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10-27 | 파워 오브 메이킹

Editor’s Comment

2010년 YBCA의 ‘테크노크래프트’도 여기 2011년 V&A의 ‘파워 오브 메이킹’도 모두 ‘만들기’를 화두로 삼은 전시였습니다. 대량생산사회의 도래로 미술공예운동이 일어났고, 모두가 소비자인 시대에 DIY 문화가 등장했듯, 만들기는 만들 이유가 없어진 사회에서 거꾸로 의미를 얻었습니다. 그리고 2000년대 다시 한 번 만들기가 부상했지요. 기술과 결합된 만들기의 양상이 특히 두드러졌던 이 시기, 전시 ‘파워 오브 메이킹’도 오래된 만들기와 새로운 만들기를 고루 조명합니다. 

‘파워 오브 메이킹(Power of Making)’
© V&A images 

빅토리아 & 앨버트 뮤지엄(Victoria & Albert Museum)과 공예 위원회(Crafts Council)가 함께 전시회 ‘파워 오브 메이킹(Power of Making)’(+대체 링크)을 개최하였다. 오늘날 공예나 기술(skill)과 같은 말이 의미하는 바는 무엇일까? 100여 점의 핸드메이드 전시작들이 이에 답한다. 코바늘 뜨개질로 짠 실물 크기의 곰에서 3D 프린터로 만든 구두까지, 전시는 만들기의 오래된 방식들을 기리는 한편, 현재 진행중인 변화의 양상들을 동시에 조명한다. 그리하여 ‘파워 오브 메이킹’은 오래되면서도 새로운 오늘의 ‘만들기’ 풍경을 그리고 있다. 

만들기’라는 주제에서 짐작할 수 있듯, 전시의 관심은 결과물만이 아닌 과정에도 향해 있다. 체험 및 시연을 위해 팅커 스페이스(Tinker Space)를 마련하였고, 세계 곳곳의 ‘메이커’들이 보내온 단편 비디오들도 상영하고 있다. 아래 비디오에서는 4인의 메이커가 등장한다. 구두 디자이너 마를루스 텐 브회머르, ‘뜨개질-박제사’ 쇼나 리처드슨(Shauna Richardson), 미술가 겸 큐레이터 겸 유리 디자이너인 맷 듀런(Matt Durran), 플루트 제작가 스테픈 웨셀(Stephen Wessel)이 말하는 작업 이야기를 들어보시길.

www.vam.ac.uk
www.craftscouncil.org.uk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8-10-14 | 킨, 권오상을 만나다

사진-조각이라는 새로운 유형을 만들어낸 미술가 권오상과 영국의 밴드 킨이 만났습니다. 킨의 세 번째 앨범 에는 권오상의 ‘데오드란트 타입’화된 멤버들의 모습이 담겼습니다. 수천 장의 사진으로 빚은 인물 조각의 형상으로요. 

2007-04-30 | 벌들의 도움으로

쾌속조형의 반대에 서 있는 완속조형의 사례. 혹은 동물의 힘을 빌린 디자인. 토마시 하브스딜의 ‘벌들의 도움으로’는 일주일 동안 4만 마리의 꿀벌이 빚어낸 꽃병입니다. 하이테크와 대비되는 로우테크, 인간의 공예가 아닌 동물의 공예. 또 꽃을 매개로 한다는 점에서 벌과 꽃병은 멋진 한 쌍이기도 하지요.

2009-07-29 | 산업디자인계 트렌드세터 10인

2007년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로 촉발된 금융위기가 아직도 진행 중이던 2009년, <포브스>는 산업디자인계의 트렌드세터 10인의 명단을 발표했습니다. 경제위기가 불러온 소비의 변화에 가장 먼저 응답할 분야로서 산업디자인을 지목하고, 그 분야의 트렌드를 이끄는 인사들을 선정한 것인데요. 과연 어떤 이름들이 명단을 이루었을까요. 2009년 오늘의 뉴스에서 재확인해봅니다.

뉴욕 경찰의 감시 기계

세계 최대 인권 단체 국제앰네스티(Amnesty International)의 프로젝트 ‘뉴욕 경찰의 감시 기계(Inside the NYPD’s Surveillance...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