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0년 긴 잠에서 깨어난 수도원

성-프랑수아 수도원 전경, 2021. © Thibaut Dini

프랑스 건축가 아멜리아 타벨라(Amelia Tavella)가 프랑스의 산타 루시아 디 탈라노에 위치한 ‘성-프랑수아 수도원(the Convent Saint-François)’의 재건축을 완료했다.

이 수도원은 1480년에 지어진 이후, 부분적으로 훼손된 채 오랜 시간 방치되었다. 타벨라는 파괴된 건물의 잔해를 유지하면서, 그 구멍을 구리 무샤라비에(Moucharabieh: 아라비아 건축의 격자무늬)로 채웠다. 과거에 파괴된 건물에 현대적 감각으로 구리를 사용함으로써, 오래된 것과 새것이 서로를 지우지 않는다. 그리고 수도원을 둘러싼 산의 풍경과 수도원 건물의 균형미를 고려하여 재건축된 건물의 어떤 요소도 시야를 방해하지 않도록 하였다.

건물 잔해와 이어진 구리 외벽, 2021. © Thibaut Dini

마치 스테인드글라스 유리창을 통해 빛이 고딕 성당의 실내로 들어오는 것처럼, 이 건물의 외벽을 이루는 구리 무샤라비에는 빛을 사로잡는다.

또한 구리로 만들어진 외벽은 부드러운 느낌을 주는데, 화강암이 가진 부드러움과 달리, 구리에는 하늘에서 내려오는 빛을 잡아 두고 반사하려는 성향이 있다. 이러한 소재의 성질은 하늘을 향해 기도하는 수도승의 모습, 또는 하늘에 가까워지고자 높은 곳까지 찾아온 신실한 종교인들의 모습을 연상시킨다.

“더 높은 곳에서 내려오는 보이지 않는 힘을 믿는다. 성-프랑수아 수도원이 높은 절벽에 지어지고, 기도의 장소로 수도승에게 선택된 것도 그 믿음의 결과이다”고 건축가는, 높고 외진 곳에 수도원이 자리하게 된 이유를 신앙심과 연관 지어 설명한다.

수도원 안으로 들어오는 빛, 2021 © Thibaut Dini

archdaily.com

현재 사이트 점검 중 ameliatavella.com

© designflux.co.kr

이서영

디자인 우주를 여행하던 중 타고 있던 우주선의 내비게이션에 문제가 생겨 목적지를 잃고 우주를 부유하는 중입니다. 이 넓은 디자인 우주에서 어디로 가야할지 몰라 근처에 반짝이는 별이 보일 때마다 착륙해 탐험하고 탐험이 끝나면 떠나기를 반복하고 있습니다. 근데 생각보다 나쁘지 않더군요. 오히려 재미를 느끼기 시작했습니다. 이제 또 다음 별로 출발해보려 합니다.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1-06-02 | 스뇌헤타: SFMOMA 증축 설계안

지난 세기의 끝자락을 지나 이번 세기에 들어서도, 세계 곳곳에서 미술관의 신축 혹은 증축 소식이 연이어 전해졌습니다. 미술, 문화, 도시, 경제의 요구가 미술관을 교차하는 가운데, 특히 이 시기 후자의 관점에서 특정 미술관의 이름이 성공 신화로서 자주 불리우기도 했지요. 오늘의 뉴스는 2011년 발표된 SFMOMA의 증축 설계안입니다. 기존 마리오 보타가 설계한 적색 벽돌 건물 너머로 증축될 건물의 설계는 노르웨이의 스뇌헤타가 맡았고, 예정대로 2016년 5월 확장 공사를 마치고 재개관하였습니다.

베스트레, 지속가능한 가구 공장 ‘더 플러스’ 오픈

18개월의 공사 기간 끝에, 노르웨이 가구 제조 업체 베스트레(Vestre)에서 ‘세계에서 가장 친환경적인 가구 공장,...

2011-04-22 | 공작연맹아카이브 – 물건박물관

베를린에는 평범한 물건들의 박물관이 있습니다. 공작연맹 아카이브 – 물건 박물관이라는 이름이 말해주듯, 박물관의 중심에는 1907년 결성된 독일공작연맹의 산물과 기록들이 있습니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당대 공작연맹의 실천 영역이었던 일상 생활과 상품 사회에 대한 관심을 동시대로까지 확장하죠. 가령 올 1월 1일 개막한 ‘위기’ 전시에서는 40년대의 방독면부터 오늘날의 일회용 마스크, 박제 박쥐, 비누, 플레이모빌의 간호사 인형 등의 다양한 위기의 사물들을 한자리에 모았습니다.

조립식 집합주택의 꿈: 발터 그로피우스와 콘라드 바흐슈만

최근 MIT 출판사에서 20세기 후반에 출판된 서적과 최근의 모든 저널을 무료로 오픈하는 놀라운 일이 일어났다. 목록을 훑어보던 중...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