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4-09 | 휴대폰의 시대, 시계의 운명은?

Editor’s Comment

2007년이라면 아이폰이 발표되어 시장에 등장한 해입니다. 4월 9일의 이 뉴스는 아직 휴대폰이 그렇게까지 ‘스마트’하지 못했던 때에도, 이미 제 기능을 휴대폰에게 내주었던 시계의 운명에 관한 기사입니다. 자기표현의 수단 혹은 휴대용 전자기기화. 두 가지가 양립 불가능한 관계의 선택지는 아닙니다만, 어쨌든 후자의 흐름이 현실이 되어 스마트시계라는 카테고리가 태어났습니다. 문제는 그것이 시계 시장 외부에서, 그것도 다름 아닌 휴대폰 시장으로부터 왔다는 것입니다. 전통적인 시계는 지금 다시 한 번 시계의 모습을 한 기기와 경쟁하는 중입니다.

휴대폰 없는 사람이 오히려 이상해 보이는 요즘 세상에, 위기를 맞은 것이 공중전화만은 아니다. 최근의 소비자들은 시계의 필요성을 그리 체감하지 못한다. 몇 시냐는 질문에 손목을 보는 대신, 주머니 속 휴대폰을 꺼내 드는 일이 일상화되었기 때문이다. 이처럼 휴대폰이 시계를 대신해버린 시대에, 전통적인 시계 회사들은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가? 

<비즈니스위크>가 시계 업계의 최근 행보를 정리한 흥미로운 리포트를 게재했다. 시계 산업의 현 상황은 그리 낙관적이지 못하다. 카르티에, 롤렉스 등 럭셔리, 하이엔드 브랜드를 제외하고는, 전반적인 업계 매출 곡선은 하락세에 접어들었다. 더 이상 소비자들이 ‘시간을 알기 위해’ 시계를 구입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젊은 소비자들을 휴대폰에 빼앗긴 시계 업계가 나아가야 할 방향은 무엇일까? 어쩌면 해결책은 의외로 간단할 수도 있다. 시계를 시간을 알려주는 기기 이상의 무엇으로 만들어내면 된다. 

관건은 트렌드에 민감한 소비자들의 관심을 돌려놓는 데 있다. <비즈니스위크>는 알레시, 세이코 등 몇몇 브랜드의 사례를 통해 시계가 점차 ‘자기표현의 수단’이 되어가고 있음을 지적한다. 

알레시는 이미 오래 전부터 디자이너 시계를 생산해왔다. 소비자들은 에토레 소트사스, 알베르토 메다, 아킬레 카스틸리오니 등 세계적인 산업 디자이너의 디자인을 비교적 저렴한 가격에 구입할 수 있었다. 최근의 히트작은 파트리시아 우르키올라의 여성용 시계 ‘버클(Buckle)’이었다. 이 제품은 손목이나 목에 찰 수 있는 디자인으로, 2006년 알레시의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가격 역시 130달러로 부담스럽지 않은 수준이다.  

세이코는 앤디 워홀의 작품을 라이센싱하여 팝아트 시계를 내놓았다. 이 제품은 세이코의 당초 예상보다 50% 이상 더 팔려나가며, 일본의 10~20대 소비자들 사이에서 큰 인기를 끌었다. 시계가 하나의 문화 상품이 되었기에 거둘 수 있었던 성공 사례라 할 수 있다. 과거의 라이센싱은 대체로 어린이용 제품 시장에 한정되어 있었지만, 문화 마케팅을 통해 새로이 부활했다(미키 마우스나 헬로우키티 대신 앤디 워홀이 자리한 셈이다).

혹은 휴대용 전자 기기의 기능을 시계에 흡수하는 것도 하나의 방편일지 모른다. Fossil은 블루투스 시계를 출시했다. 휴대폰과 시계를 연결하여, 휴대폰을 꺼내지 않고도 바로 발신자가 누구인지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나이키는 애플과 함께 iPod과 연동되는 동시에 심장박동계수를 측정하는 시계 제품을 출시할 예정이라고 한다. 

말하자면 시계의 앞날에는 두 갈래의 선택지가 있는 듯 하다. 전통적인 기능을 강조하는 대신 자기표현의 수단이 되는 쪽으로 선회하거나, 전통적인 시계로서는 상상할 수 없었던 새로운 기능들을 추가하거나. 하지만 모든 것이 컨버전스 되어가는 시장의 흐름을 염두에 둔다면, 후자보다는 전자가 장기적인 ‘생존’의 토대가 될 것으로 보인다(그 언젠가 시계형 휴대폰이 나올 지도 모르는 일이니 말이다).

[Businessweek Online] At Timex and Seiko, the Clock Is Ticking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7-05-03 | 기프트 라이트

스튜어트 헤이가스하면 이런저런 작은 물건들이 군집한 샹들리에가 떠오릅니다. 대표작인 ‘조류’처럼요. 2007년 오늘 소개한 ‘기프트 라이트’는 그와는 다르지만 또 아예 다르지만은 않습니다. 학교 앞 문방구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작은 캡슐 자판기의 캡슐들을 여럿 품은 커다란 캡슐로서의 조명. 어린이를 위한 선물 같은 야간 조명입니다. 

2009-01-12 | 프로파간다 스타일로

『공산당 선언』의 마지막 구절이자 소비에트 공화국의 표어였던 “만국의 노동자여 단결하라!”를 21세기 미국의 백화점이 노골적으로 차용합니다. “만국의 소비자여 단결하라!” 그것도 소비에트의 시각적 선전 양식을 빌려서요. 프로파간다 스타일로 유명세를 얻은 셰퍼드 페어리가 디자인한 삭스 피프스 애비뉴의 뻔뻔한 광고를 다시 돌아봅니다.

2009-02-03 | 코듈라

공사 현장에 있어야 할 법한 물건이 집 안으로 들어와 불을 밝힙니다. 디자이너 슈테파니 야스니의 ‘코듈라’는 전선 드럼과 하나가 된 플로어 조명입니다. 전기 조명에 없어서는 안되지만 때로는 귀찮은 전선의 존재가 디자인의 출발점이니만큼, 조명에 운신의 폭을 부여하는 장점이 되죠.

2010-10-01 | 미래의 책을 향한 세 가지 상상

IDEO가 상상한 디지털 시대의 책은 어떠한 모습일까요. 웹과 결합하거나 혹은 소셜 네트워크와 결합하거나 아니면 게임과 뒤섞이거나. 듀웨인 브레이와 로버트 렌이 구상한 세 가지 미래의 책 콘셉트를 만나봅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