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7-28 | 화장실 재발명

Editor’s Comment

“지난 200년 간 그 어떤 혁신도 변기의 발명으로 촉발된 위생 혁명 이상 인명을 구하고 건강을 개선하지는 못했다. 하지만 충분히 나아가지는 못하고, 세상의 1/3까지만 다다랐을 뿐이다.” 세기가 바뀐 지 10년이 지났지만, 우리가 아는 모습의 화장실은 세계 인구 2/3에게는 희귀한 것이고, 아예 화장실이랄 것이 없는 인구도 10억 명에 달합니다. 그 결과는 참혹해서, 5세 이하 어린이의 사망 원인 두 번째가 설사병이며, 매년 1백만 명의 어린이가 적절한 위생 설비가 없어 목숨을 잃습니다. 2011년 빌 & 멜린다 게이츠 재단이 ‘화장실 재발명’ 프로그램을 시작한 이유입니다.

개발도상국에 안전하고 저렴한 화장실을. 빌 & 멜린다 게이츠 재단(Bill & Melinda Gates Foundation)이 화장실 리디자인을 위한 연구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재단의 세계 개발 프로그램 대표 실비아 매튜스 버웰(Sylvia Matthews Burwell)은, 지난 19일 르완다 키갈리에서 열린 아프리카샌 컨퍼런스(AfricaSan Conference)에서 기조 발표를 통해 이와 같은 계획을 밝혔다. 

“지난 200년 동안의 그 어떤 혁신도, 변기 발명으로 촉발된 위생 혁명보다 더 많은 인명을 살리고, 건강을 개선하지는 못했다.” 하지만 수세식 변기는 여전히 세계 인구의 1/3만의 것이다. 심지어 10억 명의 사람들은 화장실이라 할 만한 것조차 없다. 빌 & 멜린다 게이츠 재단은 이것이 세계 인구의 40%에 영향을 미치는 긴급한 문제임을 강조한다. 

위생적이고 저렴하며 믿을 수 있는 위생 시스템의 개발을 위해, 빌 & 멜린다 게이츠 재단은 관련 연구 단체, 기관에 4,150만 달러를 지원한다고 밝혔다. 재단과 협력 단체, 기관들은 특히 경제적인 방안 개발에 초점을 맞출 예정이다. 위생 서비스는 1일 1명 당 5센트 이상의 비용이 들어서는 안되며, 설치 및 사용, 유지가 용이해야 한다는 것. 

이와 같은 기조 하에, 여러 개의 연구들이 재단의 지원 하에 진행된다. 대학교 여덟 곳에서 진행되는 ‘화장실 재발명’ 프로그램도 그 중 하나다. 참가 대학들은 각자 수도, 하수도, 외부 전력 연결 없이 설치 가능한 단독형 화장실을 리디자인한다. 이를 비롯해 지원이 결정된 사업, 연구 프로그램의 내용은 화장실 시설 연구를 넘어, 배설물의 재이용 에너지, 비료, 정수 처리 과정까지도 포함하고 있다. 

www.gatesfoundation.org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7-03-31 | 리처드 로저스, 프리츠커상 수상

속을 뒤집어 내보인 듯한 모습으로 충격을 안겼던 파리 퐁피두 센터가 완공된 지 30년이 되던 그해, 그 건물의 건축가 리처드 로저스가 프리츠커상을 수상했습니다. 오래된 소식을 다시 전하며, 지난 12월 18일 전해진 그의 부고에도 늦게나마 애도를 표합니다. 참고로 2022년 프리츠커상은 부르키나파소 출신의 건축가 디에베도 프랑시스 케레에게 돌아갔습니다. 

2007-10-25 | 메탈 셔터 하우스

뉴욕 웨스트 첼시의 아트갤러리 지구에 자리한 이 11층짜리 주거용 건물은 차분하고 반듯하지만, 동시에 동적인 면모를 지녔습니다. 건물의 전면에 달린 천공을 낸 금속의 셔터가 닫힘과 열림을 통해 건물에 새로운 인상을 부여합니다. 개별 가구에는 프라이버시를 확보하고 빛을 조절하는 실용적인 요소이면서, 건축적으로는 변화하는 외벽이라는 개념의 구현이기도 했죠.

2011-11-02 | 영화 타이틀 스틸 모음

영화가 시작하고 영화의 제목이 스크린에 등장하는 바로 그 순간의 스틸 이미지를 한데 모은 디자이너가 있습니다. 크리스티안 아냐스는 멀리 1920년대부터 가깝게는 2014년까지, 영화의 타이틀 장면을 모아 웹사이트를 열었는데요. 어떤 영화들의 경우, 기본 정보 외에도 오프닝 타이틀 제작사는 어디인지 타이틀 장면에 쓰인 폰트는 무엇인지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옛 영화들의 레터링 스타일을 되돌아보는 즐거움도 빼놓을 수 없지요.

2007-08-23 | 북유럽의 새 바람, 무토

2006년 무토는 “스칸디나비안 디자인을 바라보는 새로운 관점”을 기치로, 북유럽 디자이너들에 의해 일신하는 북유럽 디자인을 선보이겠다는 포부와 함께 등장했습니다. 이제 무토라는 이름은 여기 한국의 소비자에게도 더 이상 낯설지 않은 세계적인 브랜드가 되었습니다. 2017년, 놀이 3억 달러를 들여 사들일 만큼요. 그런데 올해 놀이 허먼 밀러에 합병되었으니, 이제 무토도 ‘밀러놀’ 산하의 브랜드가 된 셈이군요.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