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6-18 | 디자인 프로브 ‘메타모포시스’

Editor’s Comment

2020년 팬데믹의 한 해를 지나며, 집은 그야말로 피난처이자 안식처가 되었습니다. 감염의 위험을 안은 외부로부터 나를 보호하기 위해, 때로 자신을 집에 가두어야만 했습니다. 아직 진행형인 팬데믹의 와중에, 지금으로부터 11년 전 상상된 근미래의 집을 되돌아봅니다. 디자인 프로브의 ‘메타모포시스’는 집을 일종의 필터로 규정하며, 외부의 나쁜 요소를 걸러내면서도 자연을 안으로 들이는 주거공간의 변형태를 연구했습니다. 인간과 자연의 분리를 극복한다는 다소 추상적인 주제가 조금은 더 가깝게 다가오는 요즘입니다.

필립스 디자인(Philips Design)의 ‘근미래’ 디자인 연구 프로그램, 디자인 프로브(Design Probe). 그 최신 연구 ‘메타모포시스(Metamorphosis)’는 인간과 자연의 분리를 극복하는 주거공간을 겨냥한다. 

“집은 일종의 필터로서, 오염된 공기나 전자기 스모그, 산업 소음을 걸러내는 것이다. 하지만 동시에 자연광, 공기, 자연의 소리 역시 차단된다. ‘메타모포시스’는 좀 더 유연한 필터로서의 집, 주거공간을 생각한다. 가령 ‘희미한 빛(Shimmer)’은 유연한 건축물로서, 플렉서블한 띠들이 형태를 바꾸며 자연의 빛과 공기를 실내로 들인다. 이처럼 외부의 ‘나쁜’ 요소들은 제한하면서, 동시에 자연을 들이는 주거공간의 ‘변형’이 이번 프로젝트의 주제다. 

“건축 환경은 우리를 자연의 리듬으로부터 떨어뜨려 놓았다. 계절과 시간은 우리에게 내재한 본능적 반응을 일깨우지만, 오늘날 우리가 살고 일하는 공간들은 바깥의 변화를 반영하지 않는다. ‘메타모포시스’는 자연과 인간 사이의 거리가, 우리의 감각적 경험과 생활양식에 미친 효과를 보여준다.” 필립스 디자인 내 디자인주도 혁신 팀 수석 디렉터, 클리버 판 헤이르던의 말이다. 

자연의 리듬을 받아들이는 주거 공간을 상상하며, ‘메타모포시스’에서 필립스 디자인은 빛, 공기, 소리, 신체라는 네 가지 대상을 다룬다. 

‘치유 침대(Healing Bed)’ – 광섬유 캐노피가 바깥의 햇빛, 달빛을 침대로 전송한다. 자외선, 적외선 등 주파수에 따라 특정 빛을 선별하여, 치료 목적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공기 나무(Air Tree)’ – 자연 기류의 리듬에 따라, 외부 공기를 여과하고 습도를 조절한다. 
‘태양광 블로봇(Solar Blowbot)’ – 태양광으로 작동하는 로봇으로, 실내를 움직이며 바람을 생성한다. 공기주입식 주머니가 부풀었다 오그라들며 바람을 만들어낸다. 
‘소리 장벽(Sound Barrier)’ – 소음 필터인 동시에, 외부의 화학물질, 원치 않는 빛 등을 걸러낸다. 

www.design.philips.com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1-07-26 | 위 메이크 카펫

“우리는 카펫을 만듭니다.” 하지만 아마도 그들의 카펫 위를 거닐거나 뒹굴기는 어려울 것입니다. 일회용 포크, 빨래집게, 파스타… 위 메이크 카펫은 실 대신에 소비 제품으로 카펫을 만들었습니다. 말하자면 소비 사회의 카펫이라고 할까요. 네덜란드의 이 3인조 그룹은 지금도 휴지심, 주름 종이, 연필 등의 일상적인 물건들을 가지고 작품들을 선보이고 있습니다.

2010-03-17 |〈가디언〉, 서비스 디자인 증보판 발행

2010년 3월 15일, 영국의 유력 일간지 〈가디언〉이 ‘서비스 디자인’을 주제로 증보판을 내놓았습니다. 제품 중심의 산업에서 소위 지식 산업으로 이행하는 과정에서 서비스 디자인이 부상했고, 〈가디언〉의 이 기획은 기존 유형의 것에 적용해 왔던 굿 디자인 논의를 왜 또 어떻게 무형의 것에 적용할 것인지를 다루었습니다. 

테이트 모던, 이동하는 기프트숍

런던 디자인 스튜디오 브링크워스(Brinkworth)가 테이트 모던 미술관 내에서 사용되는 이동식 기프트숍 ‘테이트 키오스크(Tate Kiosk)’를...

2007-01-17 | MoMA, KDDI의 휴대폰 4종 소장하기로

일본 KDDI사의 휴대폰들이 뉴욕 현대미술관에 소장되었습니다. ‘AU 디자인 프로젝트’라는 이름으로 선보여온 여러 휴대폰 중에서, 나오토 후카사와, 마크 뉴슨, 토쿠진 요시오카가 디자인한 총 4종의 휴대폰이 그 주인공입니다. 휴대폰의 폼팩터가 한 면 온전히 평면 스크린으로 덮인 작은 상자가 되기 이전의 휴대폰 디자인을 다시 만나봅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