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9-26 | 레드드레스

Editor’s Comment

이 붉은 드레스 한 벌을 짓는 데 원단만 550m가 들었습니다. 그러니 얼마나 거대한 드레스였을까요. 지름 20m에 높이 3m에 달하는 이 의상은 분명 옷이면서 동시에 공연장이기도 했습니다. 드레스 안에 자리한 계단을 올라 공연자가 옷을 입으면, 이제 층층의 치마폭이 관객석이 되니, 총 238명의 관객을 품을 수 있었죠. 디자이너 아무 송과 요한 올린의 컴퍼니가 선보인 초대형 ‘레드드레스’입니다. 

런던 ‘레드드레스’ 행사장, 2011
photo: Kate Elliott

아무 송(Aamu Song)의 ‘레드드레스(REDDRESS)’가 런던을 찾았다. 새빨간 이 드레스는 그야말로 거대한 설치작품이자, 동시에 퍼포먼스가 이뤄지는 공간이기도 하다. 지름 20m, 높이 3m의 초대형 드레스. 제작에만도 크바드라트(Kvadrat)의 ‘디비나(Divina)’ 울 패브릭 550m가 투입되었다. 공연자가 드레스 안 숨겨진 계단을 올라 의상을 입으면, 이제 관람자들이 자리를 잡을 차례다. 치마폭에 층층이 자리잡은 주머니들이 관객석. ‘레드드레스’는 최대 238명의 사람들을 품을 수 있다. 

photo: Perttu Saksa
photo: Perttu Saksa
photo: Perttu Saksa

한국 이름 송희원인 아무 송은 요한 올린(Johan Olin)과 함께 컴퍼니(Company)를 설립, 핀란드에서 활동하고 있다. ‘레드드레스’는 그녀의 졸업작품으로서 2005년 첫 선을 보였던 작품이다. 이번 ‘레드드레스’ 영국 방문은 2012 세계디자인수도 헬싱키의 국제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이뤄졌다. 9월 22일부터 25일까지, 이스트런던의 권투 경기장 요크 홀(York Hall)에서 ‘레드드레스’ 이벤트와 저녁 공연 행사가 진행되었다. 한편 현장의 레드숍(REDSHOP)에서는, 컴퍼니를 비롯 핀란드 디자이너들의 제품들도 소개되었다. 

컴퍼니의 요한 올린과 아무 송
photo: Aleksi Nimelä

www.reddress.fi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7-08-17 | 미켈 모라의 ‘평평한 미래’

RCA에서 디자인 인터랙션을 공부하던 미켈 모라는 석사 학위 프로젝트로 ‘평평한 미래’를 생각했습니다. 종이라는 아주 오래된 사물에 미래를 입혔다고 해야 할까요? 디스플레이, 배터리 스피커와 같은 요소들을 종이 위에 프린트하여 종이를 기술의 평면으로 바꾸었습니다. 그렇게 그의 미래에서 종이는 사라질 유물이 아니라 강화된 기술적 사물이 되었죠.

2009-02-03 | 코듈라

공사 현장에 있어야 할 법한 물건이 집 안으로 들어와 불을 밝힙니다. 디자이너 슈테파니 야스니의 ‘코듈라’는 전선 드럼과 하나가 된 플로어 조명입니다. 전기 조명에 없어서는 안되지만 때로는 귀찮은 전선의 존재가 디자인의 출발점이니만큼, 조명에 운신의 폭을 부여하는 장점이 되죠.

2008-09-10 | 보철미학

2008년 디자인 아카데미 에인트호번을 졸업하며 프란체스카 란차베키아는 의료용 보철기구를 재해석한 일련의 기구들을 졸업 작품으로 선보입니다. 이름하여 ‘보철미학’은 그의 설명대로 “오로지 기능적 측면만 강조된, 기계적이고 일반적인 외양의 보조기기들”을 표현의 매체로서 바라봅니다. 졸업 후 란차베키아는 학교에서 만난 훈 와이와 란차베키아+와이를 설립하여 지금까지 함께 활동하고 있습니다. (...)

마틴 루터 킹 추념 공예 프로젝트

미국의 1월 셋째주 월요일은 흑인 해방운동 지도자인 마틴 루터 킹 (Martin Luther King, Jr....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