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예루살렘 디자인 위크: 디자인과 덧없음의 관계

2022 예루살렘 디자인 위크(JDW, 6.23 – 6.30)가 예루살렘의 한센 하우스(Hansen House)에서 개최되었다. 이번 행사는 디자인의 덧없음을 탐구하는 프로젝트와 여러 전시로 구성되었고, 레디쉬 스튜디오(Reddish studio), 오디드 프라이란트(Oded Friedland) 등 200명 이상의 이스라엘 출신 및 해외 디자이너들이 작품을 선보였다. 모든 프로젝트는 ‘지금을 위해(For Now)’라는 올해의 테마에 맞춰 불안정한 현재, 시간이 어떻게 긍정적인 효과를 낼 수 있는지에 관한 질문을 던진다.

2021 예루살렘 디자인 위크(JDW). © Image: Dor Kedmi

예루살렘 디자인 위크의 하이라이트 중 하나는 동일한 일의 반복과 시간의 문제에 의문을 제기하는 이탈리아 아티스트 알도 지아노티(Aldo Giannotti)의 퍼포먼스 프로젝트이다. 음악과 춤 퍼포먼스와 함께 한센 하우스의 곳곳에서 아티스트의 일러스트를 발견할 수 있다.

‘깨끗한 몸짓(Clean Motion)’. © Clean Motion

‘깨끗한 몸짓(Clean Motion)’은 타케시 야마무라(Takeshi Yamamura), 나탈리아 산즈(Natalia Sanz), 아리에 로젠(Arieh Rosen), 노엄 레빈저(Noam Levinger)가 큐레이팅을 맡은 전시로, 천 년 이상 지속된 일본의 청소 문화를 다룬다. 일본에서 청소는 단순한 일상적인 집안 일이라는 의미 외에도 깨끗한 마음 가짐을 위한 개념이 담겨있다.

청소는 일시적이면서도 반복적인 움직임이 필요한 순환 과정이다. 일본의 청소 도구에서는 그들의 디자인 감성뿐만 아니라 지혜를 엿볼 수 있다. 이번 전시에서는 사운드와 청소 도구를 함께 배치하여 일본 문화에 관한 통찰력을 보여주고자 한다.

‘연필에서 연필로(Pencil to Pencil)’. © Oded Friedland

제품 디자이너 오데드 프라이들란트(Oded Friedland)는 프로젝트 ‘연필에서 연필로(Pencil to Pencil)’를 통해 두 제품이 서로가 서로가 되는 영구적인 순환을 재현했다. 특히 프라이들란트는 다이카우드(Daikawood)에서 개발한 천연 원료를 사용했는데, 연필깎이로 부스러기를 만들고 그 부스러기로 다시 연필을 만들어 끝나지 않은 사물의 사이클을 보여주고자 했다. 폐나무로 새로운 제품을 만들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시도하면서 재료의 잠재성을 보여준다.

‘가난의 즐거움(The Joy of the Poor)’. © Sharon Murro

그래픽 디자이너 샤론 무로(Sharon Murro)의 프로젝트 ‘가난의 즐거움(The Joy of the Poor)’에서는 자수를 놓는 것처럼 다양한 종류의 식용 종자를 만다라 패턴으로 표현했다. 저렴한 비용과 높은 영양가, 색상과 질감, 성장 속도와 발아시기를 고려해 씨앗을 재료로 선택했다. 도면 위에 배치된 씨앗이 공기, 햇빛, 수분에 노출되면서 재료 스스로 공예 작품으로 완성된다. 씨앗에서 싹이 트기 시작하면 씨앗들의 경계가 흐려진다. 그리고 식물이 성장하여 열매를 맺은 이후 시들면 퇴비로 사용된다.

앞서 언급한 프로젝트는 예루살렘 디자인 위크라는 메타 전시를 구성하는 다양한 설치, 전시, 퍼포먼스의 일부에 불과하다. 이외에도 관람객은 이 행사의 다양한 이벤트와 전시에 참여하였다.

2022.jdw.co.il

© designflux.co.kr

강예린

지구에 이로운 디자인이 있을까요? 우리가 쓰는 모든 것은 어떻게 만들어지고, 결국 어디로 버려질까요? 호기심이 많은 초보 연구자입니다. 모든 광고 문구에 빠르고 편리함을 강조하는 세상에서 조금은 느리고 불편한 것, 누군가 소외되지 않는 것에 마음을 씁니다.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디자인 노트 : 큐레이터의 역사 연구

“배넘(Reyner Banham)은 내 연구에 두 가지 영향을 미쳤다. 한 가지는 역사 연구의 다양성에 대한...

2010-05-03 | 30일의 물빛

30일 동안 매일의 베니스 물빛을 카메라에 담고, 이를 패턴으로 만들어 다시 실크 스카프 위에 옮겼습니다. 매일 조금씩 다른 물의 빛깔과 수면에 비친 풍경의 일렁임을 고스란히 담아낸, ‘30일의 물빛’ 스카프입니다.

Art3: 걸어서 명화속으로

예술 작품 안을 여행할 수 있다면 어떤 기분일까? 생생한 색과 붓놀림 사이사이를 탐험하고, 그림...

2010-02-23 | 건축가 2인의 회계 장부

2007년 금융위기가 몰고온 경기 침체는 건축계에도 몰아닥쳤습니다. 2009년 <빌딩 디자인>은 두 유명 건축사무소의 2008-2009 회계년도 매출을 공개하며, 침체가 얼마나 심각한 상황인지를 이야기했습니다. 자하 하디드 건축 사무소의 매출은 전년도에 비해 1/3 수준으로 급강하했고, 데이비드 아디아예는 지급 불능 상황을 맞이해야 했습니다. 하지만 2009년 아디아예 사무소는 워싱턴 D.C.에 세워질 스미소니언으 흑인역사문화박물관 설계 공모에 당선되며, 기사회생의 기반을 다졌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