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7-22 | 까르띠에 타임 아트

Editor’s Comment

까르띠에의 대표적인 시계들이 취리히의 한 뮤지엄에 모였습니다. ‘까르띠에 타임 아트’는 1929년의 ‘토르튀’에서 최근의 ‘산토스 100 스켈레톤’에 이르기까지, 총 100여 점의 까르띠에 시계가 관람객을 맞이했습니다. 전시의 아트 디렉팅은 2009년 도쿄국립박물관에서 있었던 ‘이야기… 까르띠에 작품에 관한 기억들’로 이미 까르띠에와 인연을 맺었던 토쿠진 요시오카가 맡았습니다.

Tokujin Yoshioka Design © Tokujin Yoshioka/Cartier

까르띠에(Cartier)의 시계들이 뮤지엄 벨레리베(Museum Bellerive)에 모인다. 전시회 ‘까르띠에 타임 아트(Cartier Time Art)’가 다음 달 막을 연다. 전시는 보는 이들을 까르띠에 시계 생산의 심장부로 인도한다. 1929년의 ‘토르튀(Tortue)’에서 오늘날의 ‘산토스 100 스켈리톤(Santos 100 Skeleton)까지, 기원이라 할 만한 유서 깊은 모델에서 최근의 모델까지, 총 100여 점의 시계들이 한 자리에 모인다. 전시의 아트 디렉팅은  디자이너 토쿠진 요시오카(Tokujin Yoshioka)가 맡았다. 지난 2009년 ‘이야기… 까르띠에 작품에 관한 기억들’에 이은 또 한 번의 전시 작업이다. 그는 역사적 전통과 미래를 향한 전위적인 생각이 결합하여 만들어낸 까르띠에 시계의 독특한 아름다움을 전시를 통해 조명할 것이라고. ‘까르띠에 타임 아트’는 8월 26일부터 11월 6일까지 열린다. 

Tokujin Yoshioka Design © Tokujin Yoshioka/Cartier
‘로통드 드 까르띠에 아스트로레귈라퇴르 칼리브르 9800 MC(Rotonde de Cartier Astrorégulateur watch Calibre 9800 MC)’
photo: Laziz Hamani
Cartier Collection 2010 © Cartier

www.museum-bellerive.ch 
www.tokujin.com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6-09-14 | 지난 40년 미국 최고의 잡지 표지 40선

2005년 10월 17일, 미국잡지편집인협회는 ‘1965년부터 2005년까지, 지난 40년 역대 최고의 잡지 표지 40선’을 꼽았습니다. 당대와 긴밀하게 호흡하는 잡지 매체의 표지에 담긴 역사 그리고 어떤 표지들이 거둔 탁월한 성취를 확인할 수 있는 좋은 기획이었지요. 디자인플럭스에서는 이 40개의 표지 목록을 몇 가지 키워드를 통해 되돌아보았습니다. 

2009-04-08 | 2009 웹 트렌드 맵

범용 마크다운 텍스트 편집기 ‘iA 라이터’로 유명한 iA가 2010년 첫 앱을 내놓기 전, iA의 다른 작업이 디자인플럭스에 소개된 적이 있었습니다. 바로 ‘웹 트렌드 맵’인데요. 2009년의 웹 트렌드를 도쿄 지하철 노선도의 형태로 구현한 작업입니다.(...)

비트라 디자인 뮤지엄 ‘플라스틱: 세상을 다시 만들다’

비트라 디자인 뮤지엄에서 플라스틱의 역사와 미래를 탐구하는 전시 ‘플라스틱: 세상을 다시 만들다 (Plastics: Remaking...

2010-05-15 | 2010 영국디자인산업계 조사

“38세의 백인 남성… 독립 프리랜서 디자이너의 증가… 전체 디자인 회사들의 2/3가 신규 채용을 아예 포기….” 2010년 디자인 카운슬이 발표한 영국 디자인 업계의 현황 보고서에서 묘하게 2020년이 겹쳐 보입니다. 2007년의 경제위기와 2020년의 팬데믹. 두 개의 위기가 불러온 경제적 여파에서 디자인 업계도 자유롭지 못했으니, 작년에는 IDEO마저 인력의 8% 감축 계획을 밝혔습니다. 신규 채용은 고사하고 기존의 정규직 일자리마저 사라지는 와중에, 그 자리를 채운 것은 그때나 지금이나 프리랜서입니다. 더 나아가 일을 중심으로 단기적으로 인력을 조직하는, 이른바 ‘온디맨드형’ 인력 구성이 아예 표준이 되리라는 전망도 나옵니다. (...)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