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0년 만에 완성된 ‘단 한 장’의 의자

1934년 헤리트 리트벨트는 단 하나의 나무 조각으로 의자를 만들겠다는 상상력에서 출발하여 선구적인 실험 작업 ‘지그재그 의자’를 선보였다. 그 후 한 세대가 지난 1967년에 베르너 팬톤은 플라스틱을 소재로 일체형 의자를 만들었고, 2021년, 올해 드디어 재스퍼 모리슨은 ‘원-피스(one-piece)’ 목재에 대한 열망을 다시 되살려, 90년 전 리트벨트가 열망했던 ‘단 한 장’의 꿈을 구현해냈다.

이소 라운지, 2021. © Jasper morrison

재스퍼 모리슨의 새 의자 디자인 ‘이소 라운지(Iso-lounge)’는 이번 2021 런던 디자인 페스티벌에서 공개되었다. 영국의 가구 업체 이소콘 플러스(Isokon Plus)에서는 가구 제작 기술력을 총 동원하여, 무늬목 합판 ‘단 한 장’ 만으로 캔틸레버 형태(외팔보 형식)를 구현함으로써 오랜 가구 디자인의 꿈을 현실화했다. 공중에 떠 있는 듯한 캔틸레버 의자는 불안해 보이는 외양과 달리, 실제 구조는 안정되게 설계되고 튼튼하게 만들어져 앉은 이를 편안하게 지지해준다. 실용성과 심미성을 겸비한 이 의자는 재스퍼 모리슨과 이소콘 플러스 팀이 런던에 위치한 기업의 워크숍에서 18개월 이상 개발에 몰두한 끝에 완성된 결과물이다. 얼핏 보기에는 단순한 형태이지만, 이것은 현재 가능한 최고의 기술을 적용하여 합판 소재의 성능을 한계까지 끌어올린 결과물이다.

(좌) 의자에 사용되는 무늬목 합판, (우) 합판 성형 과정, 2021. © Isokon Plus

“의자를 디자인할 때, 이소콘 플러스의 로고, 제럴드 서머스의 라운지 의자, 헤리트 리트펠트의 지그재그 의자에서 보이는 흐르는 듯한 일체형의 합판을 떠올리면서 진행했다. 또 2007년에 디자인한 코르크 의자에 적용했던 좌판, 등받이의 높이와 각도가 이 의자에도 담겨 있다. 이 의자에서는 구조와 라인, 비율, 편안함이 무엇보다 큰 도전 과제였지만 이소콘 플러스의 얇은 합판 성형 기술이 있었기에 완성할 수 있었다”며 모리슨은 전반적인 디자인 과정과 결과에 대해 설명한다.

isokonplus.com
jaspermorrison.com

© designflux.co.kr


이서영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1-07-25 | 전쟁의 창: 소비에트 타스 포스터 1941-1945

1941년 독일이 불가침 조약을 깨뜨리며 소비에트를 침공하면서, 장장 4년의 독일소련전쟁이 시작되었습니다. 그 길고 참혹한 전쟁은 전선에서만 이뤄진 것은 아니었습니다. 선 뒤에서도 치열한 이미지 전쟁이 펼쳐졌지요. 2011년 시카고미술관에서 열린 ‘전쟁의 창: 소비에트 타스 포스터 1941-1945)’는 포스터라는 매체를 통해 소비에트의 “대조국전쟁”의 또 다른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2011-07-27 | V&A 일러스트레이션 어워즈

V&A의 일러스트레이션 어워즈가 올해로 50주년을 맞이했습니다. 1972년 시작된 이래, 영국의 주요 일러스트레이션 공모전으로 자리잡은 행사입니다. 처음에는 도서만을 대상으로 했던 공모전 시상 부문은 현재 북 커버, 북 일러스트레이션, 저널리즘 일러스트레이션 세 가지로 확대되었고, 학생 부문도 별도로 시상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V&A 일러스트레이션 어워즈 2011년도 수상작을 되돌아봅니다. 

2010-09-27 | 마크 뉴슨: 운송

신발, 자전거, 자동차, 요트, 제트기, 우주선. 이들의 공통점은 ‘탈것’이라는 점입니다. 신발도 어떤 의미에서는 가장 원시적인 탈것일 테니까요. 2010년 뉴욕 가고시안 갤러리에서 디자이너 마크 뉴슨의 전시회 ‘운송’이 열렸습니다. 그가 디자인하였던 ‘사람을 싣고 어딘가로 가는 것’들을 한자리에 모았습니다. 그곳이 길 위든 저 멀리 우주든 말이지요.(...)

2007-04-04 | 디자인 뮤지엄 개관 25주년 기념전

2007년은 런던의 디자인 뮤지엄 개관 25주년이 되는 해였습니다. 이를 기념하여 디자인 뮤지엄은 25인의 디자인계 인사들에게 지난 25년을 대표할 만한 디자인 제품을 꼽아달라고 요청했습니다. ‘25/25: 디자인의 25년을 기념하며’는 그렇게 선정된 25개의 제품들을 통해 디자인 뮤지엄의 25년과 디자인의 25년을 겹쳐 놓았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