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8-01 | 전기 주전자 변주

Editor’s Comment

모두를 위한 동일한 물건을 이상으로 삼는 공산품의 세계에서 특유함은 오차나 불량의 산물입니다. 하지만 그것이 결함이라 해도 거꾸로 매력의 원천이 되기도 하지요. 프랑스의 디자이너 장 밥티스트 파스트레는 전기 주전자라는 물건을 바탕으로 변주를 시도합니다. 가열체, 손잡이, 뚜껑 등 안전과 관련된 요소는 모두 동일하게, 하지만 용기는 형태도 소재도 색상도 달리하지요. 대량생산된 공산품과 유일무이한 무엇 사이. ‘전기 주전자 변주’입니다. 

순수 산업 제품은 어디까지 변주될 수 있을까.  프랑스의 영 디자이너 장 밥티스트 파스트레(Jean Baptiste Fastrez)가 전기 주전자의 변주를 시도한다. 산업 공정의 가장 큰 이점은 대량생산과 표준화에서 비롯된다. “모든 사람을 위한 동일한 오브제”라는 산업의 이상에서 특유함이란 오차 또는 불량의 산물일 지 모른다. 그러나 잘못 인쇄한 우표를 수집하려는 사람들이 있듯, 여전히 특유한 단 하나 뿐인 무엇에 대한 열망도 존재한다. 장 밥티스트 파스트레는 ‘전기 주전자 변주(Variations upon an electric kettle)’에서 양자의 하이브리드를 도모한다. 

변주에는 변주의 대상이 되지 않는 공통의 지반이 반드시 존재한다. ‘전기 주전자 변주’의 경우, 표준화된 산업 요소들이 여기에 해당한다. 가열이 이뤄지는 제품인 만큼, 특히 안전 규정과 관련된 요소들을 기초로 삼았다. 가열체, 손잡이, 뚜껑 등은 모든 판본에서 동일하다. 대신 주전자의 또 다른 핵심인 용기가 변주의 대상이다. 유리, 도자 등 소재는 물론 형태와 색상을 달리하는 용기들이 더해져, 동일하면서도 서로 다른 각각의 주전자 판본들을 만들어낸다. 대부분의 용기는 수공으로 제작되었지만, 공예의 새로운 실천이라는 관점에서 쾌속조형의 힘을 빌리는 일도 가능할 것이다. 

이렇게 완성된 주전자들은 대량생산품과 유일무이한 제품 사이에 머무른다. 산업과 수공, 기술 미학과 유기적 형태의 하이브리드라고 불러도 좋을 것이다. 장 밥티스트 파스트레의 ‘전기 주전자 변주’는  디자인 퍼레이드 6(Design Parade)에서 소개되었으며, ‘디자인 퍼레이드 6 어워드’ 대상을 수상하였다.

www.jeanbaptistefastrez.com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계산된 나무 의자

베를린과 바이에른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디자이너 마티아스 크슈벤트너는 버려지는 나무를 재생산하는 ‘프로젝트 뉴 소스(New Sources)’를...

2009-09-03 | 인타입스, 인테리어의 유형학

1997년 코넬 대학의 잰 제닝스 교수는 인테리어 디자인의 유형 분류 연구 프로젝트를 시작합니다. 시대, 양식, 문화권에 걸쳐 반복되어 등장하는 인테리어 디자인의 패턴들을 연구하고 분류하여 그것에 일정한 이름을 부여하는 작업이었지요. 가령 라운지 의자들이 서로 마주한 익숙한 배치(때로 커피 테이블이나 러그가 사이에 놓여 있기도 한)에는 ‘대면(Face to Face)’이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2013년에는 두 명의 학부생이 만들어낸 ‘언룸(Unroom)’이라는 신조어가 인타입스에 추가되기도 했지요.(...)

2010-04-13 | 엔초 마리 ‘자급자족 디자인’ 부활

작년 한 해 코로나19가 안긴 수많은 부고 가운데 안타깝게도 엔초 마리와 그의 부인 레아 베르지네의 타계 소식이 있었습니다. 그것도 밀라노 트리엔날레에서 열린 회고전의 개막 직후의 일이었습니다. 오늘의 뉴스는 엔초 마리의 ‘자급자족 디자인’입니다. “디자인은 지식을 전할 때 오로지 디자인이다.” 엔초 마리의 ‘자급자족 디자인’은 완성품으로서의 가구가 아니라 지식으로서의 가구를 전했습니다. 2010년 아르텍은 그 ‘자급자족 디자인’의 첫 번째 가구인 ‘의자 1’을 다시 소개하며 엔초 마리에게 경의를 표했습니다. 기사에 언급된 짤막한 다큐멘터리에서 그의 모습과 그가 믿는 디자인 이야기도 다시 만나봅니다.

2008-10-06 | 파트리시아 우르키올라 x 로젠탈

파트리시아 우르키올라와 로젠탈의 첫 번째 협업으로 탄생한 자기 컬렉션 ‘풍경’과 그 탄생 과정을 한자리에 모아 런던 디자인뮤지엄에서 전시가 열렸습니다. ‘순수 자기’ 전은 특정한 제품 컬렉션에 관한 전시이기도 하지만, 이를 통해 파트리시아 우르키올라라는 디자이너를 바라보는 전시이기도 했습니다. 가령 장식에 대한 그녀의 애정은 이 자기들에서도 유감 없이 표현되었죠.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