 이미 2007년에 전해졌지만, 건축 50주년을 맞은 올해 실제 철거가 시작된다는 소식입니다. 하지만 캡슐들이 그냥 사라지는 것은 아닙니다. 해체한 캡슐들은 자리를 옮겨 전시, 숙박 등의 다른 용도로 활용될 예정입니다. 또 타워의 마지막을 담은 기록 서적도 내년 2월 출간된다고요.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