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5-24 | 그의 문

Editor’s Comment

디자이너 김희원은 여러 장소의 문과 창문을 사진에 담아왔습니다. ‘티 포르타’는 그중 문에 관한 작업입니다. 여러 갤러리와 뮤지엄에서 마주한 문의 풍경을 찍고, 그 모습을 다른 장소의 문에 옮겼습니다. 2010년 ‘푸오리 살로네’의 경우에는 밀라노 엔하우 호텔의 객실 문 위였고요. 오늘의 소식은 김희원의 ‘티 포르타’입니다. 

밀라노 디자인 위크의 오프사이트 이벤트, ‘푸오리 살로네(Fuori Salone)’. 박람회 전시장이 아닌, 밀라노 시내 곳곳에서 펼쳐지는 다양한 전시들이 올해에도 관람객들을 맞이했다. 밀라노 엔하우 호텔(Nhow Hotel)에서 열린 디자이너 김희원의 전시회 역시 그 중 하나였다. 

‘티 포르타(Ti Porta)’에서 김희원은 인테리어 디자인에 있어 흔히 간과되곤 했던 ‘문’의 존재를 전면에 부각시켰다. 그는 “평소 소홀하기 쉬운 문에 사진 프린트를 붙여, 공간에 새로운 분위기를 연출하고자 했다”고 설명한다. 호텔 객실의 문에는 그의 사진 컬렉션 ‘갤러리 도어(Gallery Doors)’의 프린트가 부착되었다. 여러 갤러리, 뮤지엄의 문을 담은 사진들은 모두 문과 문 너머의 공간을 바라보고 있다. 이 사진들이 다시 문 위에 설치되면서, 닫혀 있던 평범한 문들은 다른 공간과 연결된 듯한 착시를 불러 일으킨다. 

‘티 포르타’라는 타이틀은 “당신의 문” 혹은 “당신을 그곳으로 데려가다” 라는 중의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다. 닫혀 있지만 열린, 이곳이지만 동시에 저곳이기도 한 문들을 통해, 김희원은 문 앞에 선 이들을 다른 어딘가로 인도한다. 

‘티 포르타’는 2009 DMY에 이어 올해 ‘푸오리 살로네’ 및 ‘인스피레이션 투 패브리케이션(Inspiration to Fabrication)’ 두 개의 전시를 통해 밀라노에서 다시 한 번 관객들과 만났다. 디자이너 김희원은 현재 아틀리에 멘디니(Atelier Mendini)에서 제품디자이너로 활동 중이며, 더불어 개인 작업도 병행하고 있다. 

www.kimheewon.com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9-05-06 | 2009 내셔널 디자인 어워드

매년 찾아오는 연례 디자인 시상 행사 소식 중에는 미국 쿠퍼 휴잇 스미소니언 디자인 뮤지엄(2014년부터 이름이 이렇게 바뀌었습니다)의 ‘내셔널 디자인 어워드’가 있었습니다. 특히 2009년에는 시상 부문이 신설되었는데요. 바로 인터랙션 디자인입니다. 그에 발맞추듯 평생공로상도 빌 모그리지에게 돌아갔습니다. 참고로 빌 모그리지는 이듬해부터 2012년까지 3년간, 이곳 디자인 뮤지엄의 관장을 맡았습니다.

2011-07-27 | V&A 일러스트레이션 어워즈

V&A의 일러스트레이션 어워즈가 올해로 50주년을 맞이했습니다. 1972년 시작된 이래, 영국의 주요 일러스트레이션 공모전으로 자리잡은 행사입니다. 처음에는 도서만을 대상으로 했던 공모전 시상 부문은 현재 북 커버, 북 일러스트레이션, 저널리즘 일러스트레이션 세 가지로 확대되었고, 학생 부문도 별도로 시상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V&A 일러스트레이션 어워즈 2011년도 수상작을 되돌아봅니다. 

중산층의 잇템 #2 토스터 : 취향의 재구성

319,000원. 집에서 빵을 구워 먹는 가전치고는 비싼 금액이었다. 2015년 국내 출시된 발뮤다 토스터는 ‘죽은...

2008-07-21 | 드로흐 ‘기후’ 공모전 수상작

드로흐가 주최했던 ‘기후’ 공모전의 수상작은 여러 모로 영리합니다. 1937년 첫선을 보인 알바르 알토의 그 꽃병과 그 디자인에 영감을 준 핀란드의 호수들. 얀 츠트브르트니크는 여기에서 출발하여, 핀란드에 실재하는 알토라는 이름의 호수가 1937년부터 2007년까지 거친 형태의 변화를 꽃병 디자인으로 형상화했습니다. 1937년의 모습이 꽃병의 외곽선을, 메말라 줄어든 2007년의 모습이 내곽선을 이루도록요. 그래서 이름도 ‘드로흐 알토’입니다. 마르다라는 뜻의 드로흐와 꽃병이자 호수인 알토로 기후 변화라는 주제를 담아냈지요.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