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9-26 | 레드드레스

Editor’s Comment

이 붉은 드레스 한 벌을 짓는 데 원단만 550m가 들었습니다. 그러니 얼마나 거대한 드레스였을까요. 지름 20m에 높이 3m에 달하는 이 의상은 분명 옷이면서 동시에 공연장이기도 했습니다. 드레스 안에 자리한 계단을 올라 공연자가 옷을 입으면, 이제 층층의 치마폭이 관객석이 되니, 총 238명의 관객을 품을 수 있었죠. 디자이너 아무 송과 요한 올린의 컴퍼니가 선보인 초대형 ‘레드드레스’입니다. 

런던 ‘레드드레스’ 행사장, 2011
photo: Kate Elliott

아무 송(Aamu Song)의 ‘레드드레스(REDDRESS)’가 런던을 찾았다. 새빨간 이 드레스는 그야말로 거대한 설치작품이자, 동시에 퍼포먼스가 이뤄지는 공간이기도 하다. 지름 20m, 높이 3m의 초대형 드레스. 제작에만도 크바드라트(Kvadrat)의 ‘디비나(Divina)’ 울 패브릭 550m가 투입되었다. 공연자가 드레스 안 숨겨진 계단을 올라 의상을 입으면, 이제 관람자들이 자리를 잡을 차례다. 치마폭에 층층이 자리잡은 주머니들이 관객석. ‘레드드레스’는 최대 238명의 사람들을 품을 수 있다. 

photo: Perttu Saksa
photo: Perttu Saksa
photo: Perttu Saksa

한국 이름 송희원인 아무 송은 요한 올린(Johan Olin)과 함께 컴퍼니(Company)를 설립, 핀란드에서 활동하고 있다. ‘레드드레스’는 그녀의 졸업작품으로서 2005년 첫 선을 보였던 작품이다. 이번 ‘레드드레스’ 영국 방문은 2012 세계디자인수도 헬싱키의 국제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이뤄졌다. 9월 22일부터 25일까지, 이스트런던의 권투 경기장 요크 홀(York Hall)에서 ‘레드드레스’ 이벤트와 저녁 공연 행사가 진행되었다. 한편 현장의 레드숍(REDSHOP)에서는, 컴퍼니를 비롯 핀란드 디자이너들의 제품들도 소개되었다. 

컴퍼니의 요한 올린과 아무 송
photo: Aleksi Nimelä

www.reddress.fi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9-10-21 | 네덜란드 베스트 북 디자인

지난 한 해 네덜란드에서 출간된 책들 가운데 빼어난 북 디자인의 사례들을 선정하여 한자리에 모읍니다. 네덜란드 우수디자인도서재단과 암스테르담 시립미술관이 주최하는 ‘네덜란드 베스트 북 디자인’입니다. 2009년에는 어떤 디자이너의 어떤 책들이 선정되었을까요. 참고로 네덜란드 북 디자인하면 떠오르는 그 이름도 역시 있습니다. 

일회용 마스크 코트

마스크로 만든 소파 ‘카우치-19(Couch-19)’로 주목받았던 이탈리아 디자이너 토비아 잠보티(Tobia Zambotti)가 이번에는 일회용 마스크에 의한...

버려진 광고판으로 만든 떠돌이 개 쉘터

태국의 동물단체 ‘스탠드 포 스트레이즈(Stand for Strays)’가 떠돌이 개를 위한 쉘터를 설치했다. 방콕과 인접한...

누구나 만들 수 있는 자전거 #Openbike

스페인 건축 스튜디오 아르키마냐(arquimaña)의 ‘오픈 바이크(#Openbike)프로젝트’에서는 도면을 다운로드하여 나무 자전거를 제작할 수 있는 오픈...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