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7-15 | 도자 종이컵

Editor’s Comment

어떤 물건은 소재가 너무 중요해 그것이 이름이 되기도 합니다. 종이컵도 그런 것들 중 하나죠. 종이컵은 또 일회용 문화를 대표하는 물건이기도 합니다. 스코틀랜드의 도예 디자이너 레베카 윌슨은 이 종이컵에 웨지우드 재스퍼웨어와 델프트 자기의 외양을 입혔습니다. 다만 하나는 오로지 수제 종이로 된 시트로, 다른 하나는 포슬린과 펄프 혼합 용액으로 만든 시트로요. 윌슨은 두 가지 방식으로 ‘최상급’ 종이컵이라는 역설을 보여줍니다. 

플라스틱 의자, 종이컵처럼 소재로 대표되는 물건들이 있다. 소재가 이름의 일부가 될 만큼의 물건이라면, 이를 ‘다른’ 소재로 바꿔치기 하는 시도가 뒤따르기 마련이다. 마르텐 바스의 ‘나무 플라스틱 의자(Plastic Chair in Wood)’나 여기 레베카 윌슨(Rebecca Wilson)의 ‘최상급 지기’처럼 말이다. 

종이컵은 소위 버리기 문화(throwaway culture)의 대표적인 상징이다. 레베카 윌슨은 종이컵의 소재를 바꾸고 또 전통 도자 스타일을 더하는 역설로, 낭비로서의 소비에 대해 질문한다. ‘고급 지기’는 종이와 자기의 두 가지 소재에, 웨지우드(Wedgewood)의 ‘재스퍼웨어(Jasperware)’와 네덜란드 ‘델프트 블루(Delft Blue)’의 두 가지 양식을 취하였다. 하얀 돋을새김 장식에서 푸른색 데칼까지, 모두 섬세히 손수 재현되었다. 

레베카 윌슨의 ‘최상의 지기’는 런던 플로우 갤러리(Flow Gallery)에서 열린 ‘블루(Blue)’ 전시회에서 선보이고 있다. 

www.rebeccawilsonceramics.com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전시 ‘해체된 고향(Deconstructed Home)’: 바이오 소재의 재구성

로컬 바이오 소재의 새로운 사용을 보여주는 전시 ‘해체된 고향(Deconstructed Home)’이 멕시코시티에 위치한 갤러리 루트(LOOT)에서...

2006-10-25 | 타일러 브륄레, 〈모노클〉 창간

기자였던 그는 <월페이퍼> 매거진을 창간하며 발행인으로 변신했습니다. 그리고 11년 뒤 새로운 잡지와 함께 업계에 귀환했지요. 바로 <모노클>입니다. 타일러 브륄레 는 비즈니스와 라이프스타일 모두를 아우르는 국제적인 감각의 인쇄 잡지를 선보였고, 그 이후의 이야기는 아시는 것과 같습니다.

디자인붐, 아키토닉 아크데일리에 인수

지난 1월 13일, 디자인 웹진 <디자인붐>이 아키토닉 아크데일리 그룹(Architonic ArchDaily)에 인수되었다. 아키토닉 아크데일리 그룹은...

식사  ‘매너’로 펼치는 퍼포먼스

지난 3월 17일, 덴마크 패션 브랜드 슬로트 로우싱(Sloth Rousing)의 의상 컬렉션이자 설치 작업인 ‘매너(Manner)’가...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