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7-08 | 태양과 모래의 3D 프린터

Editor’s Comment

햇빛이 작열하는 모래의 바다에서, 한 디자이너가 무언가를 출력해가지고 돌아왔습니다. 2011년 RCA 졸업전시회에서 마르쿠스 카이저는 ‘태양 소결’이라는 3D 프린터로 출력한 모래-유리 오브제들을 선보였습니다. 선택적 레이저 소결법(SLS)이라는 원리는 여느 프린터와 동일하지만, ‘태양 소결’은 레이저 대신 햇빛을 열원으로 플라스틱 수지 대신에 모래 속 실리카를 재료로 삼았죠. 2011년 그는 두 번 사막을 찾았습니다. 처음에는 수동 버전의 프린터를 들고 모로코의 사막으로, 두 번째는 완전 자동화된 컴퓨터 구동 방식의 프린터를 들고요. 참고로 두 번째 방문의 결과물은 MoMA에 소장되었습니다. 

© 2011 Markus Kayser

사막으로 간 디자이너. 마르쿠스 카이저(Markus Kayser)의 ‘태양 소결(Solar Sinter)’는 올해의 ‘쇼 RCA’에서 가장 먼저 화제가 된 작품 중 하나다. 사막을 지배하는 뜨거운 태양과 모래 바다. 마르쿠스 카이저는 이를 자원으로 삼아 3D 프린터 ‘태양 소결’을 가동했다. 막대한 에너지원으로서의 햇빛과, 거의 무한한 실리카 공급원인 모래. ‘태양 소결’은 거대한 볼록 렌즈의 힘을 빌어 햇빛을 증폭하여, 실리카 모래를 용해점까지 가열한 후 다시 식혀 굳히는 방법으로 유리 오브제들을 만들었다. ‘태양 소결’의 원리는 기존 3D  프린팅의 선택적 레이저 소결 원리와 동일한 바, 다만 파우더형 플라스틱이나 레진, 금속 대신에 모래를, 레이저 대신 태양광을 사용했을 뿐이다. 그는 사막에 머물며 모래와 태양으로 빚어낸 모래-유리 오브제들을 ‘출력’해왔다. 아래 영상에서 ‘태양 소결’로 빚어낸 오브제들의 탄생 과정을 살펴보시길.

www.markuskayser.com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9-04-14 | 포르마판타스마의 ‘자급자족’

어제에 이어 또 다른 ‘자급자족’의 디자인입니다. 2010년 디자이너 듀오 포르마판타스마가 선보인 ‘자급자족’은 재료로 보나 제작 방식으로 보나 모두 소박한 자급자족의 공동체에서 태어났을 법한 물건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포르마판타스마는 앞서 소개했던 ‘다음 10년, 20인의 디자이너’에서도 언급되었는데요. 지난 10년 정말로 그러했고, 또 앞으로의 10년도 묵직한 기대감을 갖게 하는 이름입니다

2009-03-25 | 구글에서 보낸 3년

2006년 디자이너 더글러스 바우먼은 구글에 합류하며, 시각디자인리더로서 팀을 꾸리고 이끌었습니다. 그리고 3년 뒤 구글을 떠나기로 결심합니다. 그러면서 “엔지니어들의 회사에서 전통적인 디자이너가 부딪힌 한계”를 소회한 글을 남겼죠. 물론 그가 떠난 당시의 구글과 지금의 구글은 다른 모습일 테지만만, 여전히 디자이너 대 개발자, 디자이너 대 엔지니어 등 서로에 대한 몰이해의 일화가 심심치 않게 회자되는 것도 사실입니다.

눈에는 눈, 이에는 이, 칼에는?: 2021 영국 다이슨 어워드

응급 처치용 의료기기 ‘리액트(REACT)’를 디자인한 조셉 벤틀리(Joseph Bentley)가 ‘2021 영국 제임스 다이슨 어워드’의 내셔널...

마틴 루터 킹 추념 공예 프로젝트

미국의 1월 셋째주 월요일은 흑인 해방운동 지도자인 마틴 루터 킹 (Martin Luther King, Jr....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